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더 마인호프 - The Baader Meinhof Complex
영화
평점 :
상영종료


시대를 살아가는 의미와 지혜를 얻었으면 한다. 격렬한 처신의 위험도 알았으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더 마인호프 - The Baader Meinhof Complex
영화
평점 :
상영종료


무척 충격적이었다.

적군파란 이야기를 들은 지 꽤 된 것 같다. 거의 기억에서 사라질 즈음, 무척 독특한 이름에 독특한 포스터에 이끌려 보게 된 이 영화는 내가 본 영화 중 가장 긴 영화였다. 거의 두 시간 반에 이르는 오래 지속되는 영화지만 영화 한 장면 한 장면은 지루함보단 놀라움과 그 격렬한 장면으로 나를 이끌고 갔다.

67년 서독은 한국의 86년이나 87년처럼 시위의 시대였다. 반전을 주장하면서 가열된 시위는 민주화든 자유를 위해서든 여느 국가나 치러야 할 홍역처럼 보여졌다. 그리고 대처방안 역시 한국의 민주화와 다르지 않은 분위기에서 서독의 젊은이들은 좀 더 격렬했다. 소위 맑스주의에 대한 열정을 지닌 서독의 젊은 공산주의자들은 보다 강경하고 보다 거세게 저항했다. 한국이 6·25를 거쳐서인지 극렬하지 못했던 남한과는 달리 반전과 자유를 외치는 그들의 구호는 무장투쟁에 가까웠다.

적군파는 어느 순간 인간의 우아함이 사라져갔다. 그들은 투쟁을 위해 무기를 들고 게릴라 전투를 익히기 시작했다. 요르단에서 적군파가 군사훈련을 한다는 것은 사회적 불신의 극단을 위한 준비단계였다. 비록 그 지역과의 문화적 마찰이 생겨 적군파가 훈련 도중 쫓겨나기도 했지만 퇴출이 중요한 것은 아니다. 그들은 자신들만의 세계에 이미 도달해 타협의 여지를 갖고 잇는 단체가 되고 있지 못했다. 몰이해든 무관심이든 그들은 타인의 행동과 문화를 받아들일 여지를 만들지 못했다. 이런 그들은 다시 서독으로 진입, 자신들의 의도를 관철하기 위한 다양한 작전들을 수행한다. 자본주의의 상징인 은행을 털면서 자본주의에 대한 응징을 시작한 그들은 당국의 추격 속에 점차 격렬해졌고 결국 살인이나 희생들을 너무 당연시하는 사태에까지 이르고 말았다. 그들이 만들고자 자유롭고 행복한 자유인을 만들고자 했던 염원은 현실과의 격렬한 투쟁 속에 점차 방화와 총질만이 난무하는 공간으로 점점 좁혀져 간 것이다.

어느덧 그들의 모습에서 동료애는 있고 목적의식은 있지만 인간미는 어디가 원인인지 모르지만 사라지고 있었다. 투쟁가만 있었을 뿐 진정한 휴머니스트는 없었던 것이다. 그래서 그들은 거친 황소처럼 살인과 납치에까지 이르렀고, 대법원장을 포함한 판사들의 살해, 뮌헨 올림픽에서 이스라엘에 대한 총격 등은 물론 비행기 납치와 같은 극한 상황에 대한 다큐멘터리적 소개는 그들의 극단적인 설정을 비극적으로 예시하고 있었다. 최악의 비행기 납치에서 보이는 그들의 불쾌한 행태는 오늘의 우리들이 알고 있는 그들의 운명을 암시한다.

그렇다고 서독 정부로 대표되는 기존 세력은 정당하게 대처했을까? 자신의 동료를 죽인 적군파 일원을 암묵적인 비호 속에 구타하는 장면이나 이란 민주주의를 부르짖은 시위대에게 폭력을 가한 사실이나 그 시위대 일원을 총으로 쏘는 경찰의 모습은 그들의 허위를 지키기 위해선 무슨 짓이라도 하는 서글픈 공권력의 폭력이 존재했다. 당시의 이란왕국은 이후 이란 국민의 혁명으로 무너지고 말았다. 그런 불쾌한 정부와 좋은 관계를 맺기를 염원한 목적이 국익이라면 모든 것이 정당화되는 국제적 정글 속에서의 필연적 행동이었을지 모르지만 이런 모습은 구태 중 하나일 뿐이었다.

