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책을 읽을 때 그 책에 맞는 (내 나름의) 기준에 따라 그 책을 읽을 시간과 장소, 집중도를 정해놓고 ‘ㅇㅇ 독서‘라 부르며 책을 읽곤한다. ‘프로젝트 독서‘는 그 해의 주제에 따라 고른 책을 집에서 노트를 작성해가며 읽는것이고, ‘태풍독서‘ 는 태풍이 온 날 미스터리를 읽는 것을 말한다. 그밖에도 ‘침대독서‘ ‘카페독서‘등이 있는데, 그중 하나가 ‘반납독서‘이다.

이름에서 예상 할 수 있듯 ‘반납독서‘는 도서관에서 빌려온 책을 읽을 때 사용하는데 몇가지 조건이 더 있다. 그 조건은 다음과 같다.
1. 책이 마음에 들어 끝까지 읽곤 싶지만 사고싶진 않다.
2. 반납일이 5일 이하로 남음
3. 남은 페이지가 200페이지 정도 (책의 판형이나 글자 크기에 따라 다름)
‘반납독서‘는 이런 경우에 발동되는 시스템으로 다른 모든 ‘ㅇㅇ독서‘를 일시중단하고 나의 여유시간을 전부 ‘반납독서‘에 투자하게 된다.

˝아인슈타인의 주사위와 슈뢰딩거의 고양이˝가 그렇게 월요일부터 ‘반납독서‘ 시스템으로 읽은 책이다. 꽤 집중해서 읽었다곤 하나 삼 일만에 다 읽을 수 있으리라곤 기대하지 않았는데 책이 재미있었던 덕분이다.
물론 이론물리학 용어와 개념이 사정없이 공격해온 초반엔 가파르고 메마른 벼랑을 오르듯 힘겨운 독서였지만, 중반부부터는 흥미로운 일화들이 등장하여 그야말로 절벽에서 뛰어내린 행글라이더 처럼 책장을 넘나들며 휠훨 날 수 있었다. 때때로 역풍이 불기도 했지만(클라인의 5차원이니 원거리평행이니 세미벡터니) 어차피 이해못할 것을 알기에 적당히 이해한척 넘어가니 너무나 편안한 독서가 되었다.

예전에 책을 읽을땐 고집스럽게 한 글자 한 글자를 꼼꼼히 읽곤했지만 지금은 ‘프로젝트 독서‘를 할 때를 빼곤 안 읽히는 부분은 넘겨가며 술술 읽는 편이다. 어차피 꼼꼼하게 읽어도 기억하는 것은 거의 없다는 것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항상 엉뚱한 부분만 기억에 남는다는 것도)

이제 ‘반납독서‘를 끝냈으니 ‘오후독서‘로 읽던 ˝호모 데우스˝로 넘어가야겠다. 참고로 ‘오후독서‘는 직장에서 오후 근무 시간에 짬이 나면 하는 독서이다.
그렇다 내가 바로 그 유명한 월급도둑이다.

모두 자신만의 ‘ㅇㅇ독서‘를 즐기시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N포털 사이트에서 송인서적 부도로 힘들어하는 작은 출판사를 돕는 기부 펀딩을 발견하여 자세히 살펴보았다.
 기부를 하면 금액에 맞춰 신청한 옵션에 따라 책을 보내주는데, 5만원권 ‘유유출판사 set‘를 보고 며칠 고민하다가 결국 나도 펀딩에 참가했다. 알라딘에서 할인받아 사는 것 보다 아주 조금 비싸긴 하지만 현금이 부족하여 힘들어 할 작은 출판사들을 생각하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펀딩 목표금액을 달성하면 3월 13일에 책을 보내주는데 이미 목표금액은 482%로 초과 달성하여 총 24,101,000 원이 모였다. 책을 좋아하는 사람들끼리 으쌰으쌰 힘을 모아 책의 문화를 지키려는 모습이 참 좋다.
 서평 쓰는 법을 읽고 좋은 서평을 많이 써서 책의 문화를 사랑하는 동지들을 늘릴 수 있게 나도 노력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2016년 12월 21일에 읽기 시작한 ‘도킨스 자서전 1‘을 오늘 오후에 다 읽었다. 만족스러운 독서였다. 바로 ‘자서전 2‘를 집어들고 읽기 시작했는데, 1 권 보다는 집중해서 읽기 힘들었다.

