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좋아하는 야생동물 - 세밀화로 그린 어린이 야생동물 도감 세밀화로 그린 어린이 자연 관찰
유현미 글, 이우만 그림 / 호박꽃 / 2009년 4월
평점 :
절판


 
이 책을 보고서야 내가 그동안 동물에 대한 책을 거의 보지 않았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렇다고 동물책이 전혀 없었느냐 하면 그것도 아닌데 말이다.  
어린이 책을 꾸준히 그리고 많이 읽어왔다고 생각했는데 그렇게 느낀 것은 그동안 접했던 동물책이 사진으로 된 책이었기에 세밀화로 된 동물 그림을 보니 낯선 느낌이 먼저 들었나 보다.
확실히 사진과는 다른 느낌인데 가장 큰 차이는 따뜻함이다. 그리고 어떤 동물이든 다 예쁘게 보인다는 것도 사진과는 다르다. 그건 나 뿐만 아니라 아이들도 내가 보고 있는 책을 얼른 보고 싶어 하는 것을 보니 괜히 뿌듯하다.
많은 사람들이 세밀화로 그린 식물도감을 선호하는데 동물도 세밀화가 정말 좋다. 그동안 왜 이런 책을 보여 주지 않았는지 정말 알 수가 없다-,-;;

이 책에 실린 동물의 가짓수가 많지 않아 아쉽다는 생각이 들 수도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 생각해보면 말 그대로 그림책처럼 보는데는 더 없이 좋을 책으로 텍스트의 크기도 적당하여 설명해 둔 글을 빠뜨리지 않고 읽게 한다는 점도 장점이라 할 수 있다.
책의 차례에도 이렇게 예쁜 세밀화로 동물의 이름과 생김을 먼저 알려주고 있다.



깜찍한 얼굴 모습을 한 족제비는 하루에 쥐를 5~8마리를 잡아먹고 일년이면 2000~3000마리나 잡는 쥐잡기의 달인이라 불러도 좋을 동물로 그 예쁜 얼굴과 달리 성질이 사납다고 한다. 그래서 사람이든 동물이든 얼굴로 판단하면 절~~대 안된다.^^



                 (스라소니와 비슷한 모습을 한 표범을 나란히 실어 비교)
 

책의 뒤쪽엔 동물들의 발자국이나 똥을 비교한 것도 재미있었다.
도감이라고 하면 어쩐지 두께가 두꺼울 것이라 생각하는데 요렇게 날씬한 책으로 가볍게 읽는 것도 굿~






먹을 것이 모자라 농가를 내려와 농작물의 피해를 주는 멧돼지는 가끔 뉴스에도 등장하기도 한다. 줄무늬가 있는 새끼 멧돼지의 모습에서는 당연하겠지만 난폭하고 드센 모습은 찾아보기 어렵다.
이 책을 통해 노루와 고라니의 모습을 구분 할 수 있게 되었는데 고라니는 암수 다 뿔이 없고 수컷은 송곳니가 입 밖으로 튀어 나왔고 귀의 생김새도 노루의 귀는 더 날렵하고 끝으로 갈수록 뾰족한데 고라니는 더 둥그스름하다.
또 노루의 엉덩이가 하얗다는 사실만으로도 노루와 고라니를 헷갈리지 않게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이다. 그래서 북쪽에서는 노루의 엉덩이에 흰 수건을 붙인 것 같다고 해서 '수건붙이'라고 한단다. 고라니의 특이할 만한 점으로는 새끼를 물가 풀숲에 낳아 한 마리씩 따로따로 숨겨 놓고 젖을 먹을 대만 찾아 간다는 점이 었다. 그런 사실을 모른는 사람들이 새끼 고라니가 길을 잃은 줄 알고 동물원에 데리고 오기도 한다니 역시 알고 볼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