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가고 싶은 곳 용산, 성동, 마포
<자료출처> 매일경제
 
   주택 수요자들이 전통적인 강남 선호에서 탈피해 새로운 개발호재가 있는 지역
   으로 눈을 돌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정보업체인 스피드뱅크가 이달 9~22일 홈페이지를 방문한 네티즌 총 247
   7명을 대상으로 '가을 이사철을 맞이해 앞으로 이사를 간다면 어느 지역으로 
   갈 것인가'라는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전체 응답자 중 64.1%인 1588명이 '개발
   호재가 있는 성동,용산,마포 일대를 선택하겠다'고 답했다.

   성동구는 뚝섬유원지 개발, 용산은 미군기지 이전 및 고속철 개통, 마포는 상
   암지구 건설 등 호재로 주목받고 있는 지역이다. 

   23.1%(573명)는'그래도 강남이다. 강남, 서초, 송파 등 강남권으로 가겠다'고 
   응답했다.

   이는 재건축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주택가격 급등을 주도했던  강남권이 최근
   정부의 각종 규제로 직격탄을 맞고 정부의 강력한 집값 규제가 계속 이어지자 
   주택수요자들이 개발호재가 있는 지역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9호선 개통예정인 동작, 영등포, 강서 역세권'은 7.1%, 1차 뉴타운 지역인 '
   왕십리, 길음 뉴타운 지역'은 5.7%가 선택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추석 귀성길, 고향땅 이것만은 챙겨보자
 (자료출처)한국경제신문
"올 추석에는 고향 땅값과 주변 개발계획을 반드시 챙겨보세요" 

최근 1년동안 전국 땅값이 이런 저런 재료로 급등했다. 부모님 또는 내가 가지고 있는 고
향의 땅값이 크게 올랐거나 주변 땅의 투자가치가 높아졌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땅값을 모르면 내 땅을 헐값에 팔 수도 있고 좋은 투자기회를 놓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번 추석연휴 귀성길에는 고향 땅값을 점검해 보는게 필수다. 특히 고향 땅의 경
우 친구나 친척을 통해 가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내 땅은 내가 지켜야 

참여정부 출범 이후 신행정수도 이전,기업도시 건설,공기업 지방이전, 대규모 관광. 휴양
지 개발계획 등이 잇달아 터지면서 전국에서 2배 이상 땅값이 오른 곳이 수두룩하다.

상황이 이런 만큼 자신이나 부모님이 보유한 고향 땅의 가치가 얼마정도 되는지 알아둘 필
요가 있다. 땅값을 정확하게 모르면 기획부동산이나 전문투자자들에게 속아 자신의 땅을 
헐값에 팔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 주 5일 근무제가 확산되면서 주말주택.전원주택.펜션 등의 수요가 늘고 있다. 고향 땅
을 잘 살펴 주말주택 등의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지 점검해보는 것도 바람직하다.

<>개발계획을 귀동냥하자 

정부는 지역균형 발전을 위해 공기업의 지방이전 등 다양한 지역개발계획을 내놓고 있다.
또 지방자치단체들도 지역경제를 살리거나 세수 증대를 위해서 여러가지 개발계획을 추진
하고 있다. 

따라서 고향이 좋은 투자처가 될 수 있다. 특히 고향 땅은 자신이 잘 아는 지역이어서 투자
하는데 있어 실수할 위험이 적다는 장점도 있다. 또 친구나 친인척을 통해 정확한 거래가
격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바가지를 쓸 염려도 없다.

<>종중땅 등은 분쟁요소 미리 없애야 

땅값이 오르면 분쟁이 생기게 마련이다. 대표적인 것이 형제간 재산다툼, 명의신탁된 종
중 재산 분쟁이다. 

개인명의로 된 종중재산의 경우 명의자가 땅을 팔아버리면 되찾기 어렵다. 따라서 종중명
의로 돌려놓거나 집안 어른들의 공동명의로 등기해두는게 좋다. 또 땅값이 오르면 형제간 
재산다툼이 발생하는 경우도 많다.

우리나라 민법은 상속시 균등배분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유언을 제외하고는 장.차남 여부
에 관계없이 모두 균등하게 재산상속이 이뤄진다. 분쟁이 발생하기 전에 이런 법규정이나 
서로의 입장에 대해 충분히 이야기를 나누는게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http://www.kcue.or.k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http://www.moe.go.k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http://www.childbook.or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