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뜨고 지고! : 자연 끼리끼리 재미있는 우리말 사전 1
박남일 지음, 김우선 그림 / 길벗어린이 / 200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속의 말이 하도 예뻐서 아이들보다 제가 더 호들갑을 떨었습니다. 이제 다섯 살인 아들에게 읽어주니 슬그머니 자리를 떠버립니다. 당연하죠. 다섯 살 아이에겐 별 감흥이 없겠죠. 

하지만, 저는 단어 하나 하나 문장 하나 하나를 곱씹으며 흐뭇해하며, 어머 이런 말도 있었네 하며 읽게 됩니다.  

해돋이 때 처음 솟는 가녀린 햇빛은 햇귀. 수많은 화살이 날어오듯, 내쏘는 햇빛은 햇살. 사방으로 확 퍼지듯 넓게 뻗치는 햇살은 햇발. 작은 햇귀가 쑥쑥 자라나 햇살이 되고, 햇살이 부채처럼 펼쳐져 눈부신 햇발이 되지. 네 꿈도 햇발처럼 활짝 펼쳐 봐! <p.9>  

초승달이 조금 자라 조각달 되고, 조각달이 더 자라 반달 되고....달도 ' 한 달'을 재는 시계! 달이 돌리는 시계는 '음력', 해가 돌리는 시계는 '양력' <p.17>  

오랜 가뭄 끝에 비가 내렸어. 그럼, 다디달게 느껴져서 단비. 모낼 무렵에 고맙게도 비가 내렸어. 그럼, 꼭 필요할 때 내렸다고 목비. 바쁜 봄에 내리는 비는 비를 맞더라도 일하라고 일비. 덜 바쁜 여름철에 내리는 비는 집에서 낮잠이나 자라고 잠비. 추수 끝난 가을에 내리는 비는 떡 해 먹는다고 떡비. 때맞춰 내리는 비는 하늘이 주는 축복이야. <p.28~29>

아, 이렇게 예쁘게 설명하는 사전, 이 세상에 또 있을까요? 이렇게 고운 단어가 있는데, 그동안 잊고 살았구나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해와 달과 별, 바람과 구름, 비와 눈, 그리고 들과 강과 바다에 대한 아름다운 우리 말들을 들여다보면서 잊었던, 몰랐던 단어들을 배웁니다. 목비, 잠비, 일비, 떡비는 처음 들어보는 비이름입니다. 

이제 일곱 살인 우리 딸아이가 이렇게 아름다운 말들을 알게 된다니 다행입니다. 아이가 책에 나오는 예쁜 우리 말을 자연스럽게 말하는 날이 오리라 생각하니 뿌듯합니다.  아직은 우리 아이보다 제가 더 좋아하는 책이지만 언젠가 알게 되겠죠? 새털구름, 양떼구름, 작달비, 채찍비, 도둑눈, 설밥, 가람, 볕뉘, 선바위와 너럭바위, 황소바람, 건들바람, 남실바람 따위를 말입니다.

책을 읽으면서 느낀거지만 우리 말은 배워도 배워도 끝이 없는 듯 합니다. 그리고, 우리말이 아무리 곱고 예뻐도 사용하지 않으면 사라져버리겠죠. 안타깝지만, 국어보다 영어가 더 중시되는 지금의 상황은 더욱 그렇습니다. 그래서, 더 소중하고 고마운 책입니다. 첫번째 사전인 재고 세고! 수와 양에 대한 우리말 사전도 사야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일미리 일본어 첫걸음 - 일본에 미리 가는 일본어 첫걸음
커뮤니케이션 일본어 연구회 지음 / 사람in / 200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본어를 공부해야겠다 마음 먹었다. 마음만 먹었다. 내가 사는 동네는 일본 사람들이 아주 많이 산다. 무엇보다도 우리집 K군이 다니는 유치원도 일본아이들이 많다. 유치원버스를 태울 때 그들이 하는 말을 전혀 알아듣지 못하게 늘 아쉬웠다. 오카상과 파파 정도만 알아듣는 정도이다. 그래서, '그래! 결심했어. 일본어를 한 번 시작해자.~' 하게 되었다.

