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딩부자들 - 평범한 그들은 어떻게 빌딩부자가 되었나
성선화 지음 / 다산북스 / 2011년 3월
평점 :
품절


* 야속한 알라디너 평점

 
이 책은 (알라딘 분류 참조하면) 크게 경제경영에 포함되고 세부 분류로는 재테크/투자에 분류됩니다. 저는 경제나 경영은 인문 (철학, 사회과학)의 일부로 생각하기 때문에 즐겨 읽지만 재테크/투자 책은 잘 읽게 되지 않습니다. 이것은 문화적 허영심보다 책을 읽을 때 재미가 없기 때문입니다. 재력이 있어 빌딩을 구입해야 된다면 빌딩 구매에 관한 책이 재미가 있을 것이고 주식 투자를 한다면 주식 투자에 관한 책이 재미가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그런 여건이 허락하지 않으니 재미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그러나 전혀 읽지 않은 것은 아닙니다. 가끔 책을 읽다 보면 특수성에서 보편성을 추출할 수 있는 재미를 느끼기도 합니다. <개인투자가를 위한 주식 @ 살 때와 팔 때>를 읽을 때, 주식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도 있었고 주식을 통해 경제를 보는 안목도 높아졌습니다. <한국의 부자들>이란 책을 읽을 때도 저는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부자들은 무슨 생각으로 사나’라는 호기심을 채워줬으며, 그들의 목표가 비록 돈이지만 열심히 사는 모습을 보여줬고, 일부는 열심히 살다보니 돈이 모이는 경도 있었습니다.

 
거의 모든 성공에 기본이 되는 것들 ; ‘꿈을 가져라.’, ‘발품을 팔아라.’ (이것은 실전 감각이 중요하다는 뜻이다.), ‘인맥이 도움이 된다.’ ‘실패 없는 성공은 없다.’ 등은 다른 무슨 일은 하던 공통적으로 해당하는 것들입니다. 이런 것들에 대해서는 밋밋하게 기술되어 있고, 빌딩이기 때문에 일어나는 독특한 에피소드나 지혜는 보이지 않습니다.

 
정보도 없고, 지혜도 없고, 재미도 없고....

 
아! 정말 이해 못할 것은 알라디너의 평점입니다. (제가 대중적이지 못한 점은 인정하지만. 제가 빌딩을 갖고 있지 않아서 그런가?)
----
 
(틀릴 가능성이 매우 높은) 그냥 제가 갖고 있는 부동산에 대한 평가는 인구 구조의 변화로 대중들이 아파트를 구입해서 부를 축적하던 시대는 갔습니다. 그리고 이미 노후가 불안한 사람들이 경제 변동(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을 대비하면서 동시에 안정적 수익을 위해 수익형 부동산에 투자했습니다. 임대료를 받을 수 있는 상가도 공급과잉입니다.
그 중에도 돈을 벌 수 있는 방법은 있습니다. 저평가된 것을 골라 적정 가격을 파는 것입니다. 그리고 미래를 내다보는 안목을 가지고 행동한다면 큰돈을 벌수가 있습니다.

 알
라디너 여러분, 저에게 저평가된 빌딩, 아파트, 주식 좀 알려주세요. 미래를 내다보는 안목으로 올 가을, 겨울의 국내 및 국제 경제 상황에 대해, 알려 주세요. 선물에도 좀 참여하고 금 매입도 좀 해 보고. 5년 내지 10년 후의 상황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참에 사업가가 되어 볼까 합니다. 물론 예측이 틀렸을 때 보상guarantee하는 방법도 함께 올려 주셔야 합니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립간 2011-04-27 12: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글을 쓰지 말까도 생각봤는데, published bias를 방지하기 위해서.

마녀고양이 2011-04-27 13: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ㅎㅎㅎㅎㅎㅎㅎㅎㅎ, 저 이 책을 신간 코너에서 보고
제목에 잠시 멈칫했답니다. 솔직하게, 정답을 이야기할 듯한 책 중에
구매할 가치가 있는 책이 몇권이나 있을까 싶어서, 공감 추천합니다.

마립간 2011-04-27 15:04   좋아요 0 | URL
오프라인 책가게에 가지 않는 것에 대한 부작용이죠.^^ 사고 싶은 책이 더 있었는데, 이 책에 값을 지불한 것이 아깝습니다.

마립간 2011-05-02 14: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http://blog.aladin.co.kr/726341193/4759483

sayonara 2011-09-07 12: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깝죠. 참 아깝죠. 정말 알라딘의 평점들이 야속하더군요..

