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통을 누가 훔쳤을까? 미래그림책 103
루앙 알방 지음, 이성엽 옮김, 그레고어 마비르 그림 / 미래아이(미래M&B,미래엠앤비) / 2009년 9월
평점 :
품절


한쪽 눈을 가린 해적들에 들려있는 것은 재미있게도 빗자루와 쓰레받기, 해골이 그려진 해적 깃발도 그렇지만 <쓰레기통을 누가 훔쳤을까?>란 제목이 정말 흥미롭다. 다른 것도 아니고 그 더러운 쓰레기통을 훔쳐가는 사람이 있단 말인가?
그림책을 펼치면 표지 안쪽엔 해골그림이 한가득.
해적질에 싫증난 조르주는 예쁜 해수욕장이 있는 항구 마을에 새로운 일을 구한다. 그래도 전직을 완전히 그만둘 수는 없었는지 해양 박물관에서 가짜 해적 노릇을 한다. 예전에 입던 해적 옷을 입고 박물관을 찾아오는 관광객들에게 해적 연기를 하면서 행복한 날을 보낸다.

그런데 쓰레기봉투를 버리러 배 밖으로 나갔는데 매일 아침 항구를 지나는 쓰레기차가 아무리 기다려도 오지 않는다. 마을의 커다란 쓰레기통에 버리려고 마을로 들어서자 거리 곳곳이 과일 껍질과 채소 찌꺼기 등 온갖 쓰레기로 냄새가 진동한다.

한 할아버지로부터 환경미화원들이 파업을 한다는 얘기를 전해 듣는다. 그런데 그보다 마을의 쓰레기통들을 누군가가 모두 훔쳐갔다는데 마을 주민들은 쌓여가는 쓰레기로 광장에 모여 왁자지껄 목소리를 높여가며 시장에게 항의를 한다. 그런데 그때 한 소년이 조르주를 가리키며 ‘저 아저씨가 쓰레기통을 훔쳤을 거예요!’라고 하자 마을 사람들은 조르주를 쫓아낸다.

배로 돌아온 조르주가 슬퍼하는 가운데 해적 친구들이 돌아와 위로를 해주고 조르주는 그동안 밀린 수다를 떨다가 낚시를 해서 진 사람이 화장실 청소를 하기로 한다. 그런데 이들의 낚싯대에 걸린 것은 물고기가 아니라 빈 병이나 깡통, 비닐봉지와 같은 쓰레기뿐이다.

지난 여름 휴가지에서도 배를 타고 낚시를 갔더니 과자 봉투는 물론이고 별별 쓰레기가 바다위를 유유히 떠다녀 아이들에게 부끄러웠던 기억이 났다.

조르주의 낚시에 걸린 병을 살펴보니 마을이 쓰레기로 뒤덮여 도와달라며 조르주를 찾는다는 쪽지를 발견한다. 해적이라고는 하지만 이들은 마음이 착한가 보다. 마을 사람들의 사과를 받아들여 쓰레기 처리를 하기 위해 진두지휘를 시작한다.
먼저 플라스틱, 유리병, 유리그릇, 잡지, 신문, 포장지 등을 따로따로 모으고 음식물쓰레기는 퇴비를 만들어 정원용 거름으로 사용하기로 한다. 하지만 산더미처럼 쌓여가는 플라스틱은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한숨이 나오는데, 조르주 과연 어떤 아이디어를 낼까 궁금하다.

오홋~ 플라스틱 병을 잘라 이어 붙여 온실을 만들고 그 안에 쓰레기를 넣고 태양열을 이용하면 퇴비를 더 빨리 만들 수 있고 냄새도 안 날거라며 모두 작업에 참여한다.
와우 금세 마을은 깔끔하게 바뀐다. 그러나 아직 쓰레기통을 찾지 못한 가운데 어디선가 걸걸한 목소리로 “해적 자크의 회전놀이 기구가 왔어요!“하는 외침 소리가 들린다.

앗, 그런데 회전 놀이기구가 심상치 않다. 꼭 쓰레기통을 이리저리 잘라 만든 것 같은.
자크는 해적일을 그만두고 새로운 일자리를 찾았지만 결국 찾지 못해 쓰레기통을 훔쳐서 놀이 기구를 만들었다고 자백한다. 어차피 쓰레기통으로 사용할 수 없는 놀이기구. 어떻게~~해!
마을에서 사용할 쓰레기통 어떻게 구하지?
ㅋㅋ그건 나도 비밀~~~^^

조르주가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해적이 될 수 있었던 것은 쓰레기 재활용에 천재적인 감각이 있었기 때문이다.

재활용 분리수거를 철저히 하는 것만으로도 쓰레기를 줄이는 환경적 노력이란 것, 

아이들 눈높이로 재미있게 그려낸 환경 그림책. 제목에 충분히 낚이겠지^^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9-10-21 12:1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9-10-21 13:18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