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그림 보면 옛 생각난다] 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
-
옛 그림 보면 옛 생각 난다 - 하루 한 장만 보아도, 하루 한 장만 읽어도, 온종일 행복한 그림 이야기
손철주 지음 / 현암사 / 2011년 5월
평점 :
요즘은 사람들이 문화생활에 많은 투자를 하는 것 같다. 이름난 유명한 전시회나 공연은 소개되자마자 많은 사람들로 붐빈다. 특히 전시회 같은 경우에는 줄을 서서 그림을 감상하여야 할 정도로 사람들이 몰린다. 제대로 그림을 감상하기 쉽지 않지만, 그래도 해외에 나가지 않고 직접 내 눈으로 그림을 볼 수 있다는 자체만으로도 반갑고 기분 좋은 일이라고 스스로 위로해본다.
그런데 해외 유명 작가들의 작품은 하루가 멀다하고 전시회장을 찾지만, 우리나라의 옛 그림을 전시회장에서 찾아보기는 쉽지가 않다. 나 자신도 박물관에서 본 그림 이외에는 우리 옛 그림을 제대로 감상해 본 적이 별로 없는 것 같다. 우리 옛 그림에 대해서는 문화유산으로 생각할 뿐, 그림으로 여기고 감상의 대상으로 생각하지 않는 것 같다. 그리고 서구 회화 중심으로 교육이 이루어지다보니 우리도 모르게 우리들의 눈이 서양화에 맞추어져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개인적으로는 이제는 고인이 되신 오주헌의 ‘한국의 미’라는 책을 읽고 나서, 우리 옛 그림이 가진아름다움을 알게 되었다. 우리 것이다보니 그저 좋다, 라고만 생각했지, 그 그림이 어떻게 그려졌는지, 어떤 의미를 담고 있는지, 어떻게 그림을 보아야 하는지 등에 대해서는 제대로 몰랐다. 그런데 청중을 대상으로 강의한 내용을 엮은 그 책을 읽으면서 우리 그림에 대해서 눈을 뜨게 되었다.
이 책을 쓴 손철주는 ‘그림 아는 만큼 보인다’ 라는 책을 통해 알게 되었다. ‘그림 아는 만큼 보인다’는 아직도 많은 사람들에게 애독되는 스테디셀러다. 지은이의 그림에 대한 남다른 사랑은 글 속에서 그대로 묻어 나왔다. 이 책에서도 지은이의 우리 옛 그림에 대한 애정과 사랑을 읽을 수 있었다. 그림에 대한 배경이나 분석, 잡다한 정보 등에 대해서 이야기하기 보다는 그림이 전하고자 하는 감정을 전달하려고 한다. 그래서인지 책은 수월하게 잘 넘어간다.
지은이는 우리 옛 그림 68점을 골라 봄, 여름, 가을, 겨울 사계로 나누어 감상하는 방법을 택하고 있다. 정선의 ‘꽃 아래서 취해’, 심사정의 ‘달 빛 매화’, 임희지 ‘난초’, 신윤복의 ‘연못가의 여인’, 김홍동의 ‘포의풍류도’ 정선의 ‘어부와 나뭇꾼’, 정조의 ‘들국화’, 변상벽의 ‘고양이와 국화’, 이인상의 ‘설송도’ 권돈인의 ‘세한도’ 등 우리에게 익숙한 그림에서부터 작자 미상의 그림까지 계절의 느낌을 그대로 전달해주는 우리 옛 그림을 보고 있노라면 마음이 편안해지고 여유로워지는 것 같다. 동양화에서 볼 수 있는 여백의 미와 생활에 근접한 묘사 때문이 아닌가 한다.
책 순서대로 읽을 필요없이 아무 쪽이나 펼쳐서 읽어도 좋다. 각 그림당 2쪽 정도에 해당하는 글을 싣고 있어서 편안하게 글을 읽으면서 감상을 할 수 있다. 다만 그림이 조선시대로만 채워져 있어서 다소 아쉽다. 옛 그림을 이야기할 때면 대부분 조선시대를 참고로 하는데, 일반 독자들의 입장에서는 조선시대 이전의 역사 속에서 찾아볼 수 있는 많은 우리 옛 그림도 소개가 되었으면 하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