마립간 2011-09-08 08:12   좋아요 0 | URL
안녕하세요. sayonara님
알라디너 지인들의 추천이 더 중요성하게 느껴집니다. 그런데 대개의 서평이 좋은 책을 추천하는 글은 많으나, 비판적인 글은 상대적으로 적어 아쉽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빌딩부자들 - 평범한 그들은 어떻게 빌딩부자가 되었나
성선화 지음 / 다산북스 / 2011년 3월
평점 :
품절


괜히 샀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반딧불,, 2011-04-26 20: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오만이 넘어갔군요. 가끔 숫자에 민감해집니다^^
축하드립니다.

마립간 2011-04-27 07:57   좋아요 0 | URL
감사합니다. 예전 같으면 잔치(이벤트)라고 해야 하는데, 지금은 동력(열정)이 조금 떨어져서. 인사를 받으니 숙스럽습니다.
 
최종 이론은 없다 - 거꾸로 보는 현대 물리학
마르셀로 글레이서 지음, 조현욱 옮김 / 까치 / 201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수필로 분류되어야 할 책
- 과학서의 탈을 쓴 문학서

 
이 책의 제목은 매우 도발적입니다. 그 만큼 내용이 궁금했습니다. 글쓴이 개인의 어렸을 때 이야기를 포함하여 물리학이 발전과정을 보여 줍니다. 간략하면서 쉽게 쓰여진 책입니다. 그러던 중 p 167부터 무엇인가 불편한 느낌을 줍니다. (어떤 조짐같은 것을 느꼈습니다.) p 198부터는 글쓴이의 의견의 감정이 본격적으로 표출되는데, 읽다 보니 이것이 과학 서적이야 수필집이야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책을 다 읽고 알라딘 별점을 확인해 보았습니다. (역시 한 개, 두 개)

 
내용의 반론입니다. 글쓴이가 주장하는 바는 ‘최종 이론은 없다’입니다. 최종 이론은 증명된 것이 아닙니다. 없을 수도 있습니다. 현재로서는 정확히 알 수 없는 상태에서 연구 중입니다. 이런 상태에서 새로 제시된 자료 없이 어떻게 과감하게 ‘최종 이론은 없다’고 주장하며 책 제목으로 할 수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글쓴이가 제시한 근거는 비대칭성입니다. 우주의 발생이 비대칭성이 있고, 4개의 힘에 비대칭성이 있고, 생명에 비대칭성이 있습니다. 이런 사실은 최종이론을 연구하는 사람들 (모두?) 알고 있는 사실입니다. 대칭의 아름다움에 집착하고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글쓴이도 마릴린 먼로의 점에 비유했듯이) 대칭이 아름답기도 하고 비대칭이 아릅답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하얀 백지 스케치 북이 있습니다. 여기에 그림이 그려집니다. 백지는 대칭성이 있고 낙서가 된 것 보다 아름답습니다. 그러나 그림이 그려진 것이 더 아름다울 수 있습니다. 오히려 글쓴이가 만물의 이론, 최종이론 등의 명칭에 얽매여 있는 것 같습니다. 만물의 이론은 만물을 설명하는 것이 아니고 최종이론이 밝혀지면 학문이 끝나는 것도 아닙니다. 그럼데 사람의 기대가 크기 때문에 위와 같은 명칭을 붙인 것에 불과합니다.

 
이 같은 최종 진리가 존재한다고 그토록 간절하게 믿어야 할 필요가 있을까?

 
당연히 필요가 없지요. 연구적 열정을 위한 필요를 제외한다면. 글쓴이는 필요와 희망을 혼동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용어에 가설, 어느 정도 증명된 이론, 법칙, 추상적인 진리가 있습니다. 추상적인 진리는 신에 영역에 해당하거나 플라톤의 이데아이거나 글쓴이가 비판하는 전일성에 해당할 것입니다. 그러나 사람의 수준에서는 가설의 영역에 있는 것을 증명된 법칙으로 만들려는 노력을 할 뿐입니다. 목표가 필요할 뿐입니다.

* 새로 정리된 문제들
http://blog.aladin.co.kr/maripkahn/3287045
* 철학의 끝없는 물음 http://blog.aladin.co.kr/maripkahn/2993217

 수학과 과학에는 그릇된 목표로 연구가 시작되었으나 그 과정과 결과물이 과학적으로 남는 경우도 허다합니다. 연금술에서 화학이 발전했고, 점성술에서 천문학이 발전했습니다.

