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공부를 하면서 목이 불편함을 자주 느낀다.
우리나라 말을 하면서는 전혀 못 느꼈던 일이다.
공부를 마치고 나면 마치 노래방에서 노래를
한 10곡 부르고 난 것처럼 목이 칼칼하다.
우연히 인터넷에서 영어 발성에 대한 글을 보고 나서야 알았다.
각 언어는 그 언어만의 고유한 발성법이 있고
모국어는 어릴 적부터 자연스럽게 터득하였기에 불편함을 모르지만
발성법이 다른 외국어를 하면 당연히 그에 따라 평소 쓰지 않던
목의 근육과 공명을 사용하기에 목에 부담이 온다는 것이다.
그래서 계산해봤다. 한 시간에 40여개의 문장을 30번씩 반복하니 무려 1,200회다.
한 시간에 1,200개의 문장을 발음하려니 당연히 목이 아플 수밖에.
내친김에 지금까지 공부한 시간으로 계산해봤더니 250시간만에 223,000번을 했다.
고작 250시간 했는데 223,000번의 문장을 발음한 것이다.
영어를 미친 듯이 하다 성대결절이 왔다는 사람의 이야기를 인터넷에서
본 적이 있었는데 농담이 아닌 것이다.
모두 그러지는 않겠지만 평소 성대가 약한 사람은
그럴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또 한 가지 깨달은 것.
영어는 한국어에 비해 혀의 놀림과 공명을 많이 사용한다는 것이다.
오래전에 노래에 심취해 발성법을 열심히 찾아 연습했던 적이 있었는데
영어 문장이 리듬감 있게 발음될 때 마치 노래를 부를 때와 비슷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음성학과 발성법 전문가가 아니기에 근거는 못 대겠지만
한국어에 비해 영어가 노래에 더 유리한 언어인 것 같다는 느낌은 계속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