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걷고 싶은 길 1 : 홋카이도.혼슈 - 도보여행가 김남희가 반한 일본의 걷고 싶은 길 1
김남희 지음 / 미래인(미래M&B,미래엠앤비) / 201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책은 자연지리로 시작해 자연지리로 끝난다.

일본의 끝인 홋카이도에서도 끝머리인 곳에서 시작해 오키나와에서 끝나는 이책의 특징은 사진이 중심이라는 것이다.

여행 가이드도 그렇지만 여행 에세이인 경우 사진이 좋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곳을 다녀본 사람이 아닌 한 말로 아무리 설명해야 그 장소를 느낄 수 없기 때문이다.

중고등학교 때 국어 교과서에 실렸던 기행문들을 떠올려 보자. 장소 이름만 바꾸어도 별 차이가 없는 내용인 것이 사실이다.

그런 기행문이 되지 않으려면 사진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책의 구성은 평소 생각하던 기행문의 모범에 가깝다.

이책의 처음은 홋카이도의 끄트머리에서 시작한다. 홋카이도는 일본이면서 일본답지 않은 곳이다. 일본에서 관광지로 유명한 홋카이도도 그렇고 오키나와도 일본이면서 일본이 아닌 곳이라 할 수 있다. 두 곳 다 본격적으로 일본에 편입된 지 몇세기가 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인지 두 곳 다 일본 본토와는 분위기도 느낌도 다른 곳이다. 홋카이도의 특징은 흔히 '험준하고 웅대한 자연'이란 말로 요약된다.

눈과 곰, 사슴의 땅인 홋카이도. 홋카이도의 풍광은 아시아라기보다는 록키 산맥을 연상케하는 규모와 험준함이 특징이다. 그런 풍광은 말로 하는 것보다 사진으로 보여주는 것이 100배 낫다.

이책의 구성은 사진을 중심에 놓고 그 사진의 배경설명 정도로 저자의 여정과 저자가 그 장소에서 보고 느낀 것에 대한 설명이 곁들여지는 형식으로 구성된다. 이런 장르의 글에서 주인공은 그 장소가 되어야 하고 그런 원칙이 잘 지켜지고 있다.

그러나 저자의 발걸음이 간토와 간사이로 넘어가면 약간 글의 스타일이 달라진다.

교토와 나라, 가카쿠라 등 일본의 고도가 중심이 되는 1권의 후반 역시 홋카이도를 다룬 앞부분과 마찬가지로 사진을 중심으로 글이 서술되고 있다.

홋카이도를 다룰 때와 마찬가지로 저자는 사진을 통해 그 장소의 느낌을 독자 스스로 느끼도록 최대한 노력한다.

그러나 자연이 중심인 홋카이도에서 역사가 중심인 간토와 간사이로 넘어가면 저자가 사진의 문맥을 까는 스타일이 바뀐다.

역사가 중심이기 때문에 일본의 전통문화가 그대로 느껴지는 사진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어있고 저자의 설명 역시 그 사진들의 문맥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하고 있지만 독자로서 약간 불만인 것은 저자가 일본인 친구들과의 만남에 대한 사설이 좀 길다는 것이다.

물론 과거를 다루는 것이 아니라 현재의 일본을 다루는 것이고 그 현재를 살아가는 사람들에 대해 설명하는 것이 그 장소의 느낌에 대한 문맥을 제공하는데 중요하다. 그러나 문맥을 제공한다는 목적 이상으로 늘어지는 것이 문제이다.

이상이 이 시리즈의 1권에서 얻을 수 있는 것을 설명해본 것이다. 이책은 위에서 말한 것처럼 홋카이도의 자연과 일본의 전통이 살아있는 혼슈를 시각적으로 느끼기에 충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그리 깊이가 느껴지지는 않는 책이다. 제목에서 언급한 것처럼 도보여행가인 저자의 발걸음에 스치는 일본을 느낄 수 있는 것이지 스치는 그 일본의 깊이를 느낄 수는 없는 책이다. 그런 문맥을 깔기에는 저자의 일본에 대한 내공이 깊지 않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그러나 그런 문제를 갖고 있더라도 쏟아지는 일본 여행서적 들 중에서 이책 정도로 일본에 대한 느낌을 일본에 가지 않고도 느끼게 할 수 있는 책은 그리 많지 않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