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6학년 1반 구덕천
허은순 지음, 곽정우 그림 / 현암사 / 2008년 5월
평점 :
실제사건을 모티브로 쓴 이야기라 현장감 있는 생생한 대사처리나 상황설정이 매우 사실적이라 가슴에 와 닿는다.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나와 있는 왕따 관련 책이 심심치 않게 보인다는 것도 현실 반영의 한 단면이기도 하지만 이 책은 다른 책에서보다 훨씬 깊이 있게 들어갔다고 할 수 있다.
왕따를 당했던 구덕천과 현수의 입장을 전반부에서 다뤘다면 후반부엔 괴롭힘의 중심에 있던 가해자 격인 주명이의 괴로움에 대해 풀어 놓은 점이 여느 책과는 다르다.
왕따를 당하는 입장이나 주변 친구가 보는 입장에 대한 목소리는 들었지만 어디서도 반대의 입장에 처한 목소리를 한 번도 들어본 적이 없었기에 어쩌면 낯설지도 모른다.
생각할 필요도 없고 동정은 더더구나 필요치 않다는 아이들이 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왕따 문제만큼은 가해자가 한 명일 수 없다.
모두가 가해자라 말하고 싶다.
주명이가 덕천이에게 해코지를 하고 폭력을 쓰며 괴롭혀도 말리지 않는 친구들에게 너희는 아무 죄도 없다고 할 수 있을까?
또 덕천이 엄마의 편지와 현수 엄마의 방문에도 절대로 자신의 반에서는 왕따와 같은 문제는 없다고 말한 선생님은 왕따와 무관할까?
가해자건 피해자건 그들의 부모는 과연 피해갈 수 있을까?
그럼 나는? 왕따를 직접적으로 개입하지 않았더라도 분명 동조할 때도 있었고 모른 척 했을 때도 있었지 않은가 말이다.
아이들이 잘못했을 때, 내 아이든 남의 아이든 상관없이 꾸짖는 어른이 없다는 것도 문제다. 무엇이 아이들을 이렇게 몰고 갔을까?
그리고 이런 저런 문제가 있는 아이들까지 보듬어 안아줄 수 있는 품을 가진 사회적 장치 역시 필요한데 지금으로서는 왕따를 당해도 속수무책이며 왕따 피해를 주는 아이들에게도 교육이 필요한데 아무런 대비책도 없고 제도적으로도 허술하기 짝이 없다.
이 책이 아니었다면 왕따 피해자인 덕천이만을 안타까워했지 주명이의 입장은 생각조차 해 보지 못했을 것이다.
서로 다른 입장을 헤아려 보게 했고 학교에서도 각기 다른 선생님들의 모습을 보면서 많은 선생님들이 아이들이 가는 길에 불빛을 밝혀줄 등불 같은 존재가 많아지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