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려 - 마음을 움직이는 힘 위즈덤하우스 한국형 자기계발 시리즈 1
한상복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0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배려라는 가치를 깨닫자고 설득하는 이 소설형식의 자기계발서는 책의 날개에 있는 말에 따르면 '한국의 부자'란 책을 낸 저자가 오랜 기자생활을 하면서 성공한 사람들에게 공통적인 가치관 중 하나를 말하기 위해 쓴 책이다. 그들은 공통적으로 자신보다 더 큰 무엇을 알고 있었다는 것이다. 

언젠가 읽은 일본경영서적에서 '사명감'에 대한 말을 읽고 신선함을 느낀 일이 있었다. 그책은 평범한 직장인이 어떻게 창업을 할 것인가를 알려주는 책이었다. 그책에서 저자는 이기적으로 이 사업을 해서 돈이나 벌겠다는 동기로 사업을 시작한 사람치고 성공하는 경우가 드물다고 말한다. 라면가게를 한다면 돈을 벌겠다는 것이 아니라 맛있는 라면을 사람들에게 대접해 그들에게 즐거움을 주겠다는 '사명감'을 가지고 창업을 한다면 자신의 동기를 이루기 위해 조금이라도 더 노력하게 되고 그러다보면 그 가게가 성공하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이다.  

이책의 주인공은 남에게 지지 않기 위해 자신의 강점만 보이려 하고 약점은 기를 쓰고 숨기려는 어디서나 볼 수 있는 우리 자신이다. 경쟁에서 생존하기 위해 무슨 일이든 해야된다는 보호본능에 신경을 쓰다보니 모든 신경은 자신에게 향하게 되고 남에게는 무관심한 이기적인 인간이다. 그런 그가 어떻게 남이 무슨 생각을 하는가를 볼줄 알게 되고 남에게 주었더니 준 것이상으로 돌아온다는 황금률(받고 싶으면 먼저 베풀라)을 깨닫게 되고 남과 더불어 사는 것이 행복이라는 것을 배우게 되는 과정을 그린다.  

이책에서 주인공이 닮아가는 스승으로 공자왈이란 사람이 나온다. 언제나 공자님 말씀을 달고 다니며 사는 그는 시장에서 경쟁력이란 남과의 싸움에서 이기기 위한 경쟁력이 아니라 자신의 경쟁력이라 말한다. 시장에서 1등은 경쟁업체를 쓰러트리기 위해 노력하는 기업이 아니라 고객에게 만족을 선물할 수 있는 기업이라는 것이다.  

이책에 수없이 등장하는 논어의 핵심 개념은 '인'이다. 인이란 감수성이다. 아름다움을 느끼는 감수성이다. 예란 다른 사람과의 관계이며 규칙이다. 그 규칙은 다른사람과의 관계가 선한 것 즉 아름답게 느껴지는 관계를 어떻게 만들 것인가에 관한 것이다. 역지사지, 즉 배려는 아름다운 관계를 이루는 기본 바탕이다. 이기적인 행동을 다른사람이 아름답게 보지는 않는다. 그리고 그런 행동을 하는 사람의 마음도 아름답지 않다. 그리고 자신이 마음이 아름답지 않을 때 그런 마음을 가진 사람 스스로 행복하지 않다는 것을 안다. 단지 그렇지 않다고 속일 뿐이다.   

이책은 소설가가 쓰지 않았는데 소설적 재미와 함께 오래되어 이제는 케케묵어 들리는 '공자님 말씀'이 우리를 행복에 이르게 한다는 문학적 재미를 뛰어넘는 깊이를 갖추고 잇다. 적극 추천할 수 밖에 없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