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부님, 내게도 행복이 올까요?
안셀름 그륀 지음, 이효선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11년 6월
평점 :
품절


행복에 대한 척도는 사람마다 다르다.
책의 표지에 씌어 있듯, 행복에 대한 척도나 기준은 세상과 나를 어떻게 볼 것인가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히 틀리지 않을 것이다.
그렇다면 나는 삶을 살아가면서 무엇에 가치를 두고 있는가를 찬찬히 생각해 보지 않을 수 없다.
종교를 가진지는 얼마 되지 않는다. 그리고 지금까지 변하지 않고 바란 기도는 내 마음의 평화를 청하는 것이었다. 그게 뭐 그리 어려운 일이라고 아직도 난 평화롭지 못하다. 그리고 내게 가장 가까운 가족들을 위한 기도가 아닌 평화를 선택한 데에는 내가 평안하고 행복해야 그 기운을 내 주위 사람들에게도 전염시킬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자신을 사랑하는 일이 따라야 한다고 생각했다. 오늘날의 우리는 스스로에 대해 너무나 이상적인 이미지를 내면화하여 평범한 자신의 모습을 받아들이는 것이 어렵다고 하는 말이 턱 걸렸다. 한때는 나도 그랬던 것 같다. 아니 딱 아는 것으로만 그쳤던 것 같다. 실제의 나의 모습을 기꺼이 받아들이고 사랑이 가득한 마음으로 나를 껴안아 주지는 못했던 것이 아닌가, 그래서 내가 간구하는 평화를 얻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더 결정적인 것은, 자신의 감정을 억제하는 사람들은 외부의 평화까지도 막는 사람이란 말에서 할 말을 잃었다.
'그는 겉으로는 자제력이 있고 만족하게 지내는 사람으로 보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사람들은 그것이 단지 억지스런 평화라는 것을 알아챌 수 있습비다. 억제되고 억압되어 있던 공격성은 언제라도 분출되어 내부와 외부의 평화를 위험하게 할 수 있습니다. 표현되지 못하고 억눌려 있는 감정은 언젠가는 우리를 막아서고 멈추게 합니다.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게 합니다. 그리고 우리에게서 진정한 평화를 앗아갑니다.
우리가 내면의 감정을 허락하고 감정과의 대화를 시작할 때만 우리는 진심으로 만족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마침내 그 감정은 자신의 자리를 찾아갑니다.'(229쪽)

책은 행복으로 가기 위한 열 가지의 길과 원칙을 소개하고 있다. 각 단어가 가지는 뜻을 깊이있게, 다각적인 의미를 찾아서 간결하고 담담한 언어로 전달한다.
깨어 있음, 만남, 감사, 조화로움, 평온, 건강, 생이 주는 기쁨, 사랑, 고요, 만족. 어느 것 하나 버릴 게 없다. 책을 읽을 당시에는 날마다 감사의 일기를 쓰리라고 결심했다. 하지만 아직 한 번도 실천하지 못하고 있다. 이것은 날 위한 일이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내 자식들에게 보이기 위함도 크다. 사춘기를 호되게 치르는 아들에게 지금의 네 삶이 얼마나 감사한 시간인지를.
사랑의 가장 고귀한 가치는 우리가 누군가를 건강하게 사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했다. 다른 사람 안에 있는 선함이 나타나도록하는 것이고 치유할 능력을 갖고 있다는 말마따나 내 사랑이 내 아이에게 치유의 힘을 발휘 할 수 있기를 간절히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