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사람들의 과학살이 - 자연에서 배운
박은정 지음, 한상언 외 그림 / 대교출판 / 2006년 7월
평점 :
절판


과학이 지금처럼 발달하지 않은 옛날에는 어떻게 생활했을까?

자연에 의존하면서도 자연을 망가뜨리지 않게 이용한 조상들의 지혜로운 삶을 이 책에서 살짝 엿볼수 있었다.  이 책에서 내가  '우리 조상들이 정말 슬기롭구나!' 하고 감탄한 것들은 여러가지가 있었지만 그중에서도 '부룩'이란것은 정말 신기했다.  식물을 해치는 벌레들이 가지고 있는 식성을 이용해 두가지 식물이 서로 잘 자라도록 가꿔주는 전통 농사방법인데 예를 들어 벼가 자라고 있는 논에는 콩을 부룩 박아 놓는다.

왜냐하면 벼를 해치는 벌레들은 잎을 갉아 먹고 영양분이 지나가는 길에 구멍을 뚫어서 벼가 자라지 못한다. 그런데 이 벌레들은 벼보다 콩을 더 좋아한다. 그래서 콩을 같이 심으면 벼의 피해를 줄일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콩은 벌레들이 잎을 갉아 먹어야 많은 열매가 열리기 때문에 부룩을 하게되면 두 작물이 모두 다 잘 자라게 되는 것이다.

요즘은 키우고 있는 한 작물에 벌레가 생기면 대규모로 엄청나게 농약을 뿌린다.

농약을 뿌리면 사람들의 몸에도 안좋고 농약을 계속해서 뿌리게 되면 벌레들이 그걸 견뎌내게 되어 농약을 더 많이 뿌릴수 밖에 없다. 게다가 땅이 산성화 되기도 하는데 우리의 옛 조상들은 여러가지로 안좋은 농약을 사용하지 않고도 부룩이라는 것을 이용해 더 큰 이익을 거둘수 있다니 참으로 놀라웠다.

이제야  우리는 환경에 대한 피해로 뒤늦게 그것을 깨닫게 되어 심각하게 생각하고는 있으나 실천은 아직 많이 미약한것 같다.

옛 조상들이 살아온 삶에는 과학이 발달된 지금의 시대를 사는 우리들이 배울점이 아직 많다고 생각했다. 무엇보다도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야 한다는 것을 알았던 조상들의 마음 자세를 맨 먼저 배워야 할것 같다.

(장예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