 
주장을 하지 말고 증거를 달라고!

* 밑줄긋기
p 23 일어난다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다. 무한이 스스로 엉켰다. 여기서 삼위일체는 공간, 시간, 물질이다.
p 24 원형우주 prototype universe, 다중우주 multiverse, 메가우주 megaverse ; 몇몇 현대 이론들은 다중우주는 영원하고 그래서 원인없이 존재한다고 설명한다.
p 26 과학이 작동하기 위해서는 틀, 원리와 법칙이라는 골격이 필요하다. 과학은 모든 것을 설명할 수 없다. 왜냐하면 무엇인가로부터 시작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 무엇인가는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이들 법칙은 검증된 범위를 넘어서까지 타당한 것으로 해석되는 경우가 흔하다.
p 99 내가 앞서 썼듯이, 검증될 수 없는 물리 이론 - 혹은 검증 가능성의 영역에서 항상 벗어나 있도록 편리하게 조정될 수 있는 이론 - 은 과학의 정전에 포함되어서는 안 된다.
p 115 빛보다 빨리 움직일 수 없는 것은 없다./물질과 복사는 그럴 수 없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공간은 할 수 있다. 이것을 금지하는 물리 법칙은 없다.
p 263 지금까지로 보아서는 물질의 근본적 비대칭성과 생명의 비대칭성 사이에 아름다운 연관성이 있다는 것이 가장 만족스러운 해답일 듯싶다.
p 292 우리는 신화적인 보물을 찾아야 한다는 의무 없이도 대양을 탐사할 수 있다.
p 300 우리는 물리학의 두 가지 표준모형, 즉 물질의 기본 입자를 다루는 모형과 빅뱅을 다루는 모형이 상당히 큰 숫자(약 30개) 의 자유 상수에 의존하고 있음을 안다. 자유 상수에는 전자와 쿼크의 질량과 전하, 힉스 입자의 질량, 우주내의 암흑물질과 암흑 에너지의 양, 물질과 반물질의 비대칭의 양/자연의 기본 상수 ; 빛의 속도, 중력 상호작용의 값을 정하는 중력상수 그리고 양자 효과의 크기를 정해주는 플랑크 상수 h 등이 그것이다.
* 반론 밑줄 긋기
p 291 정말로 의심스럽다. ; 이 의심에 한편으로 수긍할 수 있으나 이 의심이 뒤에 가면 근거 없이 확신으로 바뀐다.
p 291 즉 우주가 요행의 산물이라면 우리의 목적 관념, 의미 탐구의 방향이 없어지게 된다는 것이다. ; 그렇지 않다. 요행을 증명하면 된다.
p 292 오히려 유일무이한, 최종적인 설명을 찾으려는 우리의 고집이야말로, 진정한 의미 탐구를 지연시키고 있는 범인이라고 생각한다. ; 연금술은 화학을 발전시켰다. 별로 지연시키고 있는 것 같지 않은데, 지연시키는 증거를 대지 않고 있다.
p 297 내가 말하고자 하는 핵심은, 발견되어야 할 진리, 창조뒤에 있는 원대한 계획 같은 것은 없다는 점이다. ; 없다는 것을 주장하지 말고 증명하거나 지지하는 증거를 제시했어야 했다. 증거없이 확신으로 바뀌고 있다.
p 302 이것은 우주에 따라서 각기 다를 수 있다. ; 저자의 주장이 맞다고 하더라도 우리 우주의 자유상수를 구하고 다른 우주에는 왜 다른 자유상수가 존재하는지를 설명할 수 도 있다. 또한 그 복잡도가 극도에 다해 미처 다 설명할 수 없을 수도 있다. 실재로 3체 진자는 존재하지만 3체 진자를 설명하는 방정식은 없다. 마찬가지로 최종 이론은 없거나 있어도 한 참 후에나 발견될 가능성도 높다.
p 304 우주가 생명에 꼭 맞다. ; 우주의 최종이론과 생명 현상에 대한 것을 혼동하고 있다.

cf ; 교회에서 목사님이 무신론적 과학자를 비판하는 방식은 과학자가 종교를 비판하는 방식과 거의 동일하다.
저를 포함하여 수학과 과학을 좋아하는 사람, 대부분은 피타고라스와 플라톤의 주종자이다. 그것이 옳건 그르건 간에.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립간 2011-04-13 13: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책이 문학에 분류되었더라면 별2개
역주는 굉장히 마음에 든다.
 
