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와 함께 만든 세 개의 4단 책장으로써, 사는 방에는 모두 일곱 개의 책장 분량의 책을 가져다 놓았다.  주로 문학서적을 영문/국문으로 적절하게 갖다놨고, 한 개의 책장에는 무술서적, 딱 4단 책장 하나 분량으로 가져다 놓았다.  그렇게 하고 나니까, 열심히 문학에 빠져들 것 같았는데, 막상 정리하고 보니, 오히려 책읽기가 부담이 되는 것이다.  왜일까.

 

조금 바쁜 스케줄과 이런 저런 일과에 겹쳐 이번 달의 독서는 매우 저조하다.  양적으로나 질적으로나. 

 

그러다가, 내가 잘 하는 그것.  책읽기가 막히면 언제나 하는 마중물 같은 독서. 

 

그렇게 해서, 오후에 늦게 퇴근하는 것을 핑계로 4시부터인가 책을 읽기 시작했는데, 여행을 떠나고픈 내 마음을 가득 담은 책이다. 

 

탁피디의 여행수다에 나오기 전에 나는 손미나 아나운서가 누군인지 전혀 알지 못했다.  지금도 사실 누구인지 잘은 모르겠지만, 그녀가 이 책을 썼고, 이혼을 했고, 소설을 한 권 출간했다는 정도는 알고 있다.  팟캐스트를 듣고 책을 구했는데, 기실 내 눈에는 너무 뻔해 보인 탓에 읽기는 지금에서야 읽은 것이다.

 

29쇄의 히트상품인 것과는 무관하게, 외국에서 오래 거주한 나에게는 탁 박히는 내용보다는 그저 적절히 된장적이고, 적절히 성찰적이고, 용감하고, 그리고 적당히 국수주의적인 그런 책으로 느껴진다.  내용도 좋고, 재미도 있고, 읽는 내내 스페인 곳곳을 누빈 듯한 기분을 갖게 해주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렇게 내 편견에 기인한 impression은 쉬이 가시지는 않는다. 

 

이곳에 살다보면 외국이라는 것에 대한 환상은 많이 사라진다.  특히 '외국인'과 친구가 되거나 인연을 맺게 되는 것이 하나도 신기할 것이 없기에, 스페인에 가서 사귄 외국친구들과 에피소드라던가 여행에 대한 이야기는 재미있고, 부러울 수는 있어도, 환상 같은 것을 불러일으키지는 못하는 것이다.  왜일까.  이 책을 읽으면서, 마치 영어공부를 위해서, 또는 호기심이든, 여타의 다른 이유로 '영어'하는 '백인'친구를 사귀면 '쿨'한 것인양 묘사하는 이런 저런 이야기들이 생각이 나는 것은.  작가의 의도도, 실제로 그녀가 느낀 감성도 그런 것이 아닐진데.

 

그저.  이 책을 읽는 두어 시간동안, 나도 자유를 느꼈다고 결론짓고 싶다.  나의 편견들이 사라지기를 바라면서.  굳이 그녀의 진취적인 삶의 태도가 멋지다는 말 따위는 하지 않아도 되리라.

 

덕분에, 퇴근하면서 Trader Joe에 들려 싸구려 스페인 산 와인을 두 병이나 사들고 왔다.  살라미와 함께.  술꾼에게 술을 마실 핑계는 얼마든지 널려 있지만, 그래도 책을 읽은 때문이라고 말하고 싶다.  우연이지만, 사온 와인이 맛이 좋다.  이렇게 한 잔 걸치고 있다.

 

여행이 하고 싶어 이 책을 읽은 것은 결코 아니다.  사실 이 책은 위의 책보다 먼저 읽었다, 심지어는. 

 

게으름과 이런 저런 이유로 늦어진 리뷰일 뿐인데, 그리 많이 쓸 내용은 없다.

 

드 보통을 낮게 보는 것은 아니지만, 한국에 유독 잘 먹히는 듯한 그의 글에 대한 약간의 반감이랄까. 

