언어의 역사 - 말과 글에 관한 궁금증을 풀다
데이비드 크리스털 지음, 서순승 옮김 / 소소의책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의 사회성에 대해 이야기할 때 빠지지 않고 나오는 것이 바로 언어이다. 소설 『정국북』을 보면 아이가 어렸을 때 정글 속에서 자랐기에 인간의 언어를 못하는 것만 봐도, 그리고 여러 장애로 어렸을 때 제대로된 언어를 말하지 못할 경우 이는 지속적으로 영향력을 미친다.

 

게다가 자신이 어느 나라의, 또는 어떤 언어를 사용하는 곳에서 태어나느냐에 따라서 자연스레 배우게 되는 것 역시 그 나라의 말이기 때문이다. 이는 곧 모국어라는 말로 표현되니 말이다.

 

그래서 언어를 공부할 때 자주 언급되는 것이 바로 모국어를 배울 때를 생각해보라는 것이다. 그렇게 배우면 어떤 외국어도 가능하고 그런 점에서 해당 언어를 배우기 위한 어학연수나 유학을 떠나는 것도 일맥상통하는 이야기다.

 

 

『언어의 역사』는 이런 언어, 당연하게 사용하는거라 생각했던 언어에 대한 모든 것을 알려주고 있는 책으로 외관상 자아내는 분위기가 마치 논문 같은 느낌이 들기도 하지만 의외로 책은 어렵지 않게, 게다가 더 중요한 부분은 쉽게 읽히도록 쓰여져 있어서 만약 관심이 있는 분들이라면 흥미롭게 읽을 수 있는 책일거라 생각한다.

 

이 책이 주목하고 있는 것은 바로 말과 글이다. 인간이 다른 동물과 차별화되는 소위 고등동물이라 불리는 이유 역시 바로 말과 글을 사용하기 때문임을 생각한다면 이 말과 글의 기원에서부터 시작해 현재 우리가 일상 속에서 사용하고 활용하는 방법에 이르기까지의 이야기를 담은 책은 어떻게 보면 말과 글에 대한 포괄적인 의미에서의 정보전달을 해주는 책이자 상식/교양차원에서라도 읽어볼만한 가치가 충분히 있는 책일 것이다.

 

 

이 책이 주목하고 있는 것은 바로 말과 글이다. 인간이 다른 동물과 차별화되는 소위 고등동물이라 불리는 이유 역시 바로 말과 글을 사용하기 때문임을 생각한다면 이 말과 글의 기원에서부터 시작해 현재 우리가 일상 속에서 사용하고 활용하는 방법에 이르기까지의 이야기를 담은 책은 어떻게 보면 말과 글에 대한 포괄적인 의미에서의 정보전달을 해주는 책이자 상식/교양차원에서라도 읽어볼만한 가치가 충분히 있는 책이라고 생각한다.

 

흔히 옹알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는 베이비 토크로부터 출발한다는 것은 어쩌면 인간이 최초로 말을 하는 순간일수도 있다. 울음 역시도 그저 소리에 지나지 않는다고 말할 수도 있지만 이또한 어떻게 보면 자기 표현의 수단이 될것 같다. 특히나 뱃속에서도 말을 알아듣는다니 뱃속의 태아에게 말을 걸고 동화를 읽어주고 흔히 태교로 영어를 공부한다는 말이 아예 쓸모없지는 않을것 같다는 생각도 든다.(이 책을 읽고 오히려 더 적극적으로 할지도 모를 일이고.)

 

이처럼 책은 우리가 소위 말이라고 하는 그리고 글이라고 사용하는 두 분야에 걸쳐서, 연관된 거의 모든 이야기를 하고 있다. 말을 하고 글을 쓰는 행위, 나아가 자국의 언어뿐만 아니라 이중 언어 사용이라든가(요즘은 다개국어라는 말까지 등장했다), 또다른 언어인 수화에 대한 부분까지 담고 있는 점도 개인적으로 참 좋은 구성이지 않았나 싶다.

 

여기에 언어 역시 처음 생겨난 이후 다양한 변천과 변이를 거쳐오고 있고(하긴 인간이 살아가면서 변하는 부분이 얼마인데 언어라고 그냥 그대로 머물러 있을까?), 최근의 언어학적인 변화까지 담아내고 있어서 여러모로 흥미로운 이야기나 새롭게 알게 된 이야기 등이 많은 책이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