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방울새는 울지 않는다 ㅣ 푸른도서관 46
박윤규 지음 / 푸른책들 / 2011년 5월
평점 :
절판
작가는 말한다. 차마 설명할 수 없는 역사를 위하여 이 책을 썼노라고.
서불진언 언불진의(書不盡言 言不盡意, 글은 말을 다할 수 없고, 말은 마음을 다할 수 없다)고 오월의 정신을 어떻게든 써내고 싶지만 그날을 정면으로 다루기엔 많은 심적 고통을 동반해야 했다. 한 마리 방울새가 되어 바위에 머리를 부딪치는 기분으로 쓰고 지우고 했다는 말이 진정성있게 다가온다.
책을 읽는 우리들조차 편치 않고 죄스런 마음이 드는데....
누군가를 그랬다. 우리 모두는 광주에 일정부분 빚을 지고 있다고. 그 말이 새삼 가슴을 울린다.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리던 시절이 있었다. 아니 일부의 사람들이 런 생각을 가졌더랬다. 그랬기에 이런 어처구니 없는 일이 일어 난 게지.
어쨌거나 시간은 흐르고 어린책에서도 5.18을 소재로 한 책들이 간간히 나오고 있어 다행스럽게 생각한다. 최근에도 할머니의 기억 속 여행을 통해 광주를 보았다. 안타까운 것은 아직도 광주의 오월으로 부터 자유롭지 못한 사람들이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영혼마저도.
방울새의 몸뚱이에 깃든 영혼이 된 방울이가 보고 듣고 생각한 끔찍했던 광주를 이야기 한다.
방울이는 전국 어린이 명창대회에서 대상을 탄, 이제 막 초경을 시작하는 여리고 무한한 가능성을 가진 아이였다. 어리다는 것도 통하지 않았다. 무자비한 폭력성은 나이와 성별을 가리지 않았으니까.
그러나 명령에 무조건 복종해야 하는 군인이었더라도 절대 하지 말아야 할 것에 대한 고민이 없었을까?
"안 됩니다. 시위 진압 훈련 받을 때도 시위대는 불순분자이고 빨갱이와 같다고 했지만, 실제 빨갱이가 아니라는 건 다 알지 않습니까? 아니, 설사 저 가운데 빨갱이가 몇 명 있다고 칩시다. 그렇다고 해도 벼룩이 몇 마리 잡자고 초가삼간을 다 태울 수는 없지 않습니까? 지금 광주 시민이 거의 다 나온 거 안 보이십니까? 처음엔 대학생만 시위를 했는데 지금은 전 심니 시위대라고요!"
책의 곳곳엔 판소리의 용어는 물론 맛보기 식 밖에 되지 않더라도 짤막하게나마 소개되고 있으며 그 지방 사투리와 우리말 표현이 눈에 띄었다.
제목의 방울새가 울지 않는 것이 방울새가 눈물샘이 없어서라고 했지만 울다지쳐 말라 버린 것은 아닐까?, 싶지만 우리는 속울음 조차 듣지 못한다고 생각지는 않는다. 그들의 핏빛 울음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