 

쉬운 이야기를 어렵게 하는 것도 재주고, 사소한 소재에서 긴 이야기를 끌어내는 것 또한 그의 재주일 것이다.

 

공항에는 떠나기 위한 설레임.  도착의 안도감.  이런 것들이 적절히 베어있다.  작년 이만때였나?  저녁 비행기로 도착하는 사람을 픽업하러 SFO에 갔을 때, 건조한 이곳의 공기와는 달리 다소 습한 시멘트 바닥의 내음과, 세계 곳곳에서 모여드는 듯한 to-and-from의 여행객들의 향취를 느꼈다.  그래서 작년 이맘때 여행에 대한 갈구를 느끼는 글을 남겼더랬다. 

 

그런데.  공항이 아니라 여행기술에 대한 책을 내고, 지금도 그런 이야기를 잘 하는 저자임에도 불구하고 이 책은 '약하다'.   의뢰를 받아 쓴다는 점이 저자의 자유도에 영향을 주지 않았음을 강조하는 부자연스러움은 차치하고, 그냥 그렇다.  결론적으로 나는 이 책에서 여행에 대한 영감도, 다른 공항을 보면서 느끼는 자연스러운 여행의 감흥도 받지 못했음이다. 

 

누군가의 말해 의하면 '한국에서 가장 잘 팔리는 외국인 작가'라는 알랭 드 보통의 실체는 과연 무엇일까. 

 

아직도 다른 책들 몇 권의 정리가 밀려는 있지만, 쉬이 진도가 나가지 않을 뿐더러, 배도 부르고, 날도 늦어지는 관계로, 빨리 다시 와인으로 돌아가야 할 시간이다.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blanca 2014-07-22 14: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 책은 지금도 친정에 있어요. 손미나의 책. 그 때는 한창 스페인어를 해보겠다고 의욕 충만해 있었던 터라 이 책 읽고 꿈에 부풀었었던 기억이 ^^;; 나네요. 알랭 드 보통은 저도 사실 신간을 챙겨 읽는 독자인데 한국에서 가장 잘 팔리는 작가라는 건 미처 몰랐어요. 의뢰를 받아 쓴다는 사실도요...나이가 들수록 모든 것에 대한 환상이 사라지는데 여행도 그렇게 되어 버렸지만. 그래도 또 자유롭게 언젠가는 한번 떠나봤으면, 하는 마음은 항상 남는 것 같아요.

transient-guest 2014-07-23 00:44   좋아요 0 | URL
스페인어 발음은 굉장히 쉽습니다. 영어와는 달리 발음 그대로 읽어버리면 되거든요. 저도 책을 읽으면서 스페인에 가보고 싶어졌어요. 더운 곳은 질색인데...ㅎ 드 보통의 다른 책은 모르지만, 이 책은 의뢰를 받고, 자유도를 보장 받은 상태에서 썼다고 하네요. 늘 어디론가 새로운 것을 눈에 담기 위해 떠나고도 싶고, 좋아하는 동네에서 공부하면서 살고 싶기도해요.

Forgettable. 2014-07-22 17: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 탁pd 여행수다 들으시는군요!! 저는 요즘 안들은지 꽤 됐는데 엄청재밌죠? ㅋㅋ 저도 완전 팬입니다. ㅎㅎ '영어' 할 줄 아는 '백인' 친구 ㅋㅋㅋㅋㅋㅋㅋ 빵터졌네요 ㅋㅋ

transient-guest 2014-07-23 00:47   좋아요 0 | URL
탁PD를 보면 끼가 장난이 아닌 듯 합니다. 그런 형 하나 있으면 진짜 재밌겠어요.ㅎㅎ 요즘은 예전 같지는 않지만, 아직도 눈이 띄는 한국인의 타인지향...파비앙 같은 애가 뭐가 대단해서 tv에 나오고 그러는지, 절기마다 명절마다 한번씩은 나오는 외국인 노래자랑 류도 그렇고. 왜 그리 다른 나라에서 한국을 인정하는 듯한 모습을 보기 위해 노력하는건지도 모르겠구요. ㅎ 그런게 이 책에서도 없지는 않았던 느낌이라서 그런 말이 나왔네요.