처음에 이 책을 보고는 히라가나와 가타가나를 열심히 따라 그렸다. 웬 글자가 다 그리 비슷비슷한지....써도 왜 그리 외어지질 않는지. 내 것으로 체화하려면 꽤나 오랜시간이 걸릴 듯 하다. CD를 내 I-POD로 옮겼다. 오고 가며 들으면 좋을 것 같다 생각했으나, 나처럼 히라가나와 가타가나도 외우지 못하는, 입문단계에도 진입하지 못한 수준은 아직 사용불가이다. 책과 함께 맞춰보아야 하기 때문이다. 이제 아이들이 다시 유치원에 다니니 책상에 앉아서 진득하게 들어볼 참이다.

 

아이들이 방학이다 보니 날 위해 무엇인가를 해야할 시간이 없어서 아직은 책의 첫머리에서 글씨를 외는 수준에 머물러 있었다. 이제 부터 가열차게 공부해보아야지.

일본 제품(과자나 양념류)을 사려면 골치가 아팠다. 외국사람들이 영어로 적혀있지 않는 한국제품을 보면 이게 과연 어디에 쓰는 물건인고 하면서 머리를 긁적거릴 것이다. 내가 일본제품을 볼때마다 이건 아예 외계에서 온 것이지 싶을 정도로 전혀 이해 불가인 것들도 간혹 있다. 일본어를 안다면, 사용설명서를 제대로 읽을 줄 안다면....이런 아쉬움을 품었었다. 이제 공부하기 좋은 선선한 가을바람도 불어오고, 열심히 공부하는 일만 남았다. 

 

이 책은 일본어에 대해 잘 모르는 사람이 일본으로 혼자 여행을 떠났을 때 상황상황을 설명해준다. 비행기에서, 비행기에 내려서, 공항에서 기차타고 시내로 들어가는 것, 지하철 타는 법, 쇼핑할 때...등등 정말 상황상황에 필요한 대화가 많이 들어있다. 나도 일본어로 목소리 깔고 말하는 날이 오려나? 우리 우리집 동네 꼬마들에게 물어봐야겠다. 하늘은 뭐니? 바다는 뭐라고 해? 사랑한다는 뭐야...? 라고 말이다.

스미마셍, 오겡끼데스카, 오하이오 고자이마스말고 내가 아는 일본어 단어도 풍부해지겠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 친구는 누구일까?
레이첼 리벳 지음, 크티시스 옮김, 두브라브카 콜라노빅 그림 / 가치창조 / 2008년 8월
평점 :
절판



아기 다람쥐가 묻습니다. "엄마 이 세상에서 가장 소중한 게 뭐예요?" 엄마는 그 답을 알려주지 않습니다. 아기 다람쥐가 직접 찾기를 원하지요.

 

까마귀에게 묻습니다. 까마귀야 너에게 소중한 것은 무엇이니? 까마귀에게 소중한 건 바람입니다. 날개를 활짝 펴고 날 수 있게 도와주니까요.

 

시냇물에게는 바다친구가 가장 소중하답니다.  바다로 여행하는 동안 시냇물은 많은 모험을 하고 바다에서 모두 하나가 되기 때문이랍니다.

 

너도밤나무에게는 봄, 여름, 가을, 겨울이 소중합니다. 사계절 친구때문에 봄이 되면 잎이 돋고, 여름이면 울창한 나무가 되고, 가을이면 열매를 맺고 혹독한 겨울을 지나면서 잘 자라게 되기 때문입니다.

 

달님에게 소중한 친구는 해님입니다. 해님과 달님이 차례로 세상을 밝게 비추기 때문이랍니다.

 

그럼, 다람쥐에게 소중한 것은 무엇일까요? 엄마랑 집입니다. 그리고, 이 모두를 우리에게 주신 분은 누구일까? 로 이야기를 맺습니다.

 

Y양에게 물어보니 자신에게 소중한 사람은 엄마와 아빠 그리고 동생 K군이랍니다. 너무도 당연한 대답입니다. 그리고 나에게도 아빠에게도 소중한 사람은 누구인지 확인을 합니다. 이 책의 교훈은 이것이겠지요.

그런데, 왜 제목을 "내 친구는 누구일까?"로 했을까 하는 의문을 갖게 됩니다. 이런 당연한 결말을 유도할 수 있다면, "나에게 소중한 사람은 누구일까?" 정도가 맞지 않을지...

