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더이상 SF가 공상과학이 아닌 Nonfiction으로 느껴지는 세상이 된 것 같습니다. 게다가 그 세상은 디스토피아에 가까운 것처럼 느껴집니다. 그럴수록 SF소설들은 그 세상 속에서 조금 더 인간적인 것들을 찾아 나서고 있는 것 같습니다. 과학문명 속에도 여전히 사람들은 살고 있으니까요.~





우리는 매일 우연 같은 기적을 얼마나 심드렁하게 스쳐 지나가고 있는 걸까요. - P41


댓글(2)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얄라알라 2021-09-10 19:51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Black Mirror보면서 공포감 느끼는 이유 중 하나도, ˝근˝미래라지만 현재진형형같은 겹침 때문인 것 같아요. 작품집이면 단편 모음인가봅니다^^

Conan 2021-09-11 09:19   좋아요 1 | URL
네~ 매년 SF작품을 공모해서 당선작들을 묶어 출간하는 책입니다. 올해는 아직 안나왔네요~
Black Mirror가 뭔지 몰라 서 검색해보니 넷플릭스 드라마인가 봅니다. 벌써 여러 시즌이 나왔네요. 흥미있는 드라마 인가요?^^
 

선생님으로 정년퇴직한 편의점 사장 염여사와 염여사의 지갑을 찾아준 인연으로 편의점 알바를 하게된 서울역 노숙자 독고씨 그리고 편의점을 찾는 여러 군상들의 사연으로 이루어진 따뜻한 글 입니다. 오랜만에 마음이 따뜻해지는 글 이었습니다. 글 마지막에 굳이 독고씨의 과거가 설명되지 않았어도 좋았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됩니다.









"밥 딜런의 외할머니가 어린 밥 딜런에게 이렇게 말했다고 해요. 행복은 뭔가 얻으려고 가는 길 위에 있는 것이 아니라 길 자체가 행복이라고, 그리고 네가 만나는 사람이 모두 힘든 싸움을 하고 있기때문에 친절해야 한다고." - P140

"무대는 편의점이에요. 온갖 인간 군상이 드나드는 편의점, 주인공은 편의점의 밤을 지키는 정체를 알 수 없는 야간 알바고." - P16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땅히 죄의식을 가져야 할 사람들이 죄의식이 없고, 피해자 혹은 목격자가 죄의식 속에 사는 경우가 있습니다. 죄를 저지른 사람이 죄의식을 가지고 똑같은 죄를 짓지 않아야 하는데 죄를 짓지 않은 사람이 그 죄를 짓지 않으려 하는 것이 참 부조리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죄의식은 죄를 범했던 스스로에 대한 자기처벌이기도 하며, 똑같은 죄를 저지르지 않을 수 있게하는 윤리적 근거가 되기도 한다. - P9

네가 누구 덕에 산 줄 알아야 한다. - P33

작지만 비싸서 나는 잘 안 사먹는데 예쁘고 맛있어서 가끔 선물을 하고싶을 때 산다. - P144

아직 하지 않은 일들이고 아직 오지 않은 날들인데도 생각만 해도 기분이 좋았다. - P15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많이 달랐습니다. ‘삼미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은 슈퍼스타즈 선수들간의 무언의 동의 및 공감 그리고 슈퍼스타즈 팬들의 공감 및 지지가 있었기에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도 추억으로 남을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불펜의 시간‘을 읽은 지금 저는 소용현 문학평론가의 말처럼 인물들의 선택을 무조건적으로 응원하기 어렵습니다. 스스로 설정한 진호리그를 수행하는 혁오는 과연 진호에대한 미안함과 스스로에대한 마음의 위로를위해 다른 동료들의 경기를 망칠 수 있는 것인지, 편집국장의 성향을 너무도 잘 알면서 기현은 혁오와의 인터뷰가 원래의 의도대로 활자화 될 수 있다고 정말 믿은 것인지, 마찬가지로 박 부장을 너무도 잘 알면서 준삼은 어떻게 스스로 남을 수 있다고 믿은 것인지... 화가 날 정도로 이기적인 행동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물론 제 이해의 부족일 수 있겠으나 제게는 주인공들의 행동이 많이 불편했습니다.





윤 대리는 박 부장이 침묵을 반항으로 간주하고, 느림은 무능력의 고백이라 여기는 사람이란 걸 알고 있었다. - P9

패배한 사람의 눈을 오래 보지 말라는 엄마의 충고는 까맣게 잊었다. - P47

예외적으로 살 자신이 없고, 독보적으로 살 자신도 없었기에 준삼은 사회가 제시하는 틀에 자신을 맞췄다. - P175

나는 내게 주어진 것만 욕망하며 살아온 건 아닐까? 남의 욕망을내 욕망으로 착각하며 살고 있었던 건 아닐까? 제대로 된 욕망은한 번도 가져보지 못한 게 아닐까? - P192

비열해질 기회까지 잡을 필요는 없다고, 놓쳐도 되는 기회도 있다고 일부러 볼넷을 던지는 사람이 알려주었다. - P210

"방금 네가 한 말은 우리 사무국장이 낸 반대 의견보다 훨씬 멀게 느껴져." - P235

인물들의 선택을 무조건적으로 응원하기도 어렵다. - P25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영화 Man from Earth의 주인공처럼 구두를 만들며 오래도록 살고있는 사람의 이야기 입니다.
워낙 구병모 작가 글이 상상에 기반한 현실풍자나 우화를 그리고 있는데, 이 글 역시도 상상이지만 조금은 결이 다르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이전에도 여러번 해본 생각이지만 오래 산다는건 축복이 아니라는 생각입니다. 주변사람들이 하나 둘 떠나고 혼자 오래 산다면 얼마나 슬프고 또 얼마나 외로울까. 부서지고 사라질 세상의 것을 붙들기위해 손을 뻗는 미아가 이해가 되었습니다. 제게 주어진 삶의 분량이 얼마나 될 지 알지 못하지만 감당할 만큼이었으면 합니다.







물론 다른 이들의 불운을 열거해야만 자신의 행운을 확인할 수 있다는 건 아닙니다. - P75

어떻게 이 이름을 잊고 살 수 있었을까. - P142

"사라질 거니까, 닳아 없어지고 죽어가는 것을아니까 지금이 아니면 안 돼." - P149


댓글(2)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얄라알라 2021-08-11 14:1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제목만으로는 < Man from Earth> 류의 내용일거라는 상상이 안가네요^^ 저는 저 영화 1, 2 다 보았어요^^;;;;;어쩌자고 다 보았답니다^^;;;; Conan님께서는 Man from Earth 어떻게 보셨을지 궁금하네요^^

Conan 2021-08-11 22:45   좋아요 1 | URL
저도 우연히 1,2편을 다 봤습니다.~^^ 영화와 이 책의 틀은 비슷합니다. 늙지 않고 ,여기 저기 옮겨서 살고, 예전에 알았던 사람 우연히 만나고 등등... 저는 여러세대에 걸쳐 길게 사는 것 보다는 짧고 이리저리 부대끼면서 사는 우리의 삶이 더 인간적인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