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하든 주말 이틀을 잘 활용하면 주중 이틀-사흘만 더해도 일주일에 닷새를 할 수 있다는 계산. 2-3일에 한번씩 쉬는 것이 좋겠지만 가끔 일정이 맞아떨어지지 않아서, 하지만 주말의 이틀은 꼭 사용하기 위해서 연달아 운동을 하는 경우도 있다. 이번 주에는 오늘까지 하면 닷새를 이어서 하게 되는 것. 무리가 가지 않도록 금요일 하체/어깨 어제 등/이두 오늘은 가슴/삼두로 가고 내일 괜찮으면 하체/어깨를 가볍게 하는 것으로 3분할을 두 번 이어서 하는 것으로 하고 화요일은 쉴 예정이다. 뭔가 목적을 갖고 하는 것은 아니라서 크게 스트레스를 받지는 않지만 덕분에 하는 것에 비해 결과는 뭐 그냥. 














일부러 배우려고 하면 어려운 것이 예술 아닐까. 그냥 천천히 적셔간다는 기분으로 하나씩 알아가면 조금씩 보이고 들리는 것 같다. 가급적이면 교과서 같은 책보다는 에세이처럼 풀어주는 책으로 밑그림을 채워가면서 기회가 될 때마다 전시회를 가다 보니 어느새 유명한 작가들을 한번 정도는 볼 기회가 있었던 것 같다. 루벤스, 램브란트, 월리엄 터너, 고흐, 고갱, 로댕, 클림트, 르네 마그리트, 앤디 워홀, 마네, 모네, 앙트완 블랜차드, 프리다 칼로, 디에고 리베라, 제임스 티소, 피카소, 알렉산더 칼더, 백남준, 그 외에도 근처 미술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다수의 작품들까지. 색을 잘 알아보지 못하는 색약 (다행히 색맹은 아니지만), 적색과 녹색이 섞여 있으면 구분이 어려운 난 미술시간을 참 싫어했었는데 (하기사 한국에서는 좋아한 과목이 역사 밖에 없었으니까) 이젠 좋은 작품 뿐 아니라 미술관 그 자체를 좋아하게 되었으니 사람의 인생은 참 알 수가 없다. 첫 번째 책은 서양, 두 번째는 한국의 미술가들을 다뤄주는데, 작가의 팟캐스트를 들어가면서 조금씩 배경 지식을 늘려가는 재미는 보너스. 아참, 폼페이 유물전, 그리고 Legion of Honor 뮤지엄의 다양한 그리스/로마/에트루리아의 유물과 이런 저런 아프리카와 중남미 유물상설전도.















김산해작가의 책은 이번에 읽었고 가운데는 아주 예전에, 세 번째는 현재 조금씩 읽고 있는 '수메르'에 대한 이야기. 기원전 5000-7000년 정도에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이야기는 사실 간단할 수가 없다. 당장 약 1000년전 개국한 고려의 역사만 해도 여전히 오리무중 미스테리인데 (그것도 문자로 기록이 된 시대인데) '수메르'로 총칭되는 이 땅의 문명도 엄청만 부침에 부침을 거듭했을 것이고 그 시대의 사람들에게는 확연히 구분이 되는 이정표들이 2-300백년에 한번씩 있었을 것 같다. 도시가 층층히 묻힌 것이 17층이라고 하면, 그러니까 한 도시가 멸망하고 사람들이 완전히 떠난 후 아주 slow한 지각변동에 의해 예전의 도시가 완전히 사라진 후 다시 다른 시대의 사람들이 새로운 도시를 만든 것이 17번이란 이야기. 심지어 어떤 도시는 지하수맥 밑에 있어서 아직도 발굴을 못하고 있다는 이야기에서 '수메르'란 예수강생 후 지금까지의 역사가 2-3번 반복될 수 있는 엄청난 시간속 역사의 총칭이라는 걸 새삼 상기하게 되었다. 한국의 학자가 점토판을 뒤진 30년의 이야기가 이 책과 다른 두 권으로 엮였고 작가는 안타깝게도 유명을 달리 하셨다고 하니 남은 이야기는 또 얼마나 많을까. 기존의 해석과 차별되는 주장이 학계에 널리 제기되어 학술적으로도 다뤄졌더라면 하는 아쉬움과 함께 정작 가야 마땅한 놈들은 떵떵거리며 살아가는 현실의 ugly함이라니.
















