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 속의 바다 - 2004년 뉴베리 아너 상 수상작 청소년문학 보물창고 12
케빈 헹크스 지음, 임문성 옮김 / 보물창고 / 2006년 7월
평점 :
절판


12살이면 우리딸 아이 또래의 아이들이 겪을수 있는 사춘기와 맞물려있는 다양하고도 미묘한 감정이 내부에서 끓어오르는 시기로 가족의 울타리내에서 조금씩 그 울타리를 벗어나고픈 감정이 생길 수도 있고 사랑이라는 감정이 싹틀 수도 있는 또 친구간의 우정이 다져지기도 하는 시기로 내 어릴적의 그런 복잡한 감정을 느껴볼 수 있는 시간을 <병 속의 바다>를 통해 떠올리게 한 소중한 경험이었다. 

주인공 마사는 친하지도 않았던 같은 반 친구인 올리브의 죽음을 그녀의 엄마를 통해서 전해듣게 되고 올리브의 일기를 받게되면서 자신과 같은 생각을 하고 있었다는 사실과(대서양에 가고싶고 작가가 되겠다는 꿈) 자신을 반에서 가장 좋은 친구로 생각했다는 사실에 혼란스럽다.
자신의 관심밖에 있었던 올리브를 기억해 내려 하지만 몇 달 전에 전학을 왔다는 사실과 외톨박이 소녀였다는 사실외에 기억나는 게 별로 없었다. 하지만 올리브가 그때 부터 자신의 중심에 들어오게되면서 이야기가 전개된다.

 마사는 휴가를 맞아 가족과 함께 할머니가 계신 대서양으로 휴가를 떠난다.
그곳에서 갓비할머니에게 자신의 속내를 털어놓기도 하지만 할머니는 마사의 혼란스러움등의 복잡한 마음등을 꿰뚫어보는 듯이 보인다. 특별히 그것에 대해 마사와 이야기를 나누거나 말해줄 것을 강요하지 않으면서도 마사와 가장 많은 이야기를 나눈다. 그것이야말로 연륜이며 손녀에 대한 사랑과 관심을 나타낸것같다.

큰 사건을 축으로 이야기를 끌어가는 것은 아니지만 일상의 소소한 이야기를 흥미롭게 끌어나가고 있다.
그중에서 마사에게는 큰 일 일수 있는 지미와의 첫키스가 내기를 위한 것이란 사실에 많이 분노하며 비참함을 느끼게 한다는 사실이 그나마 큰 사건이라 할 수 있겠다.

또한 바닷가에서 담아온 물을 올리브가 살던 집의 계단에 앉아 이름을 쓰면서 올리브를 떠나보낸다.

그 여름을 그렇게 호되게 보내고 집으로 온 마사는 '가족'이라는 존재가 갖는 소중함을 절실히 느끼게된다.
성장동화의 가장 커다란 중심은 역시나 집이되고 가족이 됨을 새롭게 각인시킨다.
마지막 부분을 "저 집에 왔어요!"라 마무리 했듯이 성장통을 앓는 사춘기 아이들이 그렇게 집으로(제자리) 돌아오길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