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툰.여행. - 마음 여행자의 트래블 노트
최반 지음 / 컬처그라퍼 / 2009년 7월
평점 :
품절


인도를 가본 적은 없지만 인도여행기는 즐겨 보는 편이다. 인도라는 토양에서 태어난  불교교리에 관심이 있기 때문이다. 이책도 그런 인도여행기의 하나겠거니 생각햇다. 그러나 도착한 책을 받아보고는 내가 잘못 생각했다는 것을 알게 되는데는 1분도 걸리지 않았다.

이책은 인도여행기라기 보다는 인도사진집이다. 글도 있지만 글의 분량을 모두 모아봐야 30-40페이지가 되지 않는다. 330페이지가 넘는 이책의 분량은 풀컬러 사진으로 메워진 두꺼운 종이로 이루어져있다. 종이값이 두꺼울 수록 비싸고 4도인쇄이니 요즘 유행하는 2도 인쇄보다 기본으로 2배는 더들어간다. 그런데도 책값은 12000원이다. 출판사가 인심이 좋은데군 하는 생각부터 들었다.

그러면서 책을 넘겨가면서 사진을 한장 한장 감상한다. 저자는 책표지에 있는 것처럼 타지마할과 같은 관광지를 찍지 않았다. 그가 찍은 것은 도시의 다 허물어져가는 뒷골목이며 시장이고 벌거벗은 채 올챙이 배를 내민 아이들이며 똥이 굴러다니는 거리이다. 우리나라 50-60년대의 허물어져가는 모습과 별 다를 것이 없다. 저자가 그의 렌즈로 보여주는 인도는 있는 그대로 그들이 살아가는 현장이지 화장한 관광지가 아니다.

간간히 있는 저자의 글 역시 가감없는 인도인들의 모습이다. 외국인이면 봉으로 생각하는 도둑에 사기꾼, 야바위꾼 들이 인도인들이다.

저자가 보여주고 말하는 인도는 다른 여행기들이 말하듯이 더럽고 낡았으며 후덥지근하기까지한 되는 것도 없고 안되는 것도 없는 인도의 모습 그대로이다. 사람 사는 곳이란게 다 거기서 거기이다. 그러나 인도를 다녀온 사람들은 다시 인도로 되돌아간다. 그곳에서 그들은 인도에서만 볼 수 있는 것을 보았기 때문이다.

저자는 그가 발견한 인도를 사진으로 말한다. 그가 잡은 인도는 아열대가 그렇듯 울긋불긋 총천연색으로 빛나는 곳이다. 책에서 저자가 보여주듯 아열대의 동물과 식물이 그렇듯 사람들의 의상은 물론 거리의 물건들도 집들도 온갖것이 총천연색으로 알록달록 빛난다.

처음 책을 잡았을 때 눈에 띄었던 사진은 건물 사진들이엇다. 하얀 회벽에 그림자가 드리워진 모습이었다. 첫번째 사진은 건물 외벽에 드리워진 그림자가 갈색이었다. 그리고 다음 페이지에선 허름한 집들 위로 강렬한 햇살이 내리쪼이는 사진이다. 그 사진에서 그림자는 건물의 흰색 회칠과 강한 컨트라스트를 이루는 청색이었다.

그림자까지 검은색이나 회색이 아닌 컬러를 갖는 곳. 저자는 인도에서 불교의 화법처럼 진흙탕속에 피는 연꽃을 본 것이다.

인도인들의 삶은 힘들다. 기원전이나 지금이나 절대 다수의 인도인들의 삶은 힘겹다. 오죽하면 해탈을 말하는 불교가 인도에서 나왔겠는가? 마찬가지로 해탈을 말하는 힌두교 역시 인도만의 종교이다.

그러나 저자가 본 인도인들은 피곤한 삶에서도 표정이 밝다. 그러나 그 밝은 표정은 헤맑은 밝음은 아니다. 그 아래에는 삶의 피곤함이 잇다. 그들의 밝음은 그 피곤함을 이기고 피어오른 밝음인 것이다. 아열대에 사는 사람들 특유의 느긋함과 여유 때문이 아닐까 개인적으로 짐작해본다.

이책의 사진들에서 저자가 보여주고자 한 것은 바로 나른함에서 피어난 여유가 아닐까? 그리고 그것이 사람들을 인도로 끌어당기는 것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