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유기의 삼장 법사, 실크로드에서 진리를 찾다 실크로드로 배우는 세계 역사 1
프리실라 갤러웨이.돈 헌터 지음, 양녕자 옮김 / 아카넷주니어 / 201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전까지 '삼장법사'하면 손오공이 먼저 떠올랐지만 이제는 험난한 실크로드의 탐험을 통해 완성된 <대당서역기>가 먼저 생각 잘지도 모르겠다.^^
실크로드(비단길)은 동서양의 교류를 활발히 이어준 무역과 문명의 통로가 된 세계사에서 비중있게 다뤄지는 부분이다. 하지만 딱 그정도에 불과하다. 더이상 깊이있는 학습으로 연결되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책에 나오는 지명들이 낯설다.
끝없이 펼쳐진 모래사막, 그곳에 자리한 아름다운 둥황의 월아천은 이름 그대로 초승달 모양의 작은 호수를 이루고 있다. 비록 표지의 사진에서는 잘렸지만 다행히도 본문에는 왜 월아천인지 그 모양을 제대로 볼 수 있다.
길을 통해 실크를 운반된 이유로 실크로드라는 아름다운 이름이 붙여졌지만 사실은 험난하고 어려운 교역로였다. 또한 하나의 길도 아니었고 육상 뿐 아니라 해상의 길로도 이어져 있었다.
삼장(三藏)은 경장()·율장()·논장()의 세 가지 경전을 모두 외워 통달한 사람을 부르는 말로 원래의 법명은 현장이다.
현장이 구법 여행을 떠나려던 당시는 당태종이 동돌궐과의 전쟁 중으로 아무도 중국 국경을 넘어 서역으로 갈 수 없는 상황이었으나 오직 직접 가서 불교의 진리를 알아겠다는 열의로 몰래 빠져나간다.
뜻이 있으면 길이 있다고 삼장은 고난과도 같은 그 길에 많은 사람들이 도움을 준다. 물론 삼장의 훌륭한 덕과 종교적 가르침의 탄복 때문이지만 대표적으로 투루판 왕과 하르샤 왕은 다른 왕들에게 편지를 써서 삼장 일행을 보호할 군대를 마련해 달라는 식의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도움을 준다. 그렇다고해서 삼장의 구법 여행이 쉽고 만만할 리 없다. 워낙 먼 여정이기도 했고 가는 곳들이 험준한 산맥을 거쳐야 했기 때문이다. 그중 빙하로 덮인 톈산 산맥은 만년설이 뒤덮인 곳이라 끔찍한 눈사태와 추위를 겪어야 했다. 눈 속에 파묻힌 사람들을 뒤로하고 여정을 이어가야하는 마음이야 오죽 괴로웠을까.
16년간의 여행, 19년간의 기록을 남긴 삼장의 업적은 값으로 매길 수 없는 소중한 자료로 정확함에서도 매우 놀라울 만큼 대단히 꼼꼼하다. 그러니 관찰하고 수집한 정보의 양은 얼마나 많았을까 짐작이 되지 않는다.
불교가 인도에서 발생했지만 인도의 종교로 남지 못했던 것은 이슬람교의 침입으로 승려 수가 급격히 줄었으며 사원이 파괴되고 쇠퇴하였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힌두교의 경우 사원이나 승려와 같은 성직자가 없었기 때문에 불교보다 피해가 덜했던 것으로 이후 히두교 부흥 운동이 일어났을 때 다시 융성하게 될 수 있었다. 힌두교의 카스트 제도를 부정하고 생명 존중 사상을 담으며 힌두교의 문제점을 개혁한 불교는 그래서 힌두교와도 비슷한데 이는 힌두교적인 바탕 위에 생겨난 종교라서 그렇다는 부록의 내용도 무척 알차게 담고 있다.
삼장의 여행 경로를 지도로 표시하여 한 눈에 알기 쉽게 배치하였고 그 외에도 사진 자료나 정보박스를 이용한 내용의 질이 대단히 맘에 든다. 그래서 어린이 책이 아닌 성인용으로 제대로 읽고 싶은 욕심이 났다.
다음 실크로드는 칭기즈칸과 함께 한다니 또 어떤 모험이 펼쳐질지 기대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