 

그리고, 만약 내가 시냇물이라면, 나는 아마도 바다라고 대답하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바다는 시냇물이 도달하기 위한 목표같은 것이니까요. 저라면, 나와 함께하는 작은 물고기, 물풀...등 내가 품은 모든 생명들이 소중하다고 답했을 것입니다.

 

내가 만약 달님이었다면, 나에게 소중한 것은 해님이 아니라 밤 하늘에 떠있게 해주는 어두운 밤하늘과 밤하늘에 반짝이는 수많은 별님 친구들이 더 소중하다고 답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아니면, 어두운 밤길을 용감하게 걸어갈 수 있다며 나에게 '달님 고마워요~' 하며 미소짓는 수많은 동물들이 아닐까요?

 

작가와 나의 생각이 참 다르다는 생각을 하며 읽었던 동화였습니다. 그래도, 작가가 의도한 소중한 것에 대해 이야기해보는 것은  좋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외서] [잼보리 영어동화] 서평단 알림
Splash in the ocean : Student Book 1 + Activity Book 1+ Hybrid CD 1(Paperback) - 신개념 하이브리드 영어동화 잼보리(Jamboree)
언어세상 편집부 지음 / 언어세상(외서) / 2008년 5월
평점 :
품절


우리가 학교 다닐 때 배웠던 영어는 참으로 입을 떼기엔 역부족이다라는 것을 언제나 실감하게 된다.

아이들 동화책에 나오는 수많은 의성어와 의태어를 국어시간에 배우는 건 아니므로, "I am tom. Your are a girl."로 시작하는 영어가 실생활의 입떼기와는 거리가 있다.

작년 성탄절 즈음에 아주 예쁜 카페엘 간 적이 있다. 추운 겨울밤, 마당있는 커피숍은 낭만 그 자체였다. 그 앙증맞은 풍경 속에, 나무에 걸린 눈사람 인형.

우리 아이, "Daddy, snowman is on the tree." 라고 말했다나. 남편이 나에게 묻는다. "너, 저 상황을  영작해봐라." 나, 머리 속으로 무쟈게 굴린다. 눈사람이 나무 위에 매달려 있으니까...이러면서 생각하고 있는데, 남편이 나에게 영어는 "쉬운 영어로 쉽게 표현하는게 중요한 거야. 그게 실력이거든." 맞는 말씀. 학교 선생님에게 편지라도 보낼라 치면, 우리 아이가 이만저만해서 아프다는 걸 영어로 어떻게 표현해서 노트에 적어보내나 고민하면, 딸아이는 이렇게 말한다. "Mummy, I'm sick. I'm coughing now." 이렇게 표현하면 될껄 symptom이 어쩌구 이런 어려운 영어만 생각나니...

내가 배운 영어는 이랬다. 어려운 단어는 많이 아는데 실생활엔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 영어.

그걸 구거절절 알기 때문인지 요즘 나오는 영어책은 재미있는 것들이 꽤 많다.

[splash in the ocean]에 나오는 수많은 의성어들. 일단 네이버의 영어 사전엔 없는 단어들이 많다. wobble도 flappy도 (flippy도 자세한 설명은 들어있지 않았다) scritchy도 설명이 없는 단어들이다. 그렇지만, 우리는 문맥 상으로 대충 그게 무엇을 의미하는지 안다. 학교에선 배워보지 못한 단어들. 그러나, 영유아의 놀이로 배우는 영어에는 나와있으니 참으로 달라도 많이 다르다.

영어로 말하기에 별 부담이 없는 우리 딸아이에겐 좀 쉬운 편이나 그래도 꽤 재미있어 했다. 영어를 전혀 모르는 우리 아들은 그림만 재미있게 본다. 이런 책들을 어렸을 때부터 접하면 우리 세대가 느끼는 영어 울렁증은 사라지려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벌레 선생님의 아주 특별한 도서관 1] 서평단 알림
책벌레 선생님의 아주 특별한 도서관 1 - 초등 고학년이 꼭 읽어야 할 40권의 책으로 배우는 책 읽는 방법 아주 특별한 도서관
임성미 글, 곽병철 그림 / 글담어린이 / 2008년 5월
평점 :
절판



사랑하는 딸에게

 

어제는 엄마가 많이 아팠어. 하루종일 누워있었지. 너와 네동생은 잠자는 엄마옆에서 장난감을 갖고 놀기도 하고, 함께 책도 읽고, 동생에게 그림도 그려주더구나.

