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의 눈물
김연정 지음 / 매직하우스 / 2011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백두산이 북한에 위치하였고 휴화산인 연유로 화산으로서의 위력을 실감하지도 못했고 그 위험성에 대해 단 한 번도 생각해 본적 조차 없다. 발해의 멸망이  백두산의 대규모 폭발로 인해 멸망했을지도 모른다는 가정 자체도 최근에 알게 된 사실이니까. 그리고 천 년 전에 있었던 백두산의 폭발은 베수비오의 50배 위력이었을 만큼 굉장히 강하다는 사실도 이 책을 읽고 알았으니 우리 민족의 영산이 어떻고 저떻고 해도 실감은 커녕 잊고 살았다는 것이 맞겠다.
최근 백두산의 폭발 가능성에 대한 기사가 심심치 않게 나오고 있다. 우리야 감지 하지 못하지만 인근에 미진의 횟수가 잦다는 것만으로도 예측 가능한 일이라 하니 마냥 관망을 하고 있을 수만은 없는 일이다. 또한 유럽 아이슬란드 화산 폭발로 사람들의 관심이 최고조에 이르기도 했으니 백두산의 폭발을 다룬 이 책은 당연 흥미로울 것이라 생각했다.

정말로 화산이 폭발한다면 그것을 인간이 막을 수 있는 방법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하지만 끔찍한 사태를 최소화 하는 일은 가능하다. 그래서 중국의 백두산  아래 첫 마을 이도백하에서 우리나라, 북한, 일본, 중국의 지질 학자들이 모인다.
모든 일은 정치적이라고 하는 말처럼 각각의 입장이 다르다보니 일이 잘 진행되지 않을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
한편 옳고 그름을 바르게 알려야 할 학자의 양심을 지키려 남한으로 망명한 리성철과 딸 서희.
가이드 역할의 선화와 우리나라의 정박사를 도와 함께 온 승현 등의 여러 인물들이 골고루 비중을 가지고 이야기가 펼쳐진다. 그래서인지 백두산 대 폭발을 통해 발해 멸망의 미스터리를 풀어내는 것도 아니고 동북공정에 대한 정면 비판도 아닌 어정쩡한, 스토리 전개도 박진감이 넘치거나 손에 땀을 쥐게 하는 긴박감 같은 것도 많이 떨어지고 이야기를 끌어가는 구심점이 부족하다는 느낌이 든다. 집약적인 내용의 부실이라고나 할까. 다만 위기 의식을 조성하고 중국의 동북공정과 북한과 남한의 심리적 거리와 무관심에 대한 것들을 생각해 보게 했다.
기대를 너무 한 탓일까....많이 아쉽다.
'처음에는 우리도 서로를 위해 눈물을 흘리게 될 거라는 사실을 전혀 알지 못했다. 결국 이렇게 될 것을 모르고 우르는 서로 잡아먹지 못해 으르렁거리며 싸우기만 했단 말이다. 미워하지 말고 사랑해 줄 걸 그랬다. 원망할 게 아니라 차라리 용서하고 이해해 줄 걸 그랬다. 그들은 단지 우리에게 다가오는 법을 몰랐던 것뿐인데, 우리는 그들을 이해하지 못하고 벽을 세워 버렸다.' ( 396쪽)


몇몇 오탈자가 눈에 띄었다. 앞부분의 놓친 것을 빼더라도,
163쪽 밑에서 여섯 번 째줄- 시비를 거는
318쪽 중간- 다시  번 승현이 소리치지만
396쪽 아래- 우르는 서로 잡아먹지 못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