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의 신비, 곤충 100가지 과학 1000가지 상식 2
판도라 글, 신경순 그림, 안승락 감수 / 세상모든책 / 200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구상에 가장 많은 개체수를 자랑하고 있으며, 적응력이 뛰어나 앞으로 우리 인간이나 포유류와 같은 대부분의 생물들이 멸종하더라도 살아남아 곤충의 시대를 열지도 모를 만큼 강한 생명력을 가진 곤충에 대한 정보를 쉽고 다양한 접근으로 구성한 점이 돋보이는 책이다.

곤충이라고 하면 학교 다닐 때 외웠던 머리, 가슴, 배의 구조를 가진 특징을 젤 먼저 떠올리게 한다.

그리고 또 뭐? 라고 하면, 글쎄 뭘 알지??

그랬던 내가 한때 곤충박사를 꿈꿨던 아들 녀석 덕에 여러 가지 곤충의 이름을 알게 되었고, 아파트 화단을 파헤치며 지렁이며 각종 벌레로 불리는 곤충을 잡아오기도 했었다.

그래서 알게 된 공벌레며, 쥐며느리, 노린재와 같은 곤충에 대해서 하나하나 알아 가기 시작했다.ㅋㅋ




그러한 내게 곤충의 상식을 보태줄 책으로 간결하면서도 핵심을 짚어내는 동시에 궁금증을 유발하는   질문의 제목, 코믹한 삽화와 풍부한 사진만으로도 이 책이 얼마나 재미있을지를 말하지 않아도 눈치 챈 녀석, 자신이 먼저 읽겠다고 슬그머니 자기 방에 감춰두고 피아노 학원으로 향한다.

헐~

그럴순 없지~

아들 녀석이 먼저 읽게 되면 어찌나 내게 뭔가를 물어보고, 엄마 이거 알아? 하고 묻는 통에 귀찮아 질게 뻔해 내가 먼저 읽기 시작했다.^^

ㅎㅎ우리 집은 책을 먼저 읽기 시작하면 그 사람이 먼저 읽을 순서가 암묵적으로 지켜진다.




100개의 질문에 따른 상식이 1000개나 따라 오는지는 알 수 없으나 분명한 것은 많은 정보가 담겨있다는 사실만은 확실하다.

크게 곤충의 의미와 생김새, 생태, 가치, 멸종 위기의 곤충, 채집과 관찰 등으로 어느 것 하나 빠짐이 없어 보인다. 탐구 보고를 쓰는 방법과 근래 들어 곤충을 기르는 가정이 늘어나면서 기르는 장법 등이 나와 있어 이 책을 읽고 나면 다시 한 번 뭔가를 길러보겠다고 하는 것은 아닌지 걱정이다.-.-

우리는 흔히 곤충을 익충인지 해충인지를 구분하는데 그것은 철저히 인간의 입장에서만 생각한 것이며, 곤충이 산업이나 의료용, 예술이나 디자인, 심지어는 식용으로도 그 쓰임새가 많다는 사실을 의식하지 못했는데 책을 통해 다시 생각하게 했고, 환경 파괴는 곤충의 서식지 뿐 아니라 인간에게도 그 피해가 반드시 돌아온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