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만화 장자 상상에 노닐다 ㅣ 10대 고전으로 날다 3
김정빈 지음, 김덕호 그림 / 주니어김영사 / 2010년 5월
평점 :
품절
장자는 노자에 뿌리를 내리고 있으나 그보다 풍부하고 자유분방한 사상을 전개했다. 본명은 주(周)로 맹자와 동시대를 살았던 것으로 추측되며 공상적인 면이 강했고 한편으로는 바보스러운 면이 있었다. 노자의 ‘크게 현명한 자는 어리석은 듯 보인다’는 말에서처럼 심오하고 위대한 모든 생각과 사상은 상식을 뒤집는 역설적인 요소를 갖는다.
또한 당시의 주류였던 공자, 맹자에서 벗어나 비주류라 할 무위사상(無爲思想) =>아래로부터의 요구인 서민중심 =>심리적,내적인 힘, 은둔 =>노자와 장자로 이어지는 노장사상(도가)을 이어받아 그것을 화려하고 다채롭게 전개했다. 따라서 한마디로 정리하자면 장자는 느끼고 상상하고 깨달아야 하는 책이라 하겠다. 이 책은 만화라는 편의에 맞춰 크게 道(철학), 無用(종교), 逍遙(이념)으로 나눠 정리하고 있다.
이 책에서 인상적으로 다가온 것이 있어 소개하자면,
‘책은 말에 지나지 않으니 더 귀한 것은 말이요, 말은 뜻을 나타내자는 것이니 더 귀한 것은 뜻이다’ 란 말처럼 옛 성인들이 책에는 전하지 못하는 ‘그 무엇’이 있어 실은 책은 옛 성현의 찌꺼기일까?
그동안 내가 책을 읽으면서 얼마나 뜻에 가까이 다가가 깊이 있는 생각을 했던가를 되돌아보게 했다.
고전, 그것도 인문 쪽을 만화로 읽을 수 있을 거란 생각을 해보지 못했다. 그만큼 만화 시장이 커지고 있다는 얘기인데 썩 반갑다고만 할 수 없다. 축약본이나 다이제스트 판의 책들을 읽는 것을 지양시키고 있는데 학습만화란 이름하에 되려 그러한 것을 부추기고 있는 듯한 느낌이 들 때가 있다. 물론 기획단계에서야 만화로 접해주고 제대로 된 책을 읽기를 바라는 징검다리 역할을 하기를 바랐겠지만 실제로 그러한 단계를 밟아가는 아이들이 얼마나 될까 싶다. 긍정적인 면도 없지 않아 있겠지만 이 책을 읽고 장자를 안다며 건방을 떨지는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런 책을 기획할 때부터 코스 요리처럼 단계별로 만들면 어떨까, 그럼 책값이 너무 부담될까...
더 나아가 꼭 이런 책들을 일찍부터 읽어야 하는가 하는 회의도 든다. 다른 읽어야 할 책이 얼마든지 넘치고 넘치는데...이게 다 논술 때문인 거야 하는 생각이 뒤따른다.
그럼 어떻게 이 책을 소화시켜야 할까, 참 어려운 숙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