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 비밀 하나 - 3학년 1학기 국어교과서 3-1(나) 수록도서 작은도서관 38
박성배 지음, 성영란 그림 / 푸른책들 / 201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쁘게 옷을 입고 나온 <행복한 비밀 하나>는 제목도 그림도 흥미로워 보였다.

그러나 내용적으로 보자면 낡고 고루한 느낌이 드는 것도 사실이다. 아무리 아름답고 좋은 내용이라지만 척 봐도 교훈적인 메세지가 곳곳에 드러나 재미를 반감시켰다. 

교과서에 실렸다고 해서 모두 교육적이어야 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 의도했던 그렇지 않던 간에.

<외짝 꽃신의 꿈>은 권정생 님의 <강아지 똥>이 연상되는 내용이기도 했고 <고추잠자리 꿈쟁이의 흔적>은 철학적이기 까지 하다.

세상 살면서 흔적을 남기고자 하는 고추잠자리를 이해하기엔 난해하다. 과연 책을 읽는 주 독자층인 아이들이 과연 얼마나 그 뜻을 이해할 수 있을런지. 내가 살았던 흔적을 말끔히 지우고 사라진다는 생각은 노인네들이 할 법 하지 않은가.

<무엇이 꽃으로 피나?>에서 내가 가진 것에 대한 감사나 고마움은 마흔 넘은 내게도 익숙치 않은 어려운 일이다. 종교를 갖게 되면서 주위를 보면 예쁜 꽃이 핀 것을 보고 감사하는 마음을 얘기 할 때면 난 마치 다른 세계에 와 있는 듯 이질적인 느낌을 가졌다.

죽음을 목전에 둔 잠자리 한 마리, 그것이 꽃이든 날개든 멋진 잎이든 햇살이든 평소 누구나 가질 수 있다고 생각했던 것들을 소중하고 고맙게 생각하는 일이 정말 가능할까....내공도 부족하거니와 내 그릇이 이것 밖에 안되서라고 밖에는.... 머리로 이해가 안되는 것은 아니지만 그것이 가슴까지 내려오지 않는다는 게 맞겠다.

<달밤에 탄 스케이트>나 <행복한 비밀 하나>와 같은 작품은 매우 재미있다.

문득 나는 현실이 많이 반영된 작품을 더 선호하는 것은 아닌가? 혹은 내 속에 쌓인 부정적인 것이나 편견 등이 비워지면 더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거나 순수함, 서정성이 가미된 작품의 참 맛을 알게 되려나 하는 생각을 해 봤다.

아름다운 글이고 구성도 탄탄하다. 그럼에도 아쉬움이 남는다.

일개 리뷰어가 교과서에 이렇게 많은 글이 실린 작가의 글을 어찌 평하겠냐만은 내 느낌은 그랬다는 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