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가 된 할아버지 책읽는 가족 52
문영숙 지음, 이영림 그림 / 푸른책들 / 200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몇 해전 뇌졸증으로 쓰러져 가족도 알아보지 못하고 대소변도 가리지 못했던 아버님을 보고 많은 생각을 했었다.
그래서 치매를 다룬 동화를 읽으면서 조금은 두렵기도 하고 떨리기도 했다.
지금은 거동도 하시고 많이 건강해졌지만, 팔순을 바라보고 계신 아버님이 치매란 병에 걸리지 않으란 법도 없을 것이고....그래서 책을 읽는 내내 남의 일이라 여겨지지 않았다.
그리고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찬우네와 같은 힘겨움에 한숨짓고 눈물지으며 고통스럽게 살고 있을지가 책 속에 그대로 드러난다. 억지로 보태어 과장스럽지도 않게 그렇다고 미화하지도 않은 채 담담하게 이야기 하고 있어 할아버지의 징소리 같은 울림이 내 마음속에도 파문을 일으킨다.
무엇보다 찬우가 느끼는 감정을 유심히 바라보게 되었다.
앞으로 할아버지나 할머니와 함께 살면서 내 자식들도 그런일에 부딪히게 될 때 내 아이들은 어떤 생각을 가지게 될까가 가장 궁금했다.
찬우가 할아버지가 귀찮고 때로는 차라리 빨리 돌아가시기라도 했으면 하는 마음과, 바라보면 안쓰럽고 불쌍한 마음이 들어 이랬다 저랬다 하는 마음을 그대로 솔직하게 표현해 내는것을 보고 그것이 가장 인간적인 모습이 아닐까 싶다.

작가의 체험을 바탕으로 해서 만들어진 동화라 가족 하나하나의 모습이 생생하고 진실하게 보여진다.
또한 할아버지가 유독 징에 집착하는 이유를 풀어내는 작가의 역량이 놀랍다.
그 시절의 어른들이 겪었던 상처와 한을 세월을 거슬러가 봄으로써 가족 모두가 할아버지를 제대로 이해하게 했고 가족으로써 진정으로 껴안고 사랑으로 보듬을 수 있었다.
뼛가루를 할아버지의 물속에 잠긴 고향 고두실에 뿌리고 난 후 찬우가 치는 징소리가 내 가슴 속에서도 '뎅~뎅~'울려퍼지면서 울컥했다.
 
가족이기에 느끼는 힘겨움, 가족만이 느끼는 편안함 등이 '치매'라는 병을 매개로 하여 우리가 더 똘똘 뭉쳐 사랑으로 감싸안아야 할 숙제처럼 남는다. 아직 사회가 보듬어 끌어 안고 갈 만큼의 능력 부족하므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