네가 엄마에게 '우체부 아저씨와 비밀편지'라는 책을 읽어주었어.

늘 엄마가 너에게 책을 읽어주었는데, 어느새 우리딸이 이렇게 커서 아픈 엄마에게 책을 읽어주는구나. 네 목소리가 어찌나 듣기 좋던지....네가 들려주는 이야기를 들으니, 드문드문 모르는 글자가 나오면 물어보기도 하면서 책을 읽어주던 네 모습을 보고 있자니 아픈 몸이 다 낫는 것 같았어.

 

오늘 엄마는 네가 크면 어떤 책들을 골라주어야 할까 생각하게 되었어. 엄마가 읽은 책은 책벌레 선생님이 골라주신 책이야. 어떤 책은 엄마가 아주 오래 전에 읽었고, 어떤 책은 읽어본 적이 없더구나. 너와 같이 읽고 싶어서 동그라미 쳐놓은 책도 있고, 엄마가 먼저 읽어보려고 미리 사 놓은 책도 있어. 

 

이런 책들을 읽고 세상에 대해서 고민하고, 책을 쓴 작가는 왜 이 책을 썼을까 생각해보는 네 모습을 상상해보게 되네. 초등학교 고학년의 네 모습은 어떨까? 지금처럼 사랑스런 모습이겠지?  그때쯤이면 엄마와 네가 읽는 책이 많이 같아지겠지? 그때쯤이면, 너와 책에 대한 이야기도 나누게 되겠지? 상상만으로도 기분 좋다.

 

오늘은 네가 좋아하는 스케치북과 그림물감, 색종이와 붓을 사주었더니 넌 정말 너무너무 행복해하더구나. 너와 동생이 함께 손바닥에 잔뜩 물감을 묻히고는 손도장을 찍고, 데칼코마니도 만들고....엄마의 지금 이순간이 행복한건 너희들이 있기 때문이야.

 

책벌레 선생님이 추천해주신 책은 지금까지 네가 읽던 책들과는 참 달라. 네가 보는 그림책들은 밝고 따뜻한 이야기만 나오는 경우가 대부분이잖니? 네가 좋아하는 공주님들도 많이 나오고... 그렇지만, 세상은 그렇게 아름다운 것만은 아니라는 걸 너도 서서히 알아가게 될거야. 세상은 왕자님과 공주님만 등장하는 동화속이 아니라는 것을....

 

책벌레 선생님은 이렇게 말씀하시네.

초등하교 고학년이라면 재미있는 책만 읽으면 안 되고 자기에게 도움이 되는 책도 읽어야 한다고.

또 자기 자신을 사랑하도록 만드는 책을 읽어야 한다고. 누가 뭐래도 나는 세상에서 하나뿐인 귀한 존재이고, 나만의 개성을 살려 나가겠다는 의지를 심어주는 책을 읽어야 한다고.

그리고, 올바른 가치관을 심어주는 책과 세상일에 관심을 갖게 해주는 책을 읽어야 한다고.

 

어떻게 책을 읽는게 좋을까? 이건 엄마도 기억해두어야겠어.

여러가지 분야를 골고루 읽어야 한대. 천천히 읽으면서 지은이가 무슨 말을 하려는지 귀를 기울여야겠지? 어려운 낱말이 나오면 꼭 사전을 찾아봐.  한 권의 책이라도 꼼꼼히 읽는 습관을 가져야 한다고 책벌레 선생님이 귀뜸해주시네. 사실은 엄마도 잘 지키지 못하는 게 있구나. 지금부터라도 고치도록 노력해볼게.

 

책벌레 선생님이 초등학교 언니오빠들에게 이야기 하는 것처럼 책을 쓰셔서, 엄마도 너에게 말하는 것처럼 써보았어. 엄마처럼 책을 읽고 나서 생각을 정리하는 것도 책읽기의 좋은 방법이야. 엄마는 오늘 이 책 덕분에 너에게 편지를 쓰게 되었네.

 

언제가 너는 엄마가 쓴 독후감들을 읽어보겠지?

아마 엄마가 너에게 쓴 이 글도 보게 되겠지? 사랑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