한 권으로 읽는 도교 - 도교의 역사에서 배우는 개인의 행복한 삶 한 권으로 읽는 유불도 1
장언푸 지음, 김영진 옮김 / 산책자 / 2008년 3월
평점 :
절판


* 도교와의 인연
- 때 늦은 독서

 
도교에 대한 호감은 너무 오래되고 시나브로 시작되어 처음 좋아하게 된 때의 기억조차 없습니다. 초등학교 저학년 때 TV에서 불교영화 (주인공이 목련이고 인터넷 검색을 해 보니 <목련 존자>가 거의 확실한데, 한국영화인지 조차 모르겠다.)를 해 주었는데, 저는 주인공 보다 잠깐 조역으로 나오는 젊은 청년 모습을 한 바위에 갇힌 산신령 (이름에 정 뭐라고 했다.)이 더 마음에 들어 했습니다.

 
제가 왜 도교를 좋아하게 설명하기는 간단하지 않으나 몇 가지로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우선 동양권 문화가 도교 문화의 영향 아래 있습니다. 불교의 문화의 상당 부분은 도교와 겹칩니다. 중국의 불교가 정착하는데 있어, 이미 토속신앙으로 자리 잡은 도교와 공통점이 많아 쉽게 정착했다고 합니다. 저도 책을 읽다보면 어떤 것은 이것이 도교에서 유래한 것인지 불교에서 유래한 것인지 혼동될 때가 있습니다. 단편적으로 신라 시대의 골품제도에서 성골, 진골의 어원은 도교의 성인과 진인에서 유래했다고 합니다.

 
또 다른 이유는 자연自然( 이때의 자연은 자연 환경의 자연, 도올 김영옥의 표현으로는 그린벨트의 자연)인데, 도피적 성향도 있지만 목가적인 분위기, 안빈낙도의 매력입니다. 영화에서 보면 도교 계통의 사람은 흰색이나 회색 복장을 하고 시골에서 살고 있습니다. 도교 회화에서도 산천의 배경은 기본입니다.

 
가장 큰 이유는 철학적 의미의 자연自然( 이때의 자연은 스스로 그러하다. 무위자연의 자연)입니다. 저의 가치관 중에 하나가 ‘하지 않은 것은 하지 못할 이유가 있다.’입니다. 또 다른 말로 표현하면 ‘때론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입니다.

 
기억나는 영화대사 ;
http://blog.aladin.co.kr/maripkahn/4331965

 그 이유를 찾는다는 것이 플라톤적 사고이나 그 이유에 의해 설명되지 않는 것조차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는 것입니다. 그 이유가 이유 없음일지라도.

 
이 자연은 무욕無慾과도 연결되는데, 저는 무욕이 너무 좋은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과욕의 끝이 대부분 좋지 않는다는 교육의 결과도 연관이 있었을 것입니다.

 
도교에 관해 철학적 이해 없이 (지금이라고 해서 철학적 이해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문화적 관점에서 볼 때, 도교를 노자와 장자로 대표된다고 생각했었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조금 생각이 바뀌었습니다. 노자는 플라톤과 공통점이 있고, 장자는 아리스토텔레스와 공통점이 있는 것 같고, 황로사상( 이 책을 읽은 후로는 노장 사상을 황로사상으로 바꿔 부르기로 했다.)은 또 다른 별개로 여겨집니다. 황로사상은 디오게네스와 공통점을 갖는다고 생각합니다.

 
너무 친숙해서 그런가? ‘도교’라고 명시된 제목의 책을 읽은 기억이 없네요. 이 책은 읽게 된 직접적인 계기는 <사조영웅전>, <신조협려>에서 전진교의 왕중양, 구처기 등의 인물과 활인사묘등이 도교와 관련된 것들이라 체계적인 것을 알고자 했습니다.

 
이 책을 통해 새로 알게 된 사실은 중국에서는 역사, 사회 전반에 걸쳐 우리나라와 비교되지 않을 정도 컸다는 것입니다. 도교의 인물과 용어가 역사적으로 어디에 위치하는지도 알게 되었고 삽화도 꽤 마음에 들었습니다. 궁금한 것은 이 책에 언급된 수많은 도교 서적들의 이 이름만 남은 것인지, 아니면 실존하는 것인지와 그 책들의 내용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신선술에서 과학적인 면은 어느 정도 있는지 (아니면 전혀 없는지), 현대의 초자연 현상(투시, 염력, 텔레파시)와 어느 정도 공통점이 있는지 등 여러 가지가 떠오릅니다. 간략한 도교에 대한 정보는 얻었으나 보다 전문적인 강의를 듣고 싶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자꾸자꾸 초인종이 울리네 I LOVE 그림책
팻 허친스 지음, 신형건 옮김 / 보물창고 / 200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나눗셈 및 진법