분서보다는 갱유. 지난 시절 입담이나 기발한 저작으로 명성을 얻은 이들의 총체적인 몰락을 보면서 책을 버릴까 싶다가도 책은 죄가 없고 사람이 문제라는 생각으로 책을 keep하고 있다. '책을 불태우다'를 보면서 거지같은 책이라도 한 시대의 역사를 보여주는 사료의 가치가 있을 수 있기에. 언급된 수많은 book burning 범죄들로 인해 사라진 방대한 과거의 이야기들이 너무 궁금하다. 책은 죄가 없다. '혁명가들의 독서'는 야심찬 기획의도에 못 미치는 것 같다. 'MIX 18'의 청춘야구는 여전히 진행중. 근데 이번에 '청춘'보다는 '야구'에 집중하는 듯.


어쩜 이다지도 대척점에 있는 두 권을 같은 시기에 읽었을까 싶다. '엔드 오브 타임'은 정통학계의, '우주비밀파일'은 UFO와 외계인, 초국가조직의 정보조작에 대한 이야기. UFO와 외계인의 존재를 정확히 알 수는 없으나 그 존재 자체를 부정하는 건 이미 불가능하다. 다만 깊이 들어가면 미칠 수도 있는, 세상 외 세상의 이야기라서 그리고 잘못하면 Qanon이 될 수 있어서 조심하고 또 조심해야 한다. '엔드 오브 타임'을 보면 결국 우주는 '해탈'을 향해 나아가는 건 아닌지 하는 생각을 하다가도 억은 커녕 천 단위도 너무 큰, 그러니까 백년 정도를 살까 말까 하는 존재로서 큰 고민을 할 문제는 아니라는 생각도 했다. 진리를 깨닫는 것도 좋지만 하루를 충실히 사는 것에 더 큰 의미를 두고 혹시 윤회가 있다면 다음 생으로 가져갈 수 있는 좋은 업보와 배움 (깊은 공부는 무엇이든 한번의 생에 이룰 수 없다는 말도 있으니)을 쌓는 것에 의미를 두려고 한다. 과알못이라서 계속 과학책을 읽고 있는데 이해는 일천하여 늘지 않는다.


같은 풍의 글을 계속 읽다 보면 지치는 때가 반드시 온다는 걸 다시 한번 느낀 김훈 선생의 '달 너머로 달리는 말'. 하루키가 참 대단하다는 생각을 아니 할 수 없다. 


이븐 파들란 (혹은 팔할란)의 여행기에서는 정작 마이클 크라이튼이 주장한 이야기의 trace를 찾지 못했다. 게다가 책 한 권으로 엮기엔 분량이 너무 짧았던지 온갖 동시대 백년 이쪽저쪽의 여행기를 다 가져다 넣어놨기에 나중에는 꽤 지겨운 책읽기가 되어버렸다. 


미루던 정리를 쉽게 끝냈으니 다시 한번 주말 시간의 소중함을 깨닫게 된다. 한 주에 3-4권 정도는 읽어서 (한 달에 20권 이상을 하려면 주간 5-6권은 되어야 하는데) 토요일이나 일요일 오전에 정리하는 것이 좋겠다. 


내일부터는 다시 한 주의 밥벌이가 시작되니 오늘을 소중히 즐길 것. 옆 동네에 있는 헌책방을 갔다가 Thai음식점에 들려서 점심을 먹고 그곳에 있다는 lake공원을 돌아볼 예정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얄라알라 2022-04-25 00: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다양한 장르의 책들을 두루 알차게 읽으셨네요. ˝Qanon˝은 오늘 transient님 페이퍼 통해 처음 알게 되었어요. [엔드오브타임] [우주비밀파일]이 대척점에 있으면서도 교점이 있나봅니다. 저는 최근 읽은 죽음학의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 책과, 뇌과학자 질 볼트 테일러의 책이 대척점에 있는듯 같은 이야기를 하는 듯, 그걸 생각하는 게 흥미로웠어요

transient-guest 2022-04-25 00:16   좋아요 1 | URL
음모론의 결정판인 이익단체이고 미국은 정치와 근본주의 개신교에 많이 파고들어와 있습니다 이 두 책은 뭐랄까 정통과 이단으로 치부되는 극과 극인데 점점 가까워지고 있다는 생각이 드네요 님도 다양한 책을 많이 보시는 것 같습니다 언제나 즐겁게 읽어나가면 좋겠습니다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