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편으로는 한국 특유의 ‘모멸 문화‘도 중요한 요소라고 본다. 너의 자존감이 낮아져야 나의 자존감이 높아진다고 믿는 인간들이 부지기수다. 터럭 한 올만큼이라도 내 지위가 더 높은것 같다면 그걸 꼭 확인해야 한다. 모멸감을 주는 언어도 아주잘 발달해 있고, 지금 이 순간에도 혁신과 발전을 거듭하는 중이다. 된장녀, 맘충, 한남, 지잡대, 틀딱, 기레기, 검새, 견찰·그러고 보니 ‘예의‘와 ‘무례함‘도 요즘 신간 에세이의 주요 키워드다. - P35

사실 무력감으로 귀결되는 이야기의 결말을 바꾸면 고전적인 영웅서사다. 가진 게 없었고, 시련을 겪었으나, 결말은 창대한 미래를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같은 소재로 다른 이야기가나온다. 그러므로 희망이, 목표가 필요하다. 그 이야기에서 주인공은 과거가 보잘것없고 현재가 힘들수록 더 대단해진다. 그는 실패하더라도 비극적 영웅이 되지, 무력한 존재가 되지는 않는다. - P36

나는 양심이라는 한국어를 무겁게 받아들인다. 양심을 지니고 산다는 말은 도덕적으로 소신 있게 산다는 말과는 조금 다른 뜻 같다. 내게 양심은 개개인의 윤리적 신념 체계보다는 오히려 그런 견해에 곧잘 이의를 제기하는 ‘내 안의 인류 공동체‘
쪽에 가깝다. 그런 존재가 당신 안에도 있다고 믿기 때문에 당신과 나 사이에 공통분모가 있다고, 우리가 연결돼 있다고 느낀다. - P40

초연결 시대인 오늘날에는 초외향적인 극소수를 제외한 대다수가 그런 처지로 몰리는 듯하다. 사생활 공개와 실시간 응답이 점점 더 우리 시대의 성공 비결이 되어가고 있다. - P44

*일명 240번 버스사건. 2017년 9월 11일, 서울 240번 버스 기사가 아이 혼자만 먼저 내린 것을 확인하고 뒷문을 열어달라는 아이 엄마의 요구를 무시했다는 내용의 글이 인터넷에 확산되면서 벌어진 논란으로, 버스 기사는 수많은 악플을 받았지만 이후 버스 기사에게 잘못이 없었다는 사건의 진상이 밝혀졌다. (편집자 주) - P4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루 종일 창가에 서서 내가 커지는 놀이 - P184

다시 말하지만저 풍경보다 큰 내가 사는 우리 집은 얼마나 큰지 - P185

짧게 친 머리칼은 새벽처럼 서늘하고앵두보다 작은 엉덩이는 눈물의 발원지를 찌르듯. - P18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금 우리 사회는 어떤가. 광장의 섬뜩한 구호들, 포털 사이트의 적개심어린 댓글에서 나는 가끔 진한 외로움을 읽는다. 자기 존재의 의미를 의심하는 이들이 무리에, 거대서사에 소속되고 싶은 마음을 그런 식으로 드러내는 것 아닌가 싶어서다. 외로움을 넘어선 그 공허함이 가엾다. - P1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금 우리 사회는 어떤가. 광장의 섬뜩한 구호들, 포털 사이트의 적개심어린 댓글에서 나는 가끔 진한 외로움을 읽는다. 자기 존재의 의미를 의심하는 이들이 무리에, 거대서사에 소속되고 싶은 마음을 그런 식으로 드러내는 것 아닌가 싶어서다. 외로움을 넘어선 그 공허함이 가엾다. - P19

적어놓고 보니 이는 곧 현대를 살아가는 일에 대한 비유 아닌가. 현대인은 참으로 정교하고 복잡하며 자체적인 작동 원리를 지닌 시스템들에 의존해서 살아간다. 정치, 경제, 행정, 사법,
산업, 금융, 복지, 교육, 조세, 교통...... 이중 어느 것 하나라도내 앞에서 고장이 난다면 내 삶은 치명상을 입는다. - P23

전국 도시 곳곳에서 재활용 쓰레기 분리배출을 맡아 하는 사회적기업을 만들고 지원하면 아파트 주민과 경비원들이 한숨돌리지 않을까. 아침에 아이들을 어린이집이나 학교에 데려다주고 오후에 집으로 데려오는 사회적기업이 많아지면 젊은 부부의 삶이 얼마나 더 여유로워질까. 일자리도 창출되고 말이다. - P27

만약 후자의 질문에 ‘그렇다‘고 답한다면, 같은 맥락에서 대만 폭스콘 공장의 비인간적인 노동 실태가 폭로됐을 때 우리는애플 제품도 거부해야 하는 걸까? 내가 잠시라도 어떤 사회 시스템에 간여한다면, 그 시스템 전반이 공정하고 정의로운지, 누군가를 착취하고 있지는 않는지 살펴야 할 의무가 내게 있는걸까? - P31

자기 계발서 열기가 가라앉은 뒤 ‘힐링‘과 ‘독설‘ 서적이 인기를 끌다가 웰빙, 휘게, 욜로를 말하는 책들이 나왔다. ‘사회는 모르겠고 나 하나만이라도 성공해보자!‘ 하고 결심했다가, 악을쓰다 상처받고, 다독이고, ‘이젠 그냥 편히 살고 싶어‘ 하고 꺾이는 마음 같은 것이 느껴지는 듯하다. - P3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침의 나무는 아침의 나무로 서 있다. 조금씩 환해지는 햇빛 아래에서, 소란한 고요 속에서, 하늘을 향해 두팔 벌린 아이처럼, 무한의 경계를 알고자 하는 눈먼 사람처럼. - P227

태초의 기억으로 되살아난 이미지들이 나를 흔든다. 나를 어딘가로 밀어 올렸다 밀어 내린다. 어릴 적 어 - P229

소리는 빛보다 더 명징하게 하나의 세계를 보여준다 - P236

나는 말한다. 바다의 것만은 아닐 거예요, 바다 그 자신만의 것은. 우리가 우리자신만의 것이 아니듯. 이것이 이 섬의 비밀이다. - P23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