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대한 뿌리
김중미 지음 / 검둥소 / 2006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불평등이나 가난, 보이지 않는 엄연히 존재하는 신분의 차별을 사회자 약자의 편이 아닌 중립적인 시선으로 담담히 스케치하였기에 감동적이다. 음지라 불리울 만한 현실 속에서 희망의 끈을 놓지 않는 것도 그녀가 쓴 책들의 공통점이라 할수있다.
서울 북쪽 끄트머리에 살고 있어 거리로 따지면 그렇게 먼 곳도 아닌데 어쩐지 그동네는 나와는 다른 삶을 사는 사람들이라 생각하고 은연중 터부시 해왔음을 인정한다. 동두천은 미군부대와 매춘이 연결고리로 이어져 연상된다. 기지촌으로 명명될 만큼 그 이미지가 강하기 때문이다. 지금은 사라졌다고 해도 그 느낌까지 사라지는데에는 더 많은 시간이 흘러야 가능 할지 모른다. 어쩌면 베트남이나 러시아의 여자들이 흘러들어와 또 다른 문제를 발생시킬지도 모르고.
도종환 시인의 말처럼 그래서 동두천에게 미안해 해야 한다. 그곳이 아니더라도 분명 우리 땅 어딘가에서는 똑같은 일이 일어났을테니까. 그렇기에 아픈 현실이자 동시에 우리의 어두운 역사이기도 한 그곳 동두천 사람들에 대한 사랑과 이해가 얼마나 부족했던지, 얼마나 무관심 했던지를 말이다.
책은 네팔인 이주노동자 자히드의 아기를 가졌다는 정아를 통해 자신의 어린 시절의 나쁜 꿈일런지도 모를 동두천 기지촌 골목으로 되돌아가 작가의 체험과 기억을 끄집어 낸다. 또 과거와 현재의 인물인 혼혈인 재민을 통해 우리 사회가 쳐 놓은 울타리 밖으로 그들을 밀어내려하고 편견으로 똘똘뭉친 한 단면을 정나라하게 보여준다.
"나는 사람들한테 물어보고 싶어. 도대체 튀기가 뭐 어쨌다는 거야? 물건은 미제라면 사족을 못 쓰면서, 왜 우리 같은 애들은 싫어해? 나도 반쪽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미제야. 그리고 나머지 반은 너희들하고 똑같다고. 도대체 왜 우리가 너희들한테 무시를 당해야 하냐고, 왜?"
성난 재민이 쏟아내는 말이 한 개인에게 던지는 것이 아니라 우리 모두에게 외치는 것임을 알 것이다.
미군기지를 둘러싸고 있는 기지촌에는 미군부대 덕분에 먹고 사는 사람들이 많다. 무엇을 어찌하던 다 괜찮다. 그러나 자신들의 몸을 팔아 동생들 학비며 집안 생활비 등을 댔음에도 그녀들을 걸레 취급하는 것을 어찌 참을 수 있었을까..... 다른 누구도 아닌 가족들로부터 느꼈을 모욕을.
양색시니 양갈보니 하는 말을 그들은 절대 입에 올려서는 안된다.

나는 희망의 힘을 믿고 싶다. 더디더라도 언젠가 이주노동자나 혼혈인들도 이 땅에 튼튼히 뿌리를 내려 더불어 행복하게 살아갈 것을. 

아직 읽지 못한 그녀의 책들을 빠짐없이 읽어 보고자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