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의 여자 - 오직 한 사람을 바라보며 평생을 보낸 그녀들의 내밀한 역사
김종성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 2011년 6월
평점 :
절판


역사를 읽는데에는 다양한 축이 있겠지만 이제까지 최고 권력을 가진 왕의 여자에 관해-장희빈이나 명성황후와 같은 일부를 제외하고- 집중적으로 얘기해 본 적은 없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렇기에 제목만으로도 굉장히 흥미로울 것으로 예상 했다. 목차만 훑어봐도 알 수 있듯이 일반 독자들이 재미로울 것들이 몇가지 눈에 띈다. 예컨데 궁녀의 선발과정이나 동성애, 후궁의 외모와 같은 것들이 바로 그러하지 않을까? 그중 한가지만 소개하면, 지나치게 예쁜 여성은 왕실 여인들은 물론 조정 관료들의 견제 때문에 후궁의 반열에 오르기가 쉽지 않다고 한다. 물론 미모가 후궁의 선정 기준에 영향을 미칠만큼 중요한 기준이 아니었다고 한다. 왕들조차(왕들 중 몇몇을 빼고) 이성보다는 권력에의 가치를 더 중요시 했다는 것이니 우리가 흔히 보는 사극에서의 로맨스는 많이 왜곡된 것이라 짐작 가능하다. 홀로 있는 은밀한 곳에서조차도 도덕적 수양을 게을리하지 말아야 한다는 대학의 가르침이 아니더라도 나이 많은, 60, 70대의 숙직궁녀들의 개입하에 성관계를 가질 만큼 자유롭지 못했다. 결론적으로는 한 명의 남자와 최대 아홉 명의 여자가 함께 잠자리를 하는 것이라는 건데 왕의 여자나 왕이나 괴롭기는 마찬가지였을터. 그런데 이들이 괴롭다고 생각하긴 했을까 싶기도 하다. 너무나 당연히 여겼을지도....
그러니 오로지 대권 예비주자인 왕자를 낳는 것이 얼마나 중요했을지는 두 말 할 필요가 없다. 후궁의 위상을 안전하게 담보 할 수 있고 입지를 공고히 하는 일이기 때문일 것이다.
왕후, 후궁, 궁녀로 대표되는 왕의 여자인, 그녀들의 일상을 복원가능케 한데는 조선 시대의 방대한 기록물 덕분이겠지만 그래도 많은 부분 그녀들의 삶을 밝히는 데에는 한계에 부딪쳤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 많은 기록들 중에 그녀들의 은밀한 사생활들의 기록은 다른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었다는 것은 그만큼 조선 왕실사에서 소외되었다는 반증일 것이다.
일단은 왕궁의 실권자로 부상하는 경우가 드물었고 정치력 여하에 따라 달라지는 위상은 있었지언정 말이다. 그러나 그녀들이 정치와 완전히 동떨어져 있지만은 않다. 이런저런 이유로 왕이나 세자가 자신들의 정치적 목적을 위해 궁녀를 활요했기 때문이다. 공식적인 계통만 밟아서는 그 목적을 온전히 이룰 수 없기 때문에 궁녀의 정치개입은 불가피했다. 그런 예를 기록에서 일일이 찾아 설명하는데 이제껏 잘 몰랐던 얘기들이라 소설이 아니어도 충분히 재미있다.
책은 궁녀제도의 시초가 약탈적 요소인- 전쟁의 승자가 노예나 노복으로 전락한 사례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을 시작으로 각 명칭에 대한 뜻을 명확히 짚어 준다. 또한 인간의 일생이 출생에서 시작해 사망으로 끝나지만 궁녀의 일생은 입궁에서 시작해 출궁으로 끝나기 때문에 이야기도 그것에서 벗어날 수 없다.
사료에 근거한 얘기로 자칫 외설스럽거나 흥미로울 요소만 보고 쓴 소설과는 다른 재미와 가독성으로 볼륨에 비해 금방 읽을 수 있다. 물론 여러가지 표도 삽입되었고 주석이나 참고문헌 등을 적은 것만 해도 꽤 된다.
이제까지의 책이나 역사물들의 관점에서 탈피한 <왕의 여자>는 그런 관점에서 벗어났다는 것만으로도 의미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