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읽어주는 할머니 (작가가 읽어 주는 파일을 QR 코드에 수록) - 2010 문광부 우수교양도서 선정 작가가 읽어주는 그림책 1
김인자 지음, 이진희 그림 / 글로연 / 200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림책을 보고 자란 세대는 아니지만 아이를 키우면서 자연스럽게 책을 읽어주었다. 어릴 때 경험하지 못했던 그림책으로 상상하는 세상은 마치 구름을 타고 하늘을 나는 기분과 같았다. 어느 때는 악당의 무리와 맞서는 모습을 그려 보기도 하고 또 다른 날은 의협심 강한 주인공에 동화되어 방방 뜰 때도 있고, 어느 날은 함께 슬퍼하며 엉엉 소리 내어 아이와 함께 울기도 하는 순수함(?)을 내 마음 깊은 곳에서 꺼내 만나게 될 때도 있었다. 그리고 양옆에 아이들을 앉히고 책을 읽어주는 시간은 아이들도 즐거웠지만 읽어주는 내가 더 많이 행복했다.
때론 고학년이 된 아들 녀석을 끌어다 책을 읽어준 것은 아이를 위해서라기보다는 나 자신의 기쁨을 채우려 했던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뒤늦게 밀려든다.

<책 읽어주는 할머니>는 그래서 내용과 상관없이 지금처럼 가끔씩이나마 그림책을 읽어주는 행복의 시간을 이어가고 싶은 마음이 사로잡은 책이다.
부드러운 솜이불 같은 느낌의 그림과 cd.
먼저 책을 펼쳤다. 그림은 마치 파스텔화처럼(실제로는 유화) 포근한 느낌이지만 문앞에 놓여있는 파란 플라스틱 슬리퍼와 벗은 나무가 만들어내는 그림자는 스산함이 먼저 가슴에 다가온다. 할머니라는 설정 때문일까...

‘할머니는 조용히 집에 계시는 걸 좋아하시지요.
노인정에도 다니고 다른 할머니들과 함께 놀러도 다니시면 좋겠는데
할머니는 내 집이 제일 편하다고 하십니다‘  

나 역시 나이 들면 노인정에서 화투를 치거나 수다를 떠는 것보다는 혼자 집에 있을 가능성이 농후하다. 지금도 그러니까.
그렇기 때문에 난 책 읽어주는 할머니가 되고 싶다. 책을 읽는 행위는 치매도 예방된다지.

‘우리 할머니는 글자를 읽을 줄 모르십니다.
엄마가 어릴 때 학교에서 받아온 책을 읽으면
할머니는 그 소리가 그렇게 좋으셨답니다.‘

하긴 자식 입 속으로 밥이 들어가는 걸 보면 내 배가 부르듯, 내 아이가 한자 한자 책을 읽는 모습은 얼마나 기특할까,  더불어 글을 모르는 할머니의 느낌은 다를 게다.
1년간 글을 모르는 외할머니께 전화로 책을 읽어드리는 손녀와 할머니의 일상이 잔잔하게 펼쳐진다.
할머니의 팔순잔치가 조촐히 치러지는 가운데 할머니는 천천히 그림책 한 권을 글자하나 틀리지 않고 읽으신다는 얘기가 작은 감동의 물결이 동그랗게 더 큰 동그라미가 또 더 큰 동그라미로 퍼져나간다.

책을 읽기 전에 도서 검색을 하여 대강의 내용을 살펴본 바에 의하면 굉장히 감동적일 거라 생각했는데 직접 책을 본 바로는 처음에 생각했던 만큼 감동적이지는 않았다.(다른 사람은 어땠을까?)
아직 그 나이가 되지 않아서 일지도...더 나이 들면 감정도 변화되겠지. 나이에 따라 공감대가 달라질 수 있으니.

이번엔 책 뒤에 붙어있는 씨디를 꺼내 들었다. 또박또박 정확한 띄어쓰기로 읽는 음성으로 시작된다. 내가 책을 읽어주기만 하다가 들으니 색달랐다. 그리고 책 읽어 주는 할머니의 그림책을 읽어주는 것 말고 음악(MR)을 듣고 있으면 차분해져 아이를 재울 때 사용해도 좋겠다. 

나이가 들수록 자신의 생각에 갇혀 고집스러워 지거나, 아니면 어린아이처럼 작은 일에도 노여워한다거나 하는 할머니를 볼 때가 있다. 할머니라고 다들 너그럽다거나 큰 품을 가진 게 아니란 걸 알기에 이전에도 다른 건 몰라도 나중에 내가 호호백발 할머니가 되더라도 재미있는 그림책을 읽어주는 할머니가 되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더랬다. 이 책이 그 다짐을 더 굳게 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