마지막 영화의 장면에서의 살인은 세대간이든 집단간이든 타협의 여지를 만들지 못한 사회가 어떤 상황으로 몰릴지를 분명하게 보여주고 있었다. 누가 먼저 잘못했을까 하는 문제도 중요하지만 그래서 그런 문제들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역시도 중요하다. 성숙은 언제나 필요한 것이다. 왜냐 하면 사회는 언제나 문젯거리가 터지기 때문이다. 불만은 항시적이고 요구는 다양하다. 그럴 때 단호한 대처는 서로간에 악순환만 되풀이될 것이다. 사회의 진지한 성찰이 더욱 필요하다는 사실을 격렬한 총소리와 피를 통해 반증하고 있다. 이제 적군파는 없다. 그러나 이름만 다를 뿐 어떤 분노가 현실에서 언제나 터질 수 있다는 것도 알고 있다. 적군파가 사라졌다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앞으로도 그럴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하는 것이다.

같이 갔던 친구는 이전에 영화의 원작인 작품을 읽었다고 했다. 그래서 같이 보자는 이야기를 듣고 무척 기뻐했다. 난 그 친구가 왜 이리 기뻐하는지 몰랐지만 영화 보고 그 친구의 기쁨을 이해했다. 영화는 아름다운 장면으로 포장되지 않았지만 우리 모두에게 던지는 메시지는 강렬했다. 우린 그런 문제제기에 교과서적인 답변보다 좀 더 어른스럽게 답변해야 할 것 같다. 그런데 좀 슬프다. 과연 우린 그런 현실에 있는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Inger Marie - Inger Marie Gundersen By Myself [CD + DVD]
잉거 마리 (Inger Marie) 노래 / Only Music / 2007년 3월
평점 :
품절


