쥐를 잡자 - 제4회 푸른문학상 수상작 푸른도서관 18
임태희 지음 / 푸른책들 / 200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읽다가 잠깐 다른 일을 하는데 딸아이의 외침이 들린다.
이 책 자기가 먼저 읽어도 되냐고?
이전에 읽는 <옷이 나를 입은 어느날>을 쓴 작가라며 다소 호들갑스런 액션을 취한다.
그때 그 책을 읽고 재미있다고 두 번을 연달아 읽었었다.
그러니 이 책의 작가를 보고 그런 반응을 보이는 것이 당연 할 수도 있겠지만 , 시험이 코앞이라 맘 편히 읽어라~ 하게 되지는 않는다.
그렇게 내가 다시 빼앗아 읽게 된 책은, 빠른 속도를 달리며 읽게했다.
왜? 무엇이?
일단은 청소년들의 임신을 소재로 사회적 시류에 편승한 것은 아닌지, 그러면서도 그 내용이 자못 궁금하였고 딸을 키우는 엄마로 내 아이를 어떻게 키워야 할지 또는 그럴 때 나는 어떻게 반응해줘야 할 지가 숙제처럼 남겨져 있기도 하다.

고1의 주홍이는 원치 않는 임신을 하게 되고 그 사실을 아는 엄마나 담임선생님은 주홍이에게 어떤 위로의 말도 건네지 못하는 어설픈 어른이며, 아무 도움이 되지 못하는 것으로 그려지고 있다. 그래도 다행인 것은 양호선생님만이 주홍이를 이해하고 대화를 시도 하며 주홍이에게 도움을 주고자 애쓴다.
그러나 결국 주홍이는 낙태를 하고 끝내는 자살이라는 선택을 하게 된다.

"부탁하건데, 그저 걷다가 우연히 만나는 길을 무작정 걷지는 말거라. 같은 길을 걷게 되더라도 네가 고른 길을 당당하게 걸으렴."

양호선생님의 이런 부탁의 말도 결국은 물거품이 되어버렸다.
자신이 선택한 결정에 당당하라 했지만 현실은 냉혹하기만 하다.
실제로 절반의 책임을 져야 할 남학생은 버젓이 학교를 다니고 있을 뿐더러 어떤 고민도 없다.
그리고 사회에서 남녀를 바라보는 시각은 절대적으로 다르다는 것이다. 그러한 사실앞에 우리의 아이들이 어떤 선택을 하든 그것은 참으로 힘들고 아픈 일일 수 밖에 없다.
내 아이에게 어떤 교육을 하여야 할까? 실제적인 성교육과 함께 정말로 아기를 가지게 되면 어떻게 처리(?) 해야 할지를 가르쳐야 할까?
가끔 그런 생각을 해 본적이 있기는 하다. 만약 그러한 상황이 되면 난 내 아이에게 두 번 생각 할 필요 없이 낙태를 시킬거라고….
그러나 이 책을 읽고 나서는 또 다시 고민스럽다.
이런 고민이 고민으로 끝나면 좋을텐데….라는 생각만 들 만큼 회피하고 싶은 일이기는 하다.
그러나 행복하여야 할 우리의 딸들이 벼랑끝으로 내 몰린 현실 앞에 더 이상 모른척 할 수 만은 없다.
그러기에 이 책은 우리 사회가 해결해야 할 과제를 던져주고 있다. 이제 그 과제 받아서 해야하지 않을까?
그것이 아이들을 행복해야 할 권리를 찾아주는 일이기도 하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