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국의 독립전쟁 ㅣ 세계 석학들이 뽑은 만화 세계대역사 50사건 8
이주천 지음, 최익규 그림, 손영운 기획 / 주니어김영사 / 2011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미국'이란 나라를 아이들은 어떻게 생각할까? 무조건 호의적인 나라이냐 아니냐를 떠나 미국사에 대한 지식을 얼마나 알고 있는지가 더 궁금했다.
미국은 이미 세계의 중심국가이며 명실상부 전세계의 모든 일에 개입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그 영향력이 큰 나라임은 부인할 수 없다. 200여년의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또한 우리와는 군사적으로나 경제적으로나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한반도의 허리를 그들의 일방적으로 결정한 애증의 관계이기도 하다. 그렇기에 앞으로도 미국이 우리에게 영향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는바 우리도 그들의 역사를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그 중에서도 독립사에 대해서 알 필요가 있다. 아주 균형잡힌 시각으로 말이다.
200여년의 짧은 역사인 만큼 그들 역사의 흐름을 꿰뚫는 것이 다른 나라에 비해 비교적 간단한 편이다.^^
이렇게 말하고는 있지만 이는 어느 정도의 미국사를 알고있을 때에만 가능하다고 말하고 싶다. 전체적인 내용을 전혀 모르는 상태에서 요약하듯 중요한 사건을 비롯한 역사 짚어 주기 식의 만화는 결코 쉽다고 말 할 수 없다. 오히려 맥을 잡는데 방해가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다. 개인적인 생각이라 반박할 수 있겠지만 요약식의 공부는 아는 것을 전제로 한 것이므로 오리혀 뭉텅뭉텅 잘려나간 내용을 알지 못한 상태에서 과연 얼마나 전체를 조망하거나 맥을 잡을 수 있을까 싶다. 다 아는 상태라면 만화로 정리가 된다는데에는 공감한다. 기획의 첫 단계를 정리의 개념이니지 전혀 모르는 상태에서 대충의 역사를 알게 하려는 것인지 나로서는 알 수 없지만 이것은 순전히 독자 개인의 취향이 책의 평점이나 선호도에 대한 호불호가 갈릴 수 있을 것이다.
어쨌건 많은 내용이 수록 되어 있는데 그중 한 가지가 내 눈에 띄었다. 거창한 것은 아니고 결국은...책이다.ㅎㅎ
미국이 독립하는데 있어 식민지인들의 합의를 끌어내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이 토마스 페인의 식민지 언론인 <상식>이란 저서를 통해서 였는데 읽어야지 하고 아직도 못 읽은 책이다. 당시 <상식>은 250만 명의 인구였는데 12만부가 팔려 대단한 베스트셀러였음을 수치로 증명하고 있어 굉장히 구미가 당긴다.
그리고 벤자민 플랭클린이 독립선언서의 기초를 다진 인물로 많이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사실을 모르는 아이들이라면 꼭 읽기를 권하는 책 중의 하나다. 이렇게 책을 통해 다른 책으로 옮겨가는 것이야말로 행복한 책 읽기의 바람직한 모습인데 이것까지 바라면 욕심이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