 짙은 커피향과 같은 재즈란 이런 것일까? 이렇게 은은할 수 있을까? 비 오는 어느 여름날, 창 밖을 응시하면서 듣고 있을 때 편안함과 묘한 긴장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그리고 따뜻한 커피 한 잔을 음미할 수 있는 정서적 여유를 제공하는 그 무엇을 느끼게 해주는 아련한 재즈-팝. Inger Marie Gundersen이란 북유럽에서 온 백인 여자의 재즈는 묘한 이미지를 품게 만든다.
  하지만 Inger Marie란 여자의 재즈는 재즈바에서 와인잔을 입가에 맞추었을 때의 진함도 느낄 수 있다. 아마 음악적 분위기 때문일 것이다. 재즈-팝이라서 그런 것 같기도 하고. 보이스의 속성은 여느 흑인 가수와는 달랐다. 어딘지 모를 콧소리와 허스키한 듯하면서도 맑은 목소리는 색다른 맛을 느끼게 한다. 그러면서도 무거운 듯하면서도 가벼운 듯 툭툭 하는 창법은 매력적이다 못해 환상성을 자극한다. 
  노르웨이란 그녀의 출생지를 생각하면 찬 그 무엇이 느껴지는 것이 보통이다. 연주자 역시 스웨덴 출신이라 모든 것이 북유럽의 환상을 자아내기에 충분한 구성력을 갖고 있다. 하지만 이런 매력과 함께 그녀의 이 앨범은 팝적인 것의 가미로 쉽게 다가갈 수 있는 느낌을 제공해 주고 있다. 어려운 재즈보다 개인적인 정서를 적셔주는 것이기에 ‘By Myself’란 앨범은 더욱 친근하게 느껴진다.
  시작부터 매력적이다. 어느 이름 모를 Bar에서 혼자 느낄 수 있는 감흥을 재즈-팝으로 울려주고 있다. 천천히 다가오는 매력 속에서 피아노의 선율을 타고 들려오는 Inger Marie의 보이스는 여성적 매력은 물론 고혹적인 재즈의 매력을 너무나도 잘 느낄 수 있게 해준다. 아마 앨범 전체의 매력을 한 곳으로 표현하자면 ‘I don’t want to talk about it’이란 첫 번째 노래일 것이다. 다음 노래인 ‘By Myself’에서의 트럼펫은 음울과 낭만을 동시에 보여주고 있다. 나른함을 자아내면서도 고독을 즐길 수 있도록 느끼는 그녀의 노래는 확실히 도시적 고독을 표현하는 것만 같다.
  ‘Sad Song’은 정말 슬픈 노래인지 모르겠다. 재즈가 인간의 내면적 고통을 정화시키고 유연하게 만드는 매력이 있는 쟝르여서인지 이 노래엔 슬픔보다 그것을 아련히 추억하는 듯한 어조를 느낄 수 있다. 고통을 아련한 추억 속에 묻어버리고 새로운 감흥으로 빠져드는 상념에 젖게 하는 사랑스런 노래다. Inger Marie의 노래 중 가장 마음에 드는 노래다. ‘One’은 ‘Sad Song’에서의 인내의 느낌보단 토로의 감성이 더 느껴진다. 좀 더 거칠다고나 할까? 은은하지만 슬픔의 내면 속에 침잠하면서 들려주는 그녀의 읊조림은 다소나마 들려오는 차라리 정제되지 못한 도전적인 어조를 느낄 수 있다. 이 노래 역시 무척 좋아하는 노래다.
  흥겨운 트럼펫의 시작으로 ‘I Will’은 원곡에서 들을 수 없는 편안함과 나른함을 단번에 느낄 수 있다. 아주 오래된 악기를 지금 사용하면서도 전혀 무리 없이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아니 자신만의 음악으로 이끄는 노르웨이 가수의 역량은 계속 들어도 질리지 않게 만드는 그 무엇이다. ‘Where were you’에서의 여전한 매력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 어쩐지 느껴지는 다양한 변주는 노래의 편안함과 긴장감을 일으키는 것만 같다. 특히 Oscar Jensen의 피아노의 느낌은 너무 좋다. 아마 진한 커피를 마시면서 듣기에 가장 좋은 노래인 것 같다. ‘Don’t Explain’와 ‘You don’t Know What Love is’ 두 곡에서 느껴지는 조그만 파장과 긴장은 허약한 나른함을 잦아지게 하고 있다. 뭔가 폭발할 것 같은 것의 잔잔함, 목소리 자체로 이끌어가는 힘이 느껴진다. 앨범 후반기로서 확실한 뭔가를 들려주고 있다.
  Live Track 세 곡은 이 앨범의 색다른 매력을 부가한다. 공연에서 느낄 수 있는 공간감이 그녀의 느낌과 함께 느껴진다. 개인적으로 꼭 그런 곳에 가서 듣고 싶다. 아마 쉬운 느낌으로서의 음악으로뿐만 아니라 흑인의 재즈의 매력을 북구의 여성 보컬로 직접 느낄 수 있도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Gossip - Music For Men
