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들의 어머니 미래그림책 91
지네트 윈터 지음, 지혜연 옮김 / 미래아이(미래M&B,미래엠앤비) / 200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그림책에 흑인이 그려져 있는 것을 유난히 좋아한다.

그래서 한동안은 에즈라 잭 키츠의 작품에 매료되었던 적이 있다. 내용은 물론 말 할 것도 없지만 단순히 흑인 아이의 등장이란 단순한 이유가 나의 마음을 사로잡았었다.

그래서 표지에 커다랗게 그려진 흑인 여인이 그려진 이 책을 온라인상에서 처음 보았을 대 무척이나 호기심이 발동했다.

나무들의 어머니란 수식어가 늘 붙어 다니는 그녀는 노벨평화상을 수상한 최초의 여성으로도 알려져있다.

왕가리 마타이.

아이들은 처음 듣는 이름이라고 한다. 그도 그럴 것이 환경에 대한 책을 많이 읽었지만 어느 책에도 그녀의 이름 한 줄 발견한 적이 없었다.

21세기의 가장 중요한 화두에 ‘환경’이 빠질 수 없는데 말이다. 그럼 왕가리 마타이가 어떤 사람일지 알아볼까?

케냐의 작은 마을에서 태어난 그녀는 굉장히 공부를 잘 했던 모양이다. 케네디 장학금을 받아 미국에서 생물학 공부를 하고 케냐로 돌아왔더니 온통 민둥산이고 주위를 둘러봐도 그 흔한 사탕수수마저도 보이지 않아 깜짝 놀란다.

그리고 점점 메말라 가는 땅을 보며 아홉 개의 어린 나무를 심으며 결심을 한다.

뒤뜰부터 한 그루 한 그루 나무를 심는 것을 시작하기로.

그러면서 왕가리는 나무를 더 많이 심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 묘목을 키우는 농장을 시작하고 절망에 빠진 마을 여자들에게 묘목을 나눠준다. 나무가 3개월 넘게 살아 있으면 얼마간의 돈을 주어 여자들에게 자립의 기회를 준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그렇게 케냐의 땅이 다시 푸른색으로 물들어가지만 한편에서는 계속 적인 벌목이 진행된다.

왕가리는 높은 건물보다 숲이 더 필요하다며 맞서 투쟁을 하니 케냐 정부는 사회 문제를 일으킨다며 감옥에 가둔다. 그림책 이다보니 왕가리의 핍박을 자세히 설명하지 않았지만 가택연금이나 목숨의 위협까지 받았다. 책은 곤봉으로 때리고 일러스트에서 이마에서 몇 방울의 피를 흘리는 것으로만 표현했다.

어쨌든 그러한 노력으로 케냐엔 초록 우산이 돌아오고 사막화 되어 가는 케냐의 땅에 생명을 불어 넣는다는 간단한 이야기 일수 있으나 조금 더 살펴보면 마타이는 나무만 심은 것이 아니라 아프리카의 다른 나라에까지 파급을 일으켰고 국민의 소득을 증가시켜 결국 세계 평화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2004년에 노벨 평화상을 수상한다.

케냐는 관광을 통해 얻어지는 수입의 상당 부분이 마타이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인간은 탐욕이 빚어낸 지구의 가장 큰 파괴자인 만큼 자연 생태계를 구하는 일에 앞장서야 할 것이다.  나무를 심는 것이 희망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인류 평화와도 일맥상통한다는 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