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킬 박사와 하이드 (문고판) 네버엔딩스토리 39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 지음, 황윤영 옮김 / 네버엔딩스토리 / 201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안개가 낀듯 보일듯 말듯 스토리가 중반부 이후에나 가닥이 잡혔더랬다. 지금에야 워낙에 내용을 잘 알고 있지만 처음 책을 읽었을 당시엔 그랬다.^^

결말을 뻔히 아는 데도 불구하고 다시 읽는 중에도 그런 느낌을 받았다.


누구도 온전히 착하기만 한 유전자를 갖고 있지도 않고 또 온전히 악하기만 한 유전자를 갖도 태어나지도 않는다. 내재된 선과 악이 어떤 쪽으로 더 기울어져 있는가에 따라 착한 사람 혹은 나쁜 사람으로 분류하는데 그것또한 정확하다고 볼 수 없다. 

이 책은 보는 각도에서 여러가지 해석이 가능하다. 성선설과 성악설을 생각하게 하게도 하고 심리학적으로 보더라도 성격 분열 묘사가 치밀하여 아이들 뿐 아니라 어른이 읽어도 전혀 유치하지 않다. 아니 몇번을  읽어도 재미가 반갑되지 않는다. 

지킬 박사가 쾌락을 지향하지만 그러한 성향을 숨기며 살았기에 주위 사람들의 존경을 받으며 훌륭한 평판을 받을 수 있었다. 주위를 보더라도 이중성를 그대로 드러내는 사람도 있고 철저히 숨기다 나중에 위선자라고 손가락질 받는 사람도 종종 보지 않았던가. 

선과 악이라는 본성을 분리 한다는 공상이 현실에서 실현된다면 갈등 없이 아름답게 살 수 있을 거라 생각한 지킬. 실험을 통해 엄청난 발견을 하게 되고 기꺼이 그 유혹에 넘어간다. 경고 같은 것은 무시해도 좋을 만큼 그 유혹은 달콤했다.

불쾌하고 혐오스러우며 기형적인 외모나 느낌이 악마의 모습으로 표현된 하이드. 

지킬의 옷을 그대로 입고 하이드로 변했을 때 옷이 헐렁했던 것을 보면 악은 처음에 선보다 작았다. 그러나  살인까지 서슴지 않으며 악은 왜소했던 덩치를  점점 키워 지킬의 마음 속에 악이 빠른 속도로 퍼져나가 제어를 할 수 없게 된다. 초자아가 본능인 악과의 싸움(작가는 악이 더 본능에 가깝다고 보지 않았나 싶다)에서 진 지킬은 하이드에 대한 통제력을 잃어버려 비극적인 최후를 맞을 수 밖에 없었다. 육체의 모습이 변하더라도 영혼의 밑바탕에 깔린 요소들의 특징을 잃는 일은 없을 것이라 생각했던 지킬의 생각이 완전히 틀렸음을 보여준다. 결국 지킬이 오랜 실험 끝에 만든 약물은 위대한 발견이 아니라 저주 받은 약이었다. 


선과 악이 충돌하면? 악의 힘이 더 셀까?

내 안의 악과의 만남은 두렵다. 내 속에도 분명히 존재하는 하이드의 몸집을 키우지는 않겠지만 누가 알겠는가. 어떤 순간 욕심과 미움 같은 악이 불쑥 자신의 존재를 드러내려 할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