노이에자이트 2014-07-22 17: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백인 미남과 사귀려고 아무리 영어 열심히 배워봤자 미남들 많기로 유명한 남유럽이나 발칸 및 동유럽 지역은 영어가 거의 안 통할텐데...캘리포니아에 많은 히스패닉 계 사람들도 거의 영어가 안 통하잖아요...이번 월드컵에 나온 선수들 중에서도 영어로 인터뷰가 안 되는 선수들이 많던데요.

transient-guest 2014-07-23 00:48   좋아요 0 | URL
그 멀리까지 가나요. 한국에 들어와있는 애들만 봐도 졸졸 따라다니는 사람들이 많던데. 솔직히 현지인 강사라는게, 정말 아무것도 아닌, 본토에서는 loser에 가까운 애들이 더 많은 것 같은데도 피부 하얗고 영어하면 좋아보인다고 하는 사람들이 있는 것 같아요.

Forgettable. 2014-07-23 00:57   좋아요 0 | URL
loser에 가까운게 아니라 좀만 얘기해보면 아예 loser인 경우가 대부분이에요.
원어민 선생님이랍시고 들어와 있는 남자 애들, 전 이쪽이 직업이라 그런 애들 많이 만나봤는데 거의 50%가...
(나머지 50%는 여자강사들 ㅎㅎㅎ )

transient-guest 2014-07-23 03:15   좋아요 0 | URL
저도 한국행-미국행 비행기에서 종종 마주치는데, 제가 본 사람들은 정말 별볼일 없는 냥반들이라는 삘을 받았어요. 말하는 것도 그렇고, 한국에 대한 생각도 그렇고. 아시아권 여행하다가 돈 떨어지면 적당한 나라 찍고 가서 영어 좀 가르쳐 돈 벌고 여행 계속하는 사람들은 그나마 나은 편이고, 실제로 한국에 가면 여자들이 물심양면으로 받든다는 환상을 가진 사람도 있는 듯 합니다.

oren 2014-07-26 02: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손미나 아나운서는 10여 년 전에 제가 다니던 회사의 수많은 직원들이 TV 프로그램(직장인들이 나와 노래나 장기자랑도 하고, 사장님이 폼 잡고 나와서 인사도 하는 그런 프로그램이었던 듯해요)에 출연했을 때, 그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여자 아나운서였기 때문에 특히 인상에 남았더랬어요. 그녀가 스페인으로 건너가고 훗날 저 책을 펴냈을 때 '얼른 사 놓고' 여태까지 한 번도 안 읽었네요. 스페인은 저고 꼭 가보고 싶은 나라인데, 어느 젊은 여자 아나운서의 책이 그리 결정적인 도움을 줄 것 같지는 않을 듯해서 나중에라도 그 책을 펼치게 될지는 약간 의문이 들기도 하네요.

보통의 책은 저도 몇 권 읽었는데, 그의 평범하지도 않고 쉽게 읽혀지지도 않는(어떨 땐 주파수가 너무 다른 사람이구나 싶을 때도 많은) 그런 글을 '한국의 독자들'이 너무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좋아하는 이유를 저는 아직도 잘 모르겠더군요.

transient-guest 2014-07-28 02:57   좋아요 0 | URL
여행을 생각할 때 큰 도움이 되는 내용은 없었습니다. 그저 한 젊은 아나운서가 자신의 삶을 개척한 이야기에 가깝다고 생각하는데, 이와 함께 제가 느낀 점을 남기게 된 것이죠. '보통'씨는 어떻게 보면 그리 대단하지 않은 소재로 깊은 이야기를 만드는 재주가 좋은 것 같아요. 또 무엇인가 성찰하는 듯한 독백 같은 글이 특히 한국인의 정서에 어필하는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