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 리틀 레드북 - 100명의 솔직한 초경 이야기 '여자는 누구나 그날을 기억한다'
레이첼 카우더 네일버프 엮음, 박수연 옮김 / 부키 / 2011년 5월
평점 :
절판


아이를 낳고 나이가 들고 아줌마가 되어 가면서 뻔뻔함 때문인가? 생리에 대한 얘기를 꺼내는데 있어 딸과 나는 조금 다르다. 분명 요즘 아이들이 이러한 것을 아무렇지 않게 얘기 할 것 같은데 전혀 그렇지 않다. 터부시하거나 금기시 했던 옛날과 달라진게 없나 싶은 생각이 들기까지 한다. 하지만 분명 달라졌다. 몇 년 전에 인사동 길 한가운데서 '월경페스티발'을 하는데 많은 사람들이 구경을 하는 것에 놀랐다. 그때 우리집 남자들은 그 현장이 쑥쓰러운지 좀 떨어진 곳에서 있었다. 생경하기도 하고 그래서 남사스러움도 있지만 이렇게 공론화 할 필요는 분명 있다고 본다.


분명 달라지긴 했다. 언젠가부터 딸아이의 초경을 가족들이 함께 축하해 주는 일이 평범한 일로 자리 잡고 있으니 말이다. 그 뿐인가 생리대를 남자가 구입하는 것도 이상하게 보이지 않는다.

거실 테이블에 올려져 있던 책의 제목과 색깔을 본 딸 아이의 반응은?
소위 말하는 빨간책? 으로 생각했던 거지요.^^ 엄마가 언제 그런거 봤냐고 했더니 베시시 웃으며, 제가 먼저 책을 펼쳐 킥킥 거리며 재밌게 보더군요.

100명의 솔직한 초경 이야기로 엮은 이 책은 기고자들의 실제 경험을 적어두어 나라마다 다른 문화적인 면을 엿볼 수 있다. 그중 초경을 맞은 아이에게 뺨을 때리는 행동은 많은 나라들이 그랬던 것 같다. 
또 하나 흑인 소녀의 월경을 주인이 어떻게 바라보느냐가 작은 충격이었다. 월경을 시작한 소녀(노예)를 이제 아이를 낳고 젖을 먹을 수 있게 된 것으로 간주되어 몸값이 오르게 되어 팔려 가는 경우가 종종 생긴다는 것이다. 월경으로인해 자신의 몸과 감정과 미래에 대한 결정권을 잃게 되는 것이기 때문에 마냥 축복이라 할 수가 있을까...
지금도 케냐는 상류나 중산층이 아니면 비싼 생리대를 구입할 수 없어 학교를 결석하는 일이 많고 생리가 끝나더라도 일주일을 결석하면 자연스레 생리로 인한 것임을 공공연히 드러낸 것이라 창피해서 학교에 가기가 쉽지 않다고 한다. (그래서 이 책의 수익금은 아프리카 여학생들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생리대를 기부하고 여학교에 화장실을 짓고, 성교욱 담당 여교사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한다고.)
사실 이것보다 내가 주목한 것은 터너 증후군을 가진 아이는 프로게스테론을 처방 받아 인위적인 방법으로 생리를 했던 경험을 이야기 한 부분이었다. 예전에 잠깐 읽은 <도토리의 집>이란 만화 책에서 장애를 가진 아이를 키우는 엄마가 딸아이가 언젠가 하게 될 초경에 대비하기 위한 교육이 너무 눈물 겨웠다. 매달 자신이 생리할 때마다 피를 보고 놀라지 않도록 보여주고 생리대를 어떻게 사용하고 처리하는지 등을 보여주는 장면이 나온다. 물론 이 책에서도 그러한 내용이 자주 언급되기는 하나 그 아이들과는 현격한 차이가 있다. 난 그때 도서관에서 그 책을 보았는데 그자리에서 펑펑 눈물을 쏟고 말았다. 이 책이 보통의 평범한 사람들에 대한 초경 이야기만 다루지 않았다는 것이 좋았다. 비록 짧은 분량이기는 하나.

딸아이가 처음 생리를 할 때, 일주일간 피가 계속 나오면 엄마는 어른이니까 괜찮겠지만 나는 죽는 거 아니냐고 했던 기억이 난다. 얼마나 웃기던지. 학교에서 배운 성교육이나 책은 이럴때보면 별 도움이 되지 않는 것 같기도 하다. 그 한가지가 빨간 피. 대체적으로는 갈색인 경우도 많은데 이로 인한 초경을 맞는 아이들의 혼란을 책의 곳곳에서도 표현되고 있다.

어쨌든 초경을 앞두거나 치룬 아이들에게는 자신만 힌든 게 아니라는 위로가 되어주고 공감과 더불어 생리에 대한 이야기를 유쾌하게 밝게 이야기 할 수 있는 소재가 될 수 있을 거라는 거.^^
배꼽 빠지게 웃기거나 찡하진 않지만 곳곳에서 피식피식 바람 빠지는 소리가 날 웃음을 지을 수 있을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