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철부지 아빠 - 제9회 푸른문학상 동화집 미래의 고전 26
하은유 외 지음 / 푸른책들 / 2011년 11월
평점 :
절판


무려 아홉 편의 단편이 들어있는 동화집. 제목도 표지의 그림도 무척이나 기대된다. 더구나 푸릇푸릇 '푸른문학상 동화집'이라니 말이다. 신인작가란 말에는 다소 거칠고 다듬어지지 않았더라도 참신함에 괜시리 그런 기대를 하게 된다. 
책을 다 읽고나서는 그런 빵빵한 바람이 조금은 빠져나갔지만 그래도 개성 넘치는 글이었고 무엇보다 슬픈 결말이 아니란 점, 심각하지만 희망적이란 것이 좋았다. 요즘 나오는 동화를 보면 너무 극단적이거나 무거운 경향이 있다. 가출이니 폭력이니 하는 일들이 아무리 많아졌다지만 대부분은 그렇지 않은데 너무 몰아가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을 나눈 일이 있어서 그런 생각을 했다.

<환승입니다>는 버스에 교통카드를 댈 때마다 들리는 '환승입니다'라고 들리는 멘트로 자신의 이름때문에 친구에게 놀림을 당한다. 하지만 그 이름이 가출한 아빠를 돌아오게 했으니 놀림쯤이야 앞으로 얼마든지 극복 가능하리라고 본다.

<나의 철부지 아빠>는 이전의 다른 동화들이 미혼모에 대한 것이 많았기에 식상할 수 있는 소재를 시각을 바꾸니 또 다른 재미가 있다. 오토바이를 타고 다니고 제대로 밥을 챙겨주지 않는 아빠지만 그래도 자식을 키우고자 했을때는 여느 부모와 같은 부성애가 없고서야 가능하지 않았을 일이다.
그런데 한가지 궁금한 것은 경태가 엄마가 없다는 걸 담임 선생님이 어떻게 아셨을까인데, 사실 모를 것도 없지만 이렇게 언급한데는 나름의 이유가 있지 않았을까? 그부분에서 혹 선생님이랑 무슨 관계가 있는 건 아닐까 했더랬다.^^
어쨌거나 여기 실린 단편들은 독자가 끝을 상상할 여백을 많이 남겨두고 있어서 정말 좋았다. <나의 철부지 아빠>에서도 반찬가게 아줌마와 경태 아빠가 이루어졌으면 하는 바람을 해 볼 수도 있고 <내 얼룩이>에서도 의사는 작별 인사라도 하라고 했지만 난 무조건 해피엔딩이 좋으므로 분명 건강히 살아나서 얼룩이 강아지로 인해 동우가 코시안이 아닌 그냥 또래의 똑같은 아이로 어울려 노는 모습을 상상하고 싶다. 또한 <공짜 뷔페>의 민성이와 민준이에네 집에 울린 전화벨이 제발 엄마였으면 하는 마음 간절하다. 예식장에서 하객에게 나눠주는 식권을 받기 위해 그곳에서 어슬렁 거리지 않아도 될 날...오겠지~
나는 아이들의 착한 마음이 제자리를 찾는 회복력을 믿는다. <너, 그 얘기 들었니?>에서 진실 앞에서 쪼그라들고 싶지 않아 용기내어 말하는 것이 그렇고, <마법을 부르는 마술>의 효성이가 성영이의 지팡이를 해체한 것을 바꾸는 일이 그렇지 않은가. 또 <우리에게 필요한 마법 가면>에서조차 자신을 괴롭혔던 성민이 형을 구하는 지웅이도.
마술이 마법을 불러 줄 것 같은 세상은 아이들만 꿈꾸는게 아니라 나 같은 어른도 가끔은 그런 꿈을 꾼다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