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영동이
김정호 글, 김재홍 그림, 안대회 원문풀이 / 장영(황제펭귄) / 2013년 4월
평점 :
품절


지금껏 '소리'나 '민요'라 하면 전라도 지방을 떠올렸다. 물론 경기 민요도 있고 서도나 강원도도 있으나 무지한 나는 통영과는 전혀 연결을 짓지 못했다. '백조요'라는 것은 들어 본 적 조차 없었고 이것이 중요한 우리 민요의 하나라는데도 불구하고 나 뿐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잘 모르지 싶다.

 

표지의 아이는 부채를 들고 흥에 겨워 노래를 하여 즐거워 보일테지만 실상은 그렇지만은 않다. 물론 본인이 노래를 하는 순간은 행복할지 몰라도 부모 없이 사는 오누이는 부잣집에 잔치라도 있으면 빠지지 않고 찾아다니며 노래로 밥을 벌어 산다. 복색을 보아도 알수있듯 여기저기 기워입은 것이 눈에 띄고 뒤쪽에 바가지를 들고 있는 여동생은 아마도 음식을 얻고 있는 모양이다. 배경에 있는 사람들의 웃고 있는 얼굴에서 난 아름다운 슬픔과 애잔함이 느껴진다.

 

백조요에 얽힌 사연이 참으로 애닮다.

통영 장에서 노래를 부르며 신나게 길놀이에 나선 통영동이는 동생을 잃어버린다. 밤낮으로 동생을 찾아 헤맸지만 어디에서도 동생을 찾을 수 없었다. 걱정으로 밥도 물도 먹지 않고 눈물만 흘린 통영동이는 눈이 멀게 된다. 자신의 목소리와 노래를 기억할 동생을 찾기 위해 방방곡곡 다니며 노래를 부르고 다닌다. 온갖 새가 등장하는 노래로 사람들의 입을 통해 널리 퍼지게 된 노래가 다름아닌 백조요였다. 대체적으로 민요가 작자미상인데 반해 이 노래는 통영동이라는 걸인이 만들어 유행된 사실이 밝혀졌고 조수삼이 묘사한 <추재기이>라는 책에 실려있다.

 

김재홍 작가의 그림은 톤이 어두워서인지 다소 무거운 스토리와 잘 어울린다. 특히 눈이 멀게 된 통영동이의 사연이 나오는 페이지는 절정에 이른다. 검은 바탕에 살짝 드러난 통영동이를 표현한 그림은 슬픔이 극대화 되어 보는 사람들의 마음이 뭉클해진다.

이것이 김재홍 작가의 강점이 아닌가 싶다.

김재홍 작가의 그림은 아름답기는 하지만 대체적으로 밝고 따스한 느낌보다는 톤다운 된 그림에서 마음도 차분하게 가라앉게 만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