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에 미친 바보 - 이덕무 산문집, 개정판
이덕무 지음, 권정원 옮김, 김영진 그림 / 미다스북스 / 2004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이덕무를 일컬어 우리는 간서치, 즉 책에 미친 바보라 한다. 그러나 책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책에 미친들 어떠하랴는 생각을 한번쯤 해보지 않았을까.
스스로가 세상 물정에 어둡고 처세에 졸렬하다고 했는데 이덕무가 책에 미칠 수 밖에 없었던데에는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그중 신분적 제한 때문에 일찌감치 출세에 대한 미련을 접고 책 읽기에 몰두하지 않았을까 싶다.
너무나 궁핍하여 책을 마음껏 사볼 수 없을 정도로 궁핍한 그는 굶주린 사람에게 돈을 주듯 책을 읽고자 하는 자신에게 책을 빌려주는 것이 천하의 큰 보시라며 책을 빌려 읽는 것이 일상이 되었다. 그토록 책을 아끼고 소중하게 여긴 그가 내 집에서 가장 좋은 물건인 '맹자' 일곱 편을 굶주림 때문에 돈 2백 전에 팔아버린 일이 있다. 속상함을 벗인 이서구에게 보낸 편지를 통해 엿볼 수 있는데 이덕무의 벗들도 그와 크게 다르지 않다. 유득공도 '죄씨전'을 팔아 굶주림을 면하고 남은 돈으로 자신에게 술을 사주었다는 내용이 나온다. 이처럼 책은 이덕무가 교류한 벗들을 알 수 있다. 직접적으로는 책에 실린 편지를 통해서이기도 한데 이광석, 윤가기, 성대중, 유득공, 백동수, 이서구, 박제가 등 다들 선비다운 기질을 가진 사람들이다. 유유상종이라 했으니 그와 크게 다르지 않았으리. 이중 백동수가 눈에 띄는데 요즘 새로 시작하는 드라마의 무사 백동수가 바로 이 사람이 아닐까 싶다.

이덕무의 독자적이며 개성적인 도문일치에 입각한 문학관이나 독서에 대한 생각, 특히 그의 글을 통해 엿보는 서평은 매우 흥미로웠다. 뿐만 아니라 수호지, 삼국지연의와 같은 소설에 대한 비판이나 바둑에 대한 비판적 견해를 통해서 그의 가치관을 살필 수 있다.

사물이나 세상 이치에 대해 꼼꼼히 따지기를 좋아했던 그였지만 누추한 집을 화려한 궁전처럼 여길 수 있는 마음은 아무나 가질 수는 없다. 물질적인 것에 연연해 오로지 물질을 추구하고 쫓는 현대인이 보기에 정말 책에 미친 바보라 말할지 모른다. 하지만 그런 자신을 가만히 들여다보면 이덕무와 같은 마음의 고요함과 책 한 권에도 진정 행복을 느끼는 부자된 마음을 우리는 얼마나 느끼고 살고 있는지....
자고로 선비라 함은 책을 가까이하는데 그치지 않고 실천하려는 노력이 따라야하지.

'모름지기 벗이 없다고 한탄하지 마라.
책과 함께 노닐면 되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