 
요약한 줄거리입니다. 어머니가 쿠키를 만들면서 이야기가 시작합니다. 2명의 아이가 쿠키 6개씩 먹을 수 있습니다. 2명이 아이가 방문하면서 4명에게 3개씩 할당됩니다. 2명의 아이가 더 참여합니다. 1인에게 2개씩 할당됩니다. 6명의 아이가 더 참여하게 됩니다. 1인당 1개의 쿠키가 할당됩니다. 마지막에 할머니가 방문하면서 많은 쿠키를 가져옵니다.

* 나눗셈
 
처음에 떠오르는 생각은 초등학교 시절에 나눗셈에 대해 추억입니다. 덧셈, 뺄셈, 곱셈은 마음에 부담감이 없었는데, 나눗셈은 나머지가 남는 계산이 있어 이유 모를 찜찜함이 남아 있었습니다. 선생님께서는 곱셈은 덧셈의 반복에서 유래했고, 나눗셈은 뺄셈에서 유래했다고 설명하셨는데, 수업을 들으면서 나머지가 있는 나눗셈은 나눗셈이라고 볼 수 없기 때문에 곱셈의 역산으로 생각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선생님 설명 마무리에 아이들의 이해를 확인하기 위해 “나눗셈의 유래는?”하고 물으셨는데, 제가 “곱셈의 역산이요.”라고 대답했었습니다. (그 때에, 저는 선생님으로 부터 욕을 바가지로 먹었지요.)

* 진법
 
왜 사람들은 10진법을 택했나? 10을 신神의 숫자로고도 이야기하지만 10진법을 택한 가장 합리적인 이유는 손가락이 10개이기 때문입니다. 아마 외계에 한 팔과 7손가락을 갖은 지적 생물이 살고 있다면 7진법을 사용하고 있을 것입니다. 일상 생활에서 약수가 많은 것이 유용할 때가 많은데, 12진법을 상용했으면 더 편리했을 것입니다. 바빌로니아에서는 60진법을 기본으로 사용했지요. 현재도 12 (또는 60)진법의 사용한 것이 있는데, 각도나 시간에 관해서는 12 (또는 60) 진법을 택하고 있습니다.

 
저는 진법에 관해 얼마의 이해를 하였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갑자기 생각이 뒤엉킨 일이 있었습니다.

 
예들 들어 십진법 수 321(10)가 있을 때, 7진법으로 바꾸려면 7로 나눠 45, 나머지 6, 45를 다시 나무면 6과 나머지 3. 6은 7로 나눠지지 않으니 636(7)이 됩니다. 다시 숫자를 (역산의 통해) 10진법으로 바꾸려니 계산이 잘 되지 않았습니다. (다시 해보니 아직도 어색하다.) 그래서 결국 6*7**2 + 3*7 + 6으로 계산했습니다. 다시 의문이 발생했습니다. 7진법 숫자를 10진법을 거지치 않고 5진법으로 바로 갈 수 없을까? (잘 안 되었습니다.) 잘 안 된다면 어떤 훈련이 안 되었기 때문일까?
 
여러분도 한번 321(7)을 10진법을 거치지 않고 5진법으로 바꿔보세요.

* 카오스
 
마지막으로 이야기의 끝에는 할머니가 쿠키를 많이 갖고 오십니다. 여태까지의 나눗셈의 이야기가 무의미한 것으로 끝납니다. 아이가 쿠키를 한 개씩 밖에 먹지 못한 것에 대한 동정적 의미로 할머니를 등장시켰을까요? 아니면 카오스적 변화를 염두해 두고 글을 썼을까요?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조선인 2011-04-11 13: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딸에게 나눗셈이란 분배의 문제라고 설명했고, 이 책은 저의 설명과 잘 부합됩니다. 만약 인구가 급증해서 분배할 모수가 작은 게 문제라면 생산량을 늘려야 하는 거지요.

마립간 2011-04-12 09:47   좋아요 0 | URL
위 동화에 관한 사회과학적 해석을 하셨네요. 저는 사람을 중심으로 고려할 때 카오스적 상황은 대개 부정적인 사건으로 인식되고 sond 법칙보다는 sein 법칙에 관해 관심이 많아 그쪽으로 해석을 하려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