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시의 논란에 부쳐.....

 

 

 

 

 

고등학생 때 국어 문제집을 풀다가 만난 시다. 시의 제목이 예사롭지 않다. 「토란잎에 궁그는 물방울 같이는」. ‘궁그는’은 ‘구르다’의 전라도 방언이다. 시인은 물방울이 토란잎에 동그랗게 구르는 장면을 귀엽게 표현했다. 그런데 내가 본 그 문장은 시가 아니었다. 객관식 문제의 예시 문항이었다. 네모난 울타리 안에 갇혀 있는 신세였다. 문제의 답을 찾느라 시에 감흥이 느껴지지 않았다. 문제집을 덮는 순간, 문장은 영원히 탈출하지 못한다. 나는 문제집에 갇힌 문장을 구출했다. 생기 잃은 문장을 공책 칸에 옮겼다. 그러니까, 그때였다. 시가 날 찾아온 것은.1)

 

 

 

 

 

투명한 지하철 스크린도어 벽 속에 갇혀 있는 시다. 이 시의 제목도 예사롭지 않다. 「목련꽃 브라자」. 그런데 어떤 사람들이 「목련꽃 브라자」는 시가 아니라고 한다. 심지어 이 시를 얼른 빼라고 화를 낸다. 여성 속옷을 지칭한 ‘브라자’와 사춘기 소녀의 가슴을 비유한 ‘목련꽃’이라는 표현이 문제였다. 시를 불편하게 느끼는 사람들은 ‘브라자’와 ‘목련꽃’이 들어간 구절이 민망하다는 반응을 보인다. 이 두 단어 때문에 감흥이 완전히 느껴지지 않는다. 그렇게 시는 점점 생기를 잃었다. 문자라는 육신만이 쓸쓸하게 남은 송장이 된다.

 

앞의 시는 무기력한 감성을 소생하는 시로 부활했다. 반면 뒤에 소개된 시는 사람들의 날카로운 시선 속에서 쓸쓸히 죽어간다. 서로 정반대의 운명에 처한 두 편의 시를 만든 사람이 누굴까. 사실 두 편 모두 한 사람이 썼다. 시인의 이름은 복효근이다. 복효근 시인은 1991년에 정식으로 등단했다. 그가 쓴 세 편의 시는 중고등학생 국어 교과서에 수록되었다. 사람들은 시인의 이름을 모르지만, 학창 시절을 겪었다면 한 번쯤 그의 시를 만나봤다.

 

솔직하게 말하자면, 처음에 「목련꽃 브라자」 선정성 논란 소식을 접했을 때 「목련꽃 브라자」가 아마추어 시인이 쓴 글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다가 오늘 이웃의 글을 보다가 「목련꽃 브라자」 원작자를 확인했다. 시를 많이 읽지 않은 나 자신이 무척 부끄러웠다. 스크린도어에 적힌 「목련꽃 브라자」의 원작자 실명이 공개되지 않았다면, 나는 「목련꽃 브라자」를 수준 미달의 시라고 끝까지 믿었을 것이다.

 

「목련꽃 브라자」가 정말 수준이 떨어진 시인지 직접 판단하지 않겠다. 다만, 이 시 하나만 가지고 시인의 창작 능력을 폄하하는 상황이 씁쓸하다. 시인이 오래 살아서 죽을 때까지 펜을 놓지 않으면 100편이 넘는 수의 시를 남긴다. 만약에 스무 살 때부터 시를 쓰기 시작해서 여든 살에 죽을 때까지 딱 천 편의 시를 남겼다고 가정하자. 사람들은 다작한 시인의 왕성한 작품 활동을 칭찬한다. 그렇지만 천 편의 시 모두 결점 없이 완벽한 예술성을 갖춘 작품이 될 수 없다. 사람들이 즐겨 읽는 애송시로 등극하면 그건 시인의 대표작이 된다. 그러나 그 이외에 다른 시는 대표작에 2% 부족한 그저 그런 작품으로 남게 된다. 대체로 작가들은 자신의 작품을 보는 눈이 정확하다. 작가들은 오랜 시간 투자해서 열심히 썼던 글에 미흡한 점이 발견되면 혹독하게 평가한다.