가쉽(gossip) 노래 / 소니뮤직(SonyMusic) / 200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거칠고 냉소적이다. 펑크 그룹들이 다 그렇지만 그래도 Gosship은 뭔가 다르다. 난 처음 대하지만펑크의 무심함과 적대감, 그리고 비판적이고 냉소적인 느낌들이 한 번에 다가오고 있다. 대단히 파괴적인 면이 있고 지지직 거리는 음향의 거슬림과 Cold한 기타 소리는 전체적인 노래의 분위기를 펑크 음악에 무거운 어조를 드리우고 있다. 마치 어느 어두컴컴한 골목길에서 헤맬 때의 두려움을 느끼게 한다. 도대체 친숙함을 어느 곳에서도 느낄 수 없는 그 어떤 독특함과 개성은 앨범을 듣는 순간 사람을 어딘지 모를 심연으로 빠뜨리는 매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정말 무서운 것은 끝날 때의 깔끔한 냉정함이다. 도대체 끄는 것이 없이 자기 할 말만 하면 종언을 하듯 극적인 장면은 거의 없이 단호하다.
  Heavy Cross는 이런 어두운 분위기를 한껏 누리게 만든다. 도시 속의 어느 막다른 골목에서 이 그룹이 신나게 연주하는 듯 하다. 악령처럼. 뒤편에서 들리는 경찰차의 사이렌 소리는 이런 음울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그러나 여성 보컬의 냉소적이고 거칠면서도 탐욕스런 듯한 목소리는 내가 들어본 적이 거의 없는 무척 독창적인 목소리다. 예쁜 목소리는 철저히 거부하는 이 보컬리스트(Beth)는 펑크의 근간을 가장 잘 표현하는 목소리를 지녔다.
  8th Wonder는 기타의 펑키적 매력을 가장 잘 드러낸 것 같다. 빠르면서도 섬세하고 그러면서도 단순한 공격성을 맘껏 들려준다. 역시 펑크는 도시, 아니 할렘과 같은 도시의 색을 확실히 보여준다. 우리가 지금 살고 있는 도시의 색깔은 소외되고 버림 받은 사람들의 천국이 아닌가? 그런 점에서 기타의 울림은 Beth의 Shout 창법과 함께 절묘하게 솔직한 우리 마음을 담아 내고 있다.
  Love Long Distance에선 피아노가 단순한 인상을 심어준다. 아름다운 선율에서 그 매력을 풍기는 피아노도 Gossip에선 전혀 그런 따뜻함을 느낄 수 있다. 차라리 피아노가 아니라 드럼에 가까운 이 기이한 매력은 펑크 그룹이 악기들을 어떤 모습을 변화시키는지를 확실하게 보여준다. 그룹의 정신이 악기의 소리를 통제하는 이런 매력은 아마 음악가들의 진정한 매력이라 할 것이다. Beth의 유연하지 않은 그녀의 개성은 여전하다. 사랑을 전혀 갈구하지 않는 듯한 노래는 확실하게 느끼겠다.
  일렉적인 느낌이 강하다. Pop goes the World는 냉정하고 무감각한 듯한 전체적인 노래 흐름은 그래도 거친 감성의 보컬로 인간적인 느낌은 있는 것 같다. 그러나 아프리카의 원시적인 박자가 강조되는 거친 숨소리의 음악은 록의 근본적인 뿌리인 아프리카 음악 같은 거친 야성과 점증적인 분위기의 고조는 야성미가 물씬 노래를 듣게 해준다.
  Vertical Rhythm, 역시 Gossip이다. 도시화가 되면서 사람들은 더욱 원초적이 됐다. 사회적 규범이나 제도들이 인간을 유순하게 만들었다면 도시화는 그런 제약을 해체시킨 곳이다. 그래서 도시를 모태로 나온 음악들은 단순하면서 원초적이고 투박한 고성을 지르기 마련이다. 무엇보다 상하로 움직이는 노래는 긴장과 흥분을 자아낸다. 그들은 예뻐지기 위해 노력하는, 말 잘 듣는 그런 사람들이 될 수 없음을 이 노래로 표현하고 있다. 공포를 이기기 위해 더욱 공포스럽게 부르는 이들의 음악은 현실의 괴기한 면을 가장 잘 표현하고 있다.
  Men in Love는 그래도 신난다. 신나게 달리는 자동차 안에 있는 것만 같은 이 쾌속함과 경쾌함은 이번 앨범에서 가장 유별나게 들린다. 음의 변화가 거의 없는 상태에서 들려주는 신남은 차라리 댄스곡과 같은 친숙함을 느낄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은 댄스 그룹은 아니다. 그들이 만들어 낼 수 있는 한계에서 친숙함을 선사하는 것이다. 나나나 하면서 들려주는 아름답지 않은 매력은 정말 아름답다.
  For Keeps는 도시의 경적을 듣는 듯한 괴이한 마음을 자아낸다. Beth에겐 거의 듣지 못한 간절한 어조는 기타의 경직된 소리가 대조된다. 그러나 그녀의 개성은 역시나이다. 이렇게 기타 소리와 절묘한 조화를 이룬 목소리는 최근 들어본 적이 없는 것 같다.
