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나긴 직장과 사회생활에서 힘든 일을 겪을 때마다

내겐 딱히 멘토라 할만한 사람이 없었다.

고민을 토로한 친구나 동료들은 고만고만한 충고를 할 뿐이고

내용은 그저 넋두리나 한탄, 잘해야 공감이었다.

 

그들 역시 나와 전혀 다를 바 없는

때로는 오히려 내가 위로하고 토닥여줘야 하는

나와 똑같은 고민을 하고 힘들어하는 평범한 사람들일 뿐이었다.

 

그래서 내가 의지할 유일한 멘토는 책이 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책은 불친절한 멘토였다.

내 고민을 듣고 맞춤형으로 답을 주진 않았다.

 

그저 비슷하게 두리뭉실하게 답을 하곤 했다.

답을 찾으며 한 권 한 권 읽을 수밖에 없었고

운이 좋을 땐 비슷한 답을 찾았지만

대부분은 의문점을 안고 기나긴 시간을 헤맬 수밖에 없었다.

 

인생에 어찌 맞춤형 답이 있겠는가?

우주를 덮는 장자의 오지랖을 내게 맞추는 건 불가능한 일이었고

니체의 영원회귀는 피부에 와 닿았지만 돌아서면 그만이고

부처님의 고귀한 진리는 공염불이 되기 일쑤였다.

 

내가 몸으로 체득하지 못한 지혜란 허약했다.

어설픈 답은 늘 치열한 현실에서 박살이 났다.

돌아서면 제자리. 늘 같은 자리를 맴돌 뿐

묘수는 없었다. 있다 한들 찾을 도리가 없었다.

 

책은 그저 죽어라 하소연하는

중생을 말없이 바라보는 부처님의 인자한 미소였다.

그렇다고 책을 버릴 수는 없었으니

그래도 내 고민을 들어주는 건 말 없이 책장에 꽂혀 있는 그들 뿐이었다.

 

그렇지만 책은 당장에 답을 주지는 못하지만

스스로 답을 찾고 길을 찾을 수 있도록

스스로 생각하는 힘을 키울 수 있도록

나를 밀어주고 지탱해주는 친구였다.

 

진정한 친구란 그런 존재가 아니던가?

망했다고 급전을 만들어 주지는 못하지만

재기할 수 있도록 옆에서 말없이 용기를 북돋아 주는

책은 내게 그런 존재였다.

 

시간이 흘러 젊은 날의 치열한 고민이

이젠 그저 그런 지난날의 흔적으로 퇴색되었고

전쟁 후 훈장처럼 내 가슴에 남아있지만

 

책은 아직도 남아 있는 몇 개의 숙제를

여전히 같이 해결해야 할 소중한 친구이자 인생의 동반자로서

묵묵히 나와 함께 걸어가고 있는 멘토임은 변함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과거엔 내 주변의 사람들에게 늘 독서를 권유했다.

특히 맘에 드는 사람들에게 더욱 독서를 강조하였다.

 

이렇게 재미있는 걸 나만 하기엔 너무 안타까워

이렇게 유익한 걸 나만 알기엔 너무 아까워

독서에 동참하기를 바라며 열심히 전도하곤 했다.

 

내 전도에 대한 그들의 반응은 이러했다.

 

첫째, 가장 우호적인 반응

고개를 끄덕이며 열심히 들어주고 당장 읽을 것 같은

반짝반짝한 눈빛을 보내주었던 사람들

무슨 책을 읽어야 하나 물어보며 권장 도서를 찾는 시늉을 해

전도한 보람을 느끼게 한 사람들이다.

 

둘째, 시큰둥하며 책 볼 시간이 있으면 다른 재미있는 걸 하겠다며

건성으로 흘려듣고 마는 차가운 현실주의자.

이들은 책보다는 유튜브로 똑같은 정보를 더 빠르게 얻을 수 있다고 했다.

 

셋째, 회의주의자

책을 읽는 것은 좋으나 백 날 읽어도 바뀔 것은 없다며 내내 비판적인

반응을 보낸다이들은 특히 실천을 강조했다

세상은 읽는다고 바뀌는 게 아니고 실천을 해야 바뀐다며 

나를 머쓱하게 만들었다.

 

넷째, 읽고는 싶은데 시간이 없다는 둥, 머리가 나빠 이해가 

되지 않는다는 둥 이리저리 핑계를 대는 게으른 사람들.

 

결론은 모두 다 읽지 않았고 

난 이제 그 누구에게도 독서를 권유하지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보수는 돈으로 권력을 가졌지만

명예까지 얻기를 원하는 사람들.

 

진보는 도덕으로 권력을 얻었지만

돈까지 갖기를 원하는 사람들.

 

둘의 차이점은

보수는 명예까지 가지려는 것을

굳이 숨길 필요가 없다는 것.

 

진보는 돈까지 가지려는 것을

꼭 숨겨야 한다는 점.

 

공통점은 둘 다 순서만 다를 뿐 결국

, 권력, 명예, 도덕을 다 가지려는 것

모든 것을 누리려는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청년의 불안은

불확실한 미래의 기대감

 

노인의 불안은

정해진 미래의 두려움

 

뭔가를 해야 하는 강박은

꼭 겪어야 할 성취동기

 

해온 것을 놔야 하는 상실은

버리고 비워야 할 통과의례

 

그러니

청년은 두렵지만 기대하고

노인은 버렸지만 두렵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쓸모 있기를

애쓰지 말고

 

있는 그것으로

사랑하자.

 

누군가에 말고

스스로 선택하자.

 

도구 아닌 목적과

쓸모 아닌 존재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