 

소설을 쓰든 시를 쓰든 죽을 때까지 글을 쓰는 사람들은 독자들이 실망하는 실패작을 남긴다. 작가도 사람인지라 무조건 좋은 작품만 쓰는 일이 불가능하다. 「목련꽃 브라자」는 모든 독자에게 공감을 주지 못한 실패작 중의 하나일 뿐이다. 그러나 시를 긍정적으로 평가한 소수의 독자를 무조건 비난하는 것은 옳지 않다. 시 한 편에 모두 달려들어서 설왕설래해봤자 결론을 내리지 못한다. 이번 기회에 싸움을 멈추고 다른 시인의 작품을 읽어보는 게 어떨까. 그래야 시인의 진가뿐만 아니라 시 읽기의 매력을 제대로 확인할 수 있다. 시는 시집으로 읽어야 제맛이다.

 

 

 

주 1) 파블로 네루다의 「시」가 시작되는 문장을 변주했음. 원본은 ‘그러니까 그 나이였다. 시가 날 찾아온 것은.’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6-04-20 16:52   URL
비밀 댓글입니다.

cyrus 2016-04-20 20:42   좋아요 1 | URL
언론은 사소한 일을 괜히 크게 부풀려서 자극적인 뉴스로 만들려고 해요. 사실 작년에도 지하철 스크린도어에 있는 시에 대한 시민들의 부정적인 반응을 소개한 뉴스를 본 적이 있어요. 유명 시인이 쓴 시의 이름을 공개하지 않고 스크린도어에 소개했으면 시민들이 어떤 반응을 할지 궁금해요. 분명 시가 잘 썼는지 못 썼는지 따졌을 겁니다.

syo 2016-04-20 17:2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재밌네요.

에, 사람마다 독법도 느낀바도 다를테니 어떤 이의 평만 절대적으로 옳다고 할 수는 없겠지만, 구조적으로 이런 건 좀 있다고 봐요.

부족한 제 눈에는 저 목련꽃 브라자에 나오는 ˝우리 선혜˝가 화자의 딸로 보이는데요,
풋풋하지만 한 명의 여성으로 잘 자라고 있는 딸을 보는 대견함을, 그러니까 뭐 공부를 잘 하거나 착한 일을 해서가 아니라 그냥 어엿한 여성으로 자라나고 있다는 것만으로 충분히 아름답고 대견한 딸을 그리는 시라고 읽었거든요.

근데 많은 사람들 눈에 그냥 사춘기 여성을 보는 어떤 중년 남성의 성적 시선만이 포착되는 것에는 일종의 사회적, 성적 편견이 작동한 부분도 있다고 봐요.

완전히 적절한 예는 아닐지 모르겠지만, 만약 완전히 같은 제재로 화자가 할머니고 대상이 사춘기 남자 아이가 된다면 -우리한테 다소 익숙한 `내 새끼 고추 잘 익었나 보자` 라는 식이랄까요?- 여하튼 그런 구도로 시가 나왔더라도 지금 저 시를 반대하는 사람 전부가 그대로 반대를 했을까요?

cyrus 2016-04-20 20:54   좋아요 0 | URL
syo님이 논란의 원인을 아주 정확하게 설명해주셨군요. syo님 말씀에 동의합니다. syo님이 사례로 든 할머니의 농담은 예전에는 웃고 넘어가면 그만이었지만, 이제는 그렇지 못하죠. 복효근 시인의 시도 가벼운 유머를 염두에 두면서 썼는데, 반대로 사람들은 불편하게 느꼈던 것 같습니다. 만일 시에 ‘내 새끼 고추 잘 익었나 보자’라는 구절이 들어있었으면 부정적으로 보는 사람들이 있었을 겁니다. 요즘 성 범죄, 성추행, 성희롱 사건 빈도가 높아지니까 성을 주제로 한 대화나 언어적 표현을 쉽게 하지 못해요. 사람들은 여전히 시는 밝고 순화된 언어로 이루어진 글이라고 생각해요. 그래서 복효근 시인의 표현이 낯설었을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