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와 담양과 알라디너들을 만나다
광주 이벤트, 우리의 소중한 시간
6.14 광주이벤트 3탄~~ ^^

광주이벤트에 오는 이들이 제일 많이 기대한 소쇄원, 영화 '가을로'와 '황진이' 촬영지였고, 역사물 속에 많이 등장하는 곳이다. 유홍준의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1권 273~290쪽에, 다음 코스인 '식영정'과 식영정 건너편에 있다는 '환벽당' '취가정', 우리가 저녁 먹었던 전통식당에서 조금 올라가면 있는 '명옥헌'도 291~308 쪽에 상세히 나와 있다. 다녀가신 분들은 이 부분을 찾아 읽으면 충분히 이해하며 고개를 끄덕일 것이다.^^
그리고 소쇄원의 아름다움을 노래한 하서 김인후의 '소쇄원 48영'도 책으로 나와 있다.(전에 멜기님께 드린 바로 그 책)
꿈에 그리던 소쇄원을 샅샅이 살펴보며 조선시대로 백 투 더 퓨쳐~~~ ^^
소쇄원의 주인인 양산보(1503~1557)는 정암 조광조의 제자로, 기묘사화로 조광조가 능주로 유배되자 낙향하여 두문불출, 은둔거사로 살았다. '절대로 남에게 팔지 말 것, 돌 하나 계곡 한구석도 내 발자국 닿지 않은 곳이 없으니 하나도 상함이 없게 하라'는 유언을 15대째 후손들이 잘 지켜오고 있다. 현재 1,350평이 등록되어 있단다.

진입로부터 다르지 않은가~~ 왼쪽엔 앵두나무와 매화나무에 이어 대나무 숲이고 오른쪽에 호두나무가 있었다.

알알이 매달린 호두 열매~~~
입구가 열려 있는 소쇄원에서 방문자가 처음 만나는 초가 정자인 '대봉대' '봉'을 기다리는 곳?^^

웬디양은 저 담장에 홀딱 빠져 사진을 찍고, 충실히 설명을 듣는 전호인님과 마노아님, 여기를 지나는 사람은 모두 '봉'이라니까 우린 모두 봉이 됐어요. ^^

마삭줄의 꽃향기가 난다는데 때가 지나 한두 송이 남은 꽃향기를 클리오님이 대표로 맡았는데...??
아무 곳이나 셔터만 눌러도 멋진 풍경이 펼쳐지고~~ 소쇄원의 이곳 저곳 사진으로 즐감하세요.

저기 보이는 담장에 쓴 글은 '소쇄처사 양공지려'라고 송시열이 써 준 일종의 문패란다.^^

계곡에서 불어온 바람을 막지 않고 지나도록 담을 열어 두었고 개울물이 흐르도록 받침을 쌓아 물길을 거스르지 않은 지혜가 돋보인다. 이래저래 명바기가 한 수 배워야 할 선조들의 지혜!


개울물이 흘러 고이고, 작은 폭포수로 떨어지는 곳, 나무 홈을 따라 흘러 작은 연못이 되어 개구리도 놀고 물고기도 놀 수 있게 꾸몄다. 자연을 거스리지 않으면서도 인공적인 조형물이 잘 어우러지는 곳, 수년 전에만 해도 저 나무홈을 따라 물이 제법 흘렀는데...지금은 물길이 나뉘어져서...

넓적한 바위는 바둑돌이란다. 찾아온 지인과 저 위에 판을 올리고 바둑을 두었다니 얼마나 멋진가!

제일 윗쪽 양지 바른 곳에 위치한 주건물인 제월당. 마루에 앉아 내려다 보는 경관이 참 눈부시다.

양산보와 사돈간이던 하서 김인후가 쓴 '소쇄원 48영'과 제월당 편액

저어기 방안에 보이는 것은, 마루 끝에 앉은 아저씨가 줄줄 외우던 도연명의 '귀거래사'.
내집에 온 사람들처럼 편안히 앉아 있는 알라딘 식구들.^^

방 벽에 붙여 있던 귀거래사와 제월당에서 바라본 '광풍각'의 모습


제월당에서 광풍각으로 가려면 협문을 지나는데, 고개를 숙여야 나갈 수 있다. 겸손함을 잃지 말라는 의미라는데, 내 앞에 나가는 아저씨가 그만 고개를 안 숙이고 나가다 꽝~ 이마를 부딫히는 바람에 미안해서 사진도 못 찍었다. ㅎㅎㅎ 이래서 선생님의 설명을 잘 들어야 한다니까요!ㅋㅋ
투죽교를 건너와서 찍은 광풍각 전경
광풍각의 편액, 바람이 통하도록 문을 올려 걸어둔 센스, 현대인을 앞지르는 지혜로움...


원림의 구조와 건물배치를 자세히 그려 목판화로 남긴 '소쇄원도'

광풍각 앞으로 졸졸졸 물길이 흐르고...

작은 폭포가 되고...

웅덩이가 되고...

지금은 시멘트 다리지만, 예전엔 대나무를 두개 엮어 걸쳤다는 투죽교. 간만에 클리오님이 잡혔다.^^

앗, 이 사진은 잘못 찍혔지만~~지금 수리중이라 들르지 않은 애양단, 멀리서 잡았더니 ㅠㅠ
담장에 하얀 표지 보이죠? 그 담장에 지은 시를 붙이고 평가했다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