  정말 놀랄 따름이다. 이런 원초적인 감성을 자극하는 음악을 몰랐는지. 도시 속에 살면서 다양한 피곤함과 경직됨이 우리 주위에 맴돌고 있는데 그런 안타까움을 한 번에 깨뜨려버린 ‘Gossip’의 음악은 원초성과 현대성을 함께 들려준다. 펑크의 냉정함은 도시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런 싸늘함을 단순함으로 형상화한 이 그룹은 가장 우리와 가까운 이웃사촌과도 같다. 그리고 그들의 솔직한 표현력으로 도리어 우린 편안함을 느낄 수 있을 것 같다. 표현하지 못해 화난 우리의 내면심리를 더 없이 표현하고 있는 이 그룹의 매력을 난 왜 이제 알았는지 모르겠다. 내가 나에 대해서 너무 무심한 결과이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반역 패자의 슬픈 낙인 - 피로 쓴 조선사 500년의 재구성
배상열 지음 / 추수밭(청림출판) / 200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를 보는 시각이 객관적이어야 하는가 아님 주관적이어도 괜찮은가 하는 것은 해묵은 논쟁이다. 그러나 어떤 것이든 주관적인 범주 안에서 역사를 서술한다는 것은 대체적으로 인정하고 있는 것이 또한 현실이다. 객관적인 입장에서 이야기한다 하더라도 사실을 선별하는데 있어 사가의 입장이 결정적인 준거가 되며, 또한 역사 기술이란 결과물을 만들어준 내면심리는 글 하나하나에 서려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런 점에서 객관적인 자세를 취하려는 역사가의 입장은 존중되지만 결국 주관적인 범주에 머물 수밖에 없으며 어느 정도 객관적이냐가 문제일 것이다. 그러나 이런 관점에서 ‘반역, 패자의 슬픈 낙인’이란 책은 그런 객관적인 자세를 취하지 않음을 시작부터 밝히고 있다.
  비판이론이 등장하고 힘을 얻으면서 특정 시각을 중심으로 사회의 부당성을 밝히려는 움직임이 현재 강한 힘을 발휘하고 있다. 그런 주장은 근대화의 특징인 객관성을 부정하는 것이 특징이다. 객관적이라고 주장하는 철학이나 역사가 수학과 물리학의 법칙을 신봉하면서 전개됐지만 그 속에서 느낄 수 있는 기득권과 사회적 권력자들의 의지가 투영된 면은 어쩔 수 없고 그것을 비판하기 위해 특정입장에 과감히 서야 한다는 비판이론은 현 사회의 약자들의 저항으로 보일 수 있다.
  이 책의 저자 배상열은 기본적인 대전제를 갖고 책으로 진술한다. 조선시대는 역성혁명을 통해 이루어진 부당한 국가란 전제를 갖고 시작한다. 잘못된 시작은 500년 역사 전체를 부당한 국면으로 몰아가게 된다. 아마 주관적인 판단으로 시작된 이런 시각은 비판의 여지가 없지 않다. 주관적인 시선이 객관적인 근거로 도움 받지 못할 때 주관성은 여지없이 무너지기 마련이다. 그러나 이 서평에서 그것을 담으려는 것은 아니다. 그런 평가들은 역사학자들간의 논쟁으로 마무리 지어야 할 것들이다. 이 책은 그런 복잡한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라기보단 나에겐 건강한 공동체를 위해 무엇이 필요한가라는 문제제기와 연결되는 것으로 보인다.
  주관적인 시각으로 역사를 보는 것이 옳은가 하는 문제는 언제나 쟁점일 수 있다. 그러나 그보다 더욱 눈 여겨 봐야 할 것은 작가가 문제제기하고 있는 문제의 주제다. 조선의 모든 왕이 엉망이거나 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자신의 왕권 강화를 위해 기획반역은 공동체의 많은 이들의 불행을 초래했고 선조인 경우 국운까지 기우는 상황까지 만들었다. 더욱 문제는 책임져야 할 임금이 공동체를 언제든 버릴 자세가 되어 있는 경우 그를 임금으로 알고 있는 공동체 구성원의 배신감은 물론 그 이탈과 반항은 국가의 분열과 해체를 촉진한다. 왕 자신의 권력기반을 위해 타국의 군대를 이용하려는 고종을 보면 조선에 대한 충성을 요구할 무능력한 왕을 보유한 조선의 위기가 얼마나 심각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런 점 때문에 민주주의의 가치를 읽을 수 있다. 민주주의에 의해 선발된 정치가들이 형편없는 왕보다 낫다는 것이 아니라 무능한 자들을 교체할 수 있는 시스템을 그나마 갖추었던 점에서 그 건강성이 확인된다. 작가가 조선의 시작을 근거로 조선의 모든 왕을 폄하하거나 할 수 있는 근거로 볼 수 없지만 무능하거나 치졸한 왕에 대해 그 무엇을 할 수 없단 사실은 조선은 분명 문제가 많은 체제였다. 그것은 고려나 신라와 같은 왕국에게도 해당되리라. 국가의 통합성을 헤치고 소수의 이권만을 보장하는 정치체제는 필요 없음을 이 책은 실증자료로 보여주고 있다. 이 점에서 이 책은 읽을만한 가치를 담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