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르셀로의 특별한 세계 ㅣ 청소년문학 보물창고 8
프란시스코 X. 스토크 지음, 고수미 옮김 / 보물창고 / 2010년 7월
평점 :
절판
자폐의 성향과 흡사해 보이는 아스퍼거증후군이란 병명을 명확히 밝히고 시작된 이 얘기는 장애로 인해 자신만의 세계에 갇혀 살기 쉽다고 생각하는 일반 사람들이 특별함으로 다르게 보지 않고 조금만 이해하고 도와주면 우리와 함께 섞여 살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그렇기에 이들을 특별함으로 다르게 보지 않았으면 한다. 선입견이란 참 무섭다. 사실 가벼운 증상이라 해도 정신과와 관련된 이러한 병은 단단한 오해나 선입견으로 깨 부수기가 매우 어렵다. 그렇기 때문이라도 소설이나 동화에서 이러한 것을 긍정적으로 접하게 되면 좋을 것이란 생각이다.
방학동안 법률회사에서 일하는 아버지 회사에서 일하게 된 마르셀로. 그곳에서 힘들지라도 세상과 부딪쳐 적응하기를 바란 아버지의 뜻대로 마르셀로는 굼뜨고 느리지만 나름의 방법으로 잘 헤쳐 나간다. 누구보다 순수하고 올바르고 정의로운 것을 제대로 볼 줄 알며 용기 있는 마르셀로는 아버지가 진실을 은폐하고 도덕적이지 못한 것에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아버지이지만 전면유리의 제조를 중단하는 것이 좋겠다는 제품의 품질을 맡고 있는 직원이 사장에게 보낸 메모를 입수한 마르셀로는 망설임 없이 진실의 편에 선다.
간간히 종교적인 것과 섹스에 관련된 마르셀로의 생각이 표현되고 있는데 이중 성적인 것은 장애아동을 키우면서 지적으로 떨어진다고 해서 혹은 인지나 육체적인 장애가 있다고 해서 성적인 것마저 정지되어 있지 않는데 이러한 부분의 묘사가 거슬릴 수도 있겠으나 일반 독자도 알아야 할 부분이기에 많은 지면을 할애에 언급한 것은 매우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이는 작가가 ‘사회복귀 훈련 시설에서 인지 발달장애를 가진 사람들과 함께 생활한 경험을 바탕으로 마르셀로의 심리를 구체적이고 치밀하게 묘사했다’는 책소개에도 나타난다.
한 작품을 쓰기위해서는 정확하고 방대한 사전조사는 물론 때론 직접 부딪치는 수고를 마다하지 않아야 생생함과 정직함이 담보로 된 글이 나오겠지.
그렇다면 정상과 비정상을 구분하는 것은 뭘까? 또 경계성이란 건 어떻고. 엄밀히 말해 여기서부터는 비정상이야 하는 것도 없는데 의학에서는 경계성이란 모호한 말을 하기도 한다. 그렇다면 비도덕적인 것을 바라보는 사람들을 대하는 태도도 마땅히 따가운 눈총을 받고 사회생활을 하는데 아주 많은 어려움이 있어야 하지만 실상은 그렇지가 않다. 인지장애를 가진 마르셀로도 도덕적인 잣대를 정확히 들이대는데 정상이라 우쭐대는 우리는....
분명 그들은 특별하지 않다. 그 특별함이란 시선을 이제는 벗었으면 좋겠다. 물론 내음과 같은 특별한 능력을 가진 것 까지 무시하라는 것은 아니다.
어렴풋이 자폐가 뭔지는 알지만 아스퍼거가 뭔지 모를 독자를 위해서 (75쪽~)앞쪽에 비교적 아스퍼거인 마르셀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특징이나 특별함을 잘 설명하였고 (244쪽)에는 조랑말이나 강아지와 같은 동물을 키우면서 협동심과 자신감을 가지게 하는 방법 등도 소개했다.
앞으로 아스퍼거와 같은 인지장애와 관련된 책들이 더 나왔으면 하는 바람을 가져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