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먼 소년 미로, 바다를 보다 마음이 자라는 나무 17
알렉스 쿠소 지음, 아이완 그림, 윤정임 옮김 / 푸른숲 / 2008년 7월
평점 :
절판


 

‘미로’라는 말은 눈이 나쁜 사람이라는 뜻인데, 정작 미로는 그렇게 불리는 것에 적개심을 가진다거나 분노에 차있지 않다. 그만큼 자유롭고 자신의 상황을 조금 불편해 하겠지만 눈이 멀었다는 사실 자체에 개의치 않을뿐더러 순수하고 밝다.

흔히 장애를 가졌다고 하면 암울함이 가장 먼저 떠오를 만큼 편견의 힘은 아주 강한데 요즘 장애를 다룬 책에서는 밝은 면을 많이 부각시키고 있는 듯하다.

그래서인지 산뜻한 표지와 더불어 신비로움이 느껴지기는 일러스트가 책을 읽기도 전에 가벼움을 안겨준다.




미로는 불행하지 않다. 자신과 교감을 나누며 끊임없이 대화를 나눌 상대가 있었기에,

시종일관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시선이 특별히 장애를 극복한다는 느낌도 별로 들지 않으며 간결하고 시적인 문체가 꿈꾸기를 열망하는 청소년들에게 눈이 아닌 마음으로 세상을 보고 느끼기를 바란 듯도 하다.

나이와는 상관없이 자신의 곁에서 인생의 스승이 될 만한 친구를 가진 미로는 평생을 어부로 살아온 팔뤼슈 할아버지와의 진한 우정이 못내 아쉬워 할아버지와의 특별한 장소인 바다

에 유골을 뿌리는 작별인사를 하고 바로 그곳에서 자신의 첫사랑과의 수영을 하는 장면은 바다처럼 모든 것을 끌어안아 한데 조화롭게 섞이고자 하는 것이었을까?

조금은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다. 목소리가 주는 에너지, 색깔을 내가 온전히 알 수도 없고 이해할 수 없는 것이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