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 순간이 있지 않은가?

자유로운 생각의 끄나풀들이

논리도 뭉치지도 못하고 감상으로 펼쳐지지도 못한 채

제멋대로 날아다니며 흩날리다가 잠깐 사이에 깨끗이 사라지고 마는,

바로 즉시 글로 잡지 못하고 시간이 흘러가면 연기처럼 흩어져 버리는...


나같이 재미로 책을 보는 사람이라면 추천하지 않고

과학에 대한 지식을 갖고 있다면 추천하고 싶고

과학과 철학에 다 관심을 가지고 계신다면 강추


그렇지만 대단한 책이다. 우주와 지구와 인간의 시작과 끝을

논한다. 이해는 안되지만 뭔가 희미한 깨달음?

과학을 하는 부처라면 이렇게 사람들에게 불법을 설파했을까?

과학적 연기론을 보는 듯.....

10분의 1도 이해가 안되니 너무 슬프다. 문과의 슬픔.



(이하는 그냥 책을 이해하지 못하고 느낌만 잡은 글이니 볼 것 없을 듯)


나를 포함한 세계를 굳이 나누자면

나와 세계이며

성찰을 향하는 내면의 방향과 외부로 나아가는 세계로 구분할 수 있다.

 

인간의 머리에서 나오는 모든 것은 내면의 성찰이며

그 외에 존재하는 것은 나의 물리적 실체를 포함하고 있는 온 우주다.

그러므로 나와 세계는 결국 정신과 물질로서 나뉠 수도 있겠다.

 

그래서 신은 존재하는가? 에 대한 답을 과학적으로 실증할 필요는 없다.

신은 우리의 내면에 존재하는 성찰의 결과물이지

우주를 구성하는 물질 중 하나가 아니기 때문이다.

 

우리는 어떤 존재의 유무를 물질로써 파악하는 경향이 있다.

다른 말로 과학적인 것은 물질을 분석하는 것이고

물질로 이루어진 우리의 뇌 자체는 과학적인 연구의 대상이 될 수 있지만

뇌의 작용으로 만들어진 추상적인 사유는 그 대상이 될 수 없다.

 

즉 우주의 시간과 공간을 알기 위해 우리가 하는 노력은 과학이지만

장엄한 우주의 서사에 경탄하며 찬미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건 우리 마음이다.

 

이미 탄생한 우주가 운영되는 원리는 물리법칙이라 하고

이 우주가 만들어진 이유와 진행 과정은 무작위의 우연이라고 하자.

 

우연히 만들어진 우주가 몇 가지 법칙으로 존재하다가 사라진다면

우주의 역사를 하루로 볼 때 빛이 원자 한 개를 지나가는 찰나의 시간에

존재했던 생각하는 생명체의 의미를 무엇에다 담아야 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