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고기에 발이 생겼다고? - 물고기가 네발동물이 되기까지 약 8000년간의 진화 이야기
해나 보너 지음, 윤소영 옮김 / 서울교육(와이즈아이북스) / 2008년 5월
평점 :
절판


 

데본기와 실루리아기라는 고생대의 지구에 어떤 생물이 살고 진화해 나갔는지를 쉽게 설명한 그림책으로 흙조차 없었던 지구, 6미터 크기의 갑옷 입은 물고기, 턱뼈가 없는 물고기 등의 모습을 쉽게 상상할 수 있는지 궁금타.

아직 명확하게 네발달린 동물 중 누가 우리의 직계 조상인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고 한다. 단지 이크티오스테가 친척의 후예일 것이라는 추측이 가장 확실시 되는 가운데,

그것보다 더 전 단계인 척추동물의 최초인 물고기와 기타 다른 생물의 진화를 알아본다.

처음에 나타난 물고기들은 몸속보다 겉에 뼈가 더 많은 갑주어가 있었고 차츰 턱뼈가 발달하여 물고기들이 바다의 점령자가 되어갔다.

한편 실루리아기의 기후는 대체로 따뜻하였음에도 식물이 빨리 자리 잡지 못한 이유를 설명하고 있으며 처음 육지를 장악한 식물은 지의류였으며 실루리아기에는 온통 지의류 천지였다고 할 수 있다.

당연히 육지에 지의류를 비롯한 식물과 균류가 나타나 먹이가 풍부해지면서 물이 아닌 육지에 절지동물과 같은 육상 동물들이 다수 나타나기 시작하는 것은 지극히 자연스럽다.

그리고 물고기 세계의 센세이션을 일으킬 만한 사건인, 턱뼈 있는 물고기의 출현이 최강의 포식자라로 자리 잡게 했고 그 후손들이 육지와 바다에서 최강으로 군림 하게했다.

그 무렵 포자식물과 함께 종자식물이 나타나게 되어 척박한 환경에서도 뿌리 내리게 된다.

또 책에는 물고기가 네발동물로 진화하는 동안의 뼈대 변화를 그림을 통해 직접적으로 보여주어 이해를 돕고 있으며 가장 흥미로운 부분이기도 하다.

부록으로 생명의 역사 연대기를 정리해 두어 책의 내용을 다시 한 번 정리해 주고 있어 무척이나 친절하다.




고생대중 데본기와 실루리아기라는 시대만 따로 떼어 생명의 역사를 훑어보니 이제껏 보던 다른 책과는 분명한 차이가 있고 그만큼 전문적이라 생소한 단어가 많이 등장했지만 뒤쪽에 따로 용어 설명을 두었는데 각장의 하단에 바로바로 확인할 수 있게 했으면 더 편리할 것 같다.

식물과 동물의 진화는 언제 봐도 흥미롭지만 이 책처럼 쉬우면서 볼거리 많은 그림책 시리즈로 나오면 참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