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엔트로피와 시간의 관계

 

에너지를 많이 쓸수록 시간은 빨리 가는 것이다.

우주의 모든 에너지 총량은 정해져 있다. 유한하기 때문이다.

유한한 에너지를 빨리 소비할수록 남아 있는 에너지의 양도 

그만큼 빨리 줄어든다.


에너지를 많이 사용할수록 엔트로피 총량은 늘어갈 것이고

엔트로피 총량이 증가할수록 열 죽음(우주의 종말)에 도달하는 시간은 

빨라질 것이다.

 

달리 말하면 쓸 수 있는 에너지가 소비되어 쓸모없는 에너지로 바뀐다면

이 세상은 수명을 다하는 것이다.

즉 우리가 에너지를 많이 소비할수록 그만큼 남아 있는 에너지 사용 가능량은 줄어들 것이니 

결과적으로 에너지를 쓰면 쓸수록 시간은 빨리 가는 것이다.

 

모든 생명체는 주변 환경으로부터 마이너스 엔트로피를 지속적으로 

흡수하며 살아간다.

즉 생명체가 살기 위해서는 엔트로피 법칙을 거슬러야 한다.

생명체가 세포를 재생하며 생명을 유지하는 활동은 소비가 아닌 

생산의 과정이다.

생명활동의 지속은 엔트로피 법칙과 거꾸로 쓸모 없음에서 쓸모 있음으로의 과정이어야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는 우주에서 극히 희귀한 경우다. 만약 우주에 생명체가 우리 지구에만 

존재한다면 엔트로피의 법칙을 잠깐이나마 피하고 있는 유일무이한 사례일 것이다.

그러나 결국 생명체의 성장에 따른 부분적인 소량의 엔트로피 감소는 

우주에서의 보다 큰 엔트로피의 증가를 수반하기에 결과적으로 에너지 총량은 같다.

 

모든 생명체는 주변 환경에 더 큰 무질서를 창조해야만 생명을 유지할 수 

있기에 잠깐 질서를 유지하고 있을 뿐 곧 무질서의 세계로 넘어가고 만다.

생명의 신비라는 질서의 대가는 곧 막대한 피해를 유발한다.

 

인류의 문명은 거대한 외부비용을 필요로 한다.

우주를 기준으로 본다면 그야말로 새발의 피지만 지구를 기준으로

지구가 보유한 자원을 다 써버린다면 즉 지구의 엔트로피 총량을 0에서 100으로 만든다면

우리는 더 이상 지구에서 생존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모든 기술은 주변 환경에 더 큰 무질서를 창조하는 대가로 

일시적인 질서의 섬을 만들고 있기에 기술이 주는 이익이 

그 피해(외부비용)보다 항상 크다는 것은 거짓이다.

엔트로피 과정은 역행하지 않기에 결코 시간을 되돌릴 수는 없다.

정해져 있는 에너지를 추가로 만들어 낼 수는 없기에 남아 있는 에너지를 

아껴 쓰는 것만이 인류의 종말을 늦추는 방법일 것이다.

 

결국 엔트로피의 법칙이란 한 마디로 세상에 공짜는 없다라는 말과 

다르지 않다. 역시 우주에 무한한 것은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엔트로피
제레미 리프킨 지음, 이창희 옮김 / 세종연구원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학교양의 고전이다. 열역학을 모르는 일반인에게 엔트로피라는 개념을 각인시켜준 기념비적인 저작. 워낙 오래전 책이라 급속한 과학기술의 발전을 고려하면 내용이 다소 고루하다. 그럼에도 아직 안 읽은 분이라면 읽어 볼만하며 전에 읽었더라도 다시 한 번 볼만한 가치가 아직도 건재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엔드 오브 타임 - 브라이언 그린이 말하는 세상의 시작과 진화, 그리고 끝
브라이언 그린 지음, 박병철 옮김 / 와이즈베리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물리학자가 지구와 지구의 생명체를 포함한 우주의 시작과 끝을 엔트로피 등 물리법칙 몇가지로 퉁쳐서 엮어나간 놀라운 책이다. 우주의 역사를 이렇게 단순하게 정의내릴 수 있다는 게 경탄스럽긴 하지만 내용을 다 이해할 수 없어 안타깝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런 순간이 있지 않은가?

자유로운 생각의 끄나풀들이

논리도 뭉치지도 못하고 감상으로 펼쳐지지도 못한 채

제멋대로 날아다니며 흩날리다가 잠깐 사이에 깨끗이 사라지고 마는,

바로 즉시 글로 잡지 못하고 시간이 흘러가면 연기처럼 흩어져 버리는...


나같이 재미로 책을 보는 사람이라면 추천하지 않고

과학에 대한 지식을 갖고 있다면 추천하고 싶고

과학과 철학에 다 관심을 가지고 계신다면 강추


그렇지만 대단한 책이다. 우주와 지구와 인간의 시작과 끝을

논한다. 이해는 안되지만 뭔가 희미한 깨달음?

과학을 하는 부처라면 이렇게 사람들에게 불법을 설파했을까?

과학적 연기론을 보는 듯.....

10분의 1도 이해가 안되니 너무 슬프다. 문과의 슬픔.



(이하는 그냥 책을 이해하지 못하고 느낌만 잡은 글이니 볼 것 없을 듯)


나를 포함한 세계를 굳이 나누자면

나와 세계이며

성찰을 향하는 내면의 방향과 외부로 나아가는 세계로 구분할 수 있다.

 

인간의 머리에서 나오는 모든 것은 내면의 성찰이며

그 외에 존재하는 것은 나의 물리적 실체를 포함하고 있는 온 우주다.

그러므로 나와 세계는 결국 정신과 물질로서 나뉠 수도 있겠다.

 

그래서 신은 존재하는가? 에 대한 답을 과학적으로 실증할 필요는 없다.

신은 우리의 내면에 존재하는 성찰의 결과물이지

우주를 구성하는 물질 중 하나가 아니기 때문이다.

 

우리는 어떤 존재의 유무를 물질로써 파악하는 경향이 있다.

다른 말로 과학적인 것은 물질을 분석하는 것이고

물질로 이루어진 우리의 뇌 자체는 과학적인 연구의 대상이 될 수 있지만

뇌의 작용으로 만들어진 추상적인 사유는 그 대상이 될 수 없다.

 

즉 우주의 시간과 공간을 알기 위해 우리가 하는 노력은 과학이지만

장엄한 우주의 서사에 경탄하며 찬미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건 우리 마음이다.

 

이미 탄생한 우주가 운영되는 원리는 물리법칙이라 하고

이 우주가 만들어진 이유와 진행 과정은 무작위의 우연이라고 하자.

 

우연히 만들어진 우주가 몇 가지 법칙으로 존재하다가 사라진다면

우주의 역사를 하루로 볼 때 빛이 원자 한 개를 지나가는 찰나의 시간에

존재했던 생각하는 생명체의 의미를 무엇에다 담아야 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문과 남자의 과학 공부 - 나는 무엇이고 왜 존재하며 어디로 가는가?
유시민 / 돌베개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문과인 내가 과학서적을 보면서 늘 느꼈던 걸 유명하신 분이 대신 써주니 반가웠다. 늘 느끼는 거지만 과학은 겉만 보면 재미있지만 들어가면 어렵다. 몰라도 사는데 지장없다고 하지 말고 문과도 과학에 관심을 갖자. 앞으로 첨단기술 시대를 살아야 하는 세대로서 최소한의 자격요건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