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독서왕 수학왕 - 휠체어를 탄 쌍둥이 현제의 꿈 이야기
고정욱 지음, 정연 그림 / 파랑새 / 2010년 1월
평점 :
절판
힘든 일도 두 배, 기쁨도 두 배면 그래도 보상된다고 친다지만 장애아를 키우기가 그리 만만하지 않다. 더구나 모든 것을 부모가 감당해야 할 몫이기에 육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나 경제적으로나 어느 것 하나 수월한 게 없는데 장애를 다룬 책에서 가장 큰 특징은 부모나 장애를 가진 아이들이 굉장히 긍정적인 마인드를 가졌다는 것이다. 긍정의 힘에 대해 뭐라고 토 달지 않더라도 난 긍정의 힘을 인정한다.
주위를 봐도 장애를 가진 아이를 자식을 열심히 키우고 있는 부모를 보면 뭔가 달라도 정말 다르구나 싶다.
이 책은 자신이 장애를 가졌기에 그에 관련된 책을 많이 쓴 고정욱 작가의 작품이다. 아마 초등학생들의 전폭적인 사랑을 받는 작가 중의 한 명이 아닐까? 예전 울 아들도 엄청 좋아했다. 여린 감수성을 가진 아이들이라면 다들 그렇듯.
몇주전 <도토리의 집>이란 일본 만화를 보면서 고개 숙이고 슬쩍 눈물을 훔쳤다. 장애 딸에게 생리를 가르치기 위해 자신의 생리혈이 묻은 생리대와 팬티를 보여주며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를 알려주려는 노력이 정말 눈물겨웠다. 이 책은 장애를 너무 무겁지 않게 밝게 그렸다. 휠체어를 타야 하는 처지지만 독서왕이든 수학왕이든 뭐든 장애란 것 때문에 걸림돌이 될 수 없으며 무한 가능성이 있다는 면에서는 비장애인과 다르지 않음을 또 장애인을 대하는 다수의 비장애인들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킨다.
장애란게 몸의 불편함도 불편함이지만 그보다는 사람들의 편견과 따가운 시선에 대응하기가 더 어렵고 힘들어 이들이 세상과 더불어 사는데 가장 큰 어려움이지 싶다.
우리의 교육이 통합교육을 지향하고 있지만 두 아이를 기르며 아직까지 장애를 가진 아이를 본 적이 한 번도 없다. 장애, 비장애 구분 없이 똑같이 볼 수 있는 생각이 함께 같은 곳에 머물게 하는 게 아닌가 생각한다. 그래야 비장애인도 이들과 더불어 살며 부딪쳐가며 어려움을 조금씩 고쳐나갈 수 있는 것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