2. 아침에 일찍 일어난 덕분에 잠깐 짬이나서 언니에게 선물로 뜯어낸 s&m 시리즈 1권 ‘모든 것이 f가 된다‘의 앞부분을 조금 읽었다. 이미 오래전에 읽은 책인지라 몇몇 장면은 기억이 나지만 다행이 트릭이나 결말은 전혀 기억나지 않는다. 오랜만에 읽은 추리소설이라 훅 빠져들어 지각할 뻔.

3. 퇴근 후에는 캠벨 생명과학 공부. 오늘은 14장 ‘멘델과 유전자 개념‘ 부분을 시작했다. 내가 가진 건 9판이라 최신버전인 10판과는 장 구성이 좀 다르다. 고등학교 때 생물 수업을 떠올리면 지루할줄 알았는데 의외로 재미있었다. 역시 공부는 관심을 가지면 세상 무엇보다 재미있다.

4. 캠벨 공부를 마치고 잠깐 짬이나서 ‘바이털 퀘스천‘을 좀 읽다가 생명의 에너지 사용의 제한에 대해 중요한 논점이 나와서 맑은 머리로 읽기 위해 중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게놈 익스프레스 <조진호, 위즈덤하우스>
- 도서관 대출, 읽다 맒

2. 김상욱의 과학공부 <김상욱, 동아시아>
- 도서관 대출, 읽음

3. 자연의 발명 <안드레이 울프, 생각의 힘>
- 흥미있음. 살펴볼 것

4. 중력파, 아인슈타인의 마지막 선물 <오정근, 동아시아>
- 흥미는 있으나 이해 할 수 있을지 자신없음. 나중에 물리학에 조예가 깊어지면 살펴볼 것.

5. 불멸의 원자 <이강영, 사이언스북스>
-흥미있음.

6. 인공지능 <스튜어트 러셀·피터노빅, 제이펍>
-관심없는 분야.

7. 홍성욱의 STS, 과학을 경청하다 <홍성욱, 동아시아>
- 생소한 과학사회학분야 책이라 흥미는 있으나 애매함.

8. 지구의 속삭임 <칼세이건, 사이언스북스>
-서점에서 대충 훑어 봄. 취향 아님.

9. 사소한 것들의 과학 <마크 미오도닉, MID>
-네이버에서 출간 전 연재로 몇 편 읽음, 취향 아님.

10. 틀리지 않는 법 <조넌 엘렌버그, 열린책들>
- 전자책 구입, 읽는 중


댓글(2)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6-12-28 19:1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는 과학도서들 중에 딱 한 권만 읽었습니다. 1번 책은 저도 읽다가 말았어요... ㅎㅎㅎ

연말 잘 보내시고,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유도링 2016-12-28 23:12   좋아요 0 | URL
저도 한 권만 읽었어요. ㅎㅎ 이런 도서선정은 어찌보면 그들만의 리그 같기도 한데, 생각지도 못했던 책을 알 수 있는 기회도 돼서 참고삼아 보곤 해요. cyrus님도 남은 한 해 잘 마무리하시고,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최근 계속 피곤한 상태여서 늦잠을 잤다. 기상시간은 아침 9시. 푹 잔 덕분에 피곤이 좀 풀렸다. 아침을 먹고 ‘캠벨 생명과학‘을 공부했다. 제 12장 세포주기 복습.

오늘은 체력 회복을 위해 홈트레이닝은 생략, 강변으로 산책을 간다. 바람에 흔들리는 갈대밭을 보며 도킨스 자서전에 나온 ‘오만과 편견 풍‘ 도킨스 부모님의 만남에 대해서 생각하며 ‘오만과 편견‘을 사고싶은데 어떤 출판사 것이 좋을지 고민했다.

강변을 한바퀴 돈 후 번화가에 들러 연두색과 초록색 색연필을 사고 집으로 돌아와 소금 버터빵을 먹었다. 손에 묻은 버터향기가 좋아 코를 킁킁거린다.

이제부터 뭘 할까. 일요일 오후 3시는 무얼하든 아쉬운 시간이다. 이제 곧 일요일이 끝난다. 그러고보면 크리스마스다.

오전에 세포분열을 공부할 때 세포핵과 인의 관계가 궁금해졌기에 ‘원자 인간을 완성하다‘에서 <8장 지구 성장의 한계를 가늠하는, 인>을 읽기로 결정.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