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뜻도 모르고 자주 쓰는 우리말 사전]에서는
“자동차 운전대 앞에 달려 뒤쪽을 보는 데 쓰는 거울”,
곧 백미러가 일본에서 만들어진 엉터리 영어인 만큼
뒷거울, 반사거울로 바꿔 쓰자고 한다.

그런데 뒷거울이라 하면 “뒤에 있는 거울”을 연상하게 되지 않을까?
뒤를 보는 거울일 뿐, 사실 거울이 있는 곳은 앞인데 말이다.
사실 모든 거울은 그 거울을 보는 사람의
앞모습과 함께 그 사람의 뒤에 있는 것들을 비춰 보인다. 

반사거울이라는 말도 그런데, 거울이란 게 원래 어떤 형상을 “반사”해서
보여주는 것이다. 반사하지 않는 거울이 어디 있을까?

차라리 그냥 거울, 앞거울이라고 하는 편이 낫지 않을까?


댓글(7)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urblue 2005-11-10 13: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요즘 사람들은 백미러라는 말 잘 안 쓰던데요. 저도 룸미러라고 합니다만.

숨은아이 2005-11-10 13: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블루님/호오, 그렇군요.

stella.K 2005-11-10 13: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책 읽으면 재미있을텐데...^^

숨은아이 2005-11-10 14: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스텔라님, 재밌습니다. ^^

물만두 2005-11-10 14: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음...

릴케 현상 2005-11-10 15: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룸미러는 무슨 뜻이죠?

숨은아이 2005-11-10 18: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만두 언니/그렇다구요. ^^
산책님/room mirror이니, 아마 실내(차 안)에서 보는 거울이란 뜻이 아닐까요.
 

뗑깡이 일본말인 줄은 알았지만, ‘낑깡’이 그렇듯 그 어감이 귀엽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사실 나는 ‘산도’라는 과자 이름도 좋아하는데,
‘샌드’라는 영어 발음보다 뭔가 좀 오묘하고 독특한 맛이 난다.
감안하다’는 말도 고려하다, 참작하다로 바꿔 쓰라고 하지만,
감안하다는 말의 동글동글한 느낌이 나름대로 좋다.
납득하다’는 말도 이해하다로 바꿔 쓰라고 하는데,
납득했다고 하면 비로소 상대방의 말을 알아들었다는 뜻 같고,
이해했다고 하면 제대로 잘 알았다는 뜻 같아서 어감이 좀 다르다.
보편적으로 그렇다는 게 아니라 그냥 내 느낌이 그렇다.

그런데 아무튼 [뜻도 모르고 자주 쓰는 우리말 사전]을 보고
‘뗑깡’이 전간(癲癎)의 일본어 발음임을 알았다.
전간은 간질을 뜻한다.
그러니까 “왜 이렇게 뗑깡을 부려?”라고 하면 “왜 이리 지랄이야!”란 뜻이 된다.
으음... 쓰지 말아야겠다. -.-


댓글(19)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물만두 2005-11-09 11: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 말 안쓴지는 오래되었다네... 다른 말은 그래도 뗑깡은 쓰면 안되지...

panda78 2005-11-09 11: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엇. 뗑깡이 그런 뜻이었군요. 안 써야지.. ^^;;

panda78 2005-11-09 11: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참, 말씀드린다는 게.. ^^;
숨은아이님, 제가 빌린 날개님 만화책도 보실 생각 있으심 같이 부칠까요?
날개님은 괜찮다 하셨던 거 같고..
뭐뭐 있냐면요, 반혼사 전 7권. 천사가 아니야 애장판 전 4권, 고교 데뷔 1-3권. 스테이 1,2권 요렇게 있답니다. ^^

라주미힌 2005-11-09 12: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식민지 시대에 썼던, 또는 그 때 들어온 단어들일지라도 이 땅에 쓰여지고 있다면 우리말 아닌가요? 순수 한글이 과연 얼마나 될 것이며 순수성의 정도를 어디까지 봐야 할 것인지 좀 의문이 듭니다. '영어의 탄생'을 읽어보니 영어는 침략국들의 언어 집합체더군요.

일본에 대한 민족정서가 일본에서 건너온 말들에 대한 반감으로 작용되는 것이 아닌가.. 그리고 우리가 청산하지 못했던 정치적 문제를 언어에 과도하게 적용시키려고 하는 것이 아닌지. 납득을 대신할 수 있는 단어가 이해, 참작이라 하지만, 이해 납득 또한 중국에서 건너온 말이 아닌지...

숨은아이님은 어떻게 생각하세요?

아영엄마 2005-11-09 12: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뗑깡 말고 '떼(억지) 쓴다(부린다)'라는 말을 쓰면 되지 않을까 싶은데요. ^^

숨은아이 2005-11-09 12: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만두 언니/그 뜻이 "지랄"이라는 걸 알고 나서야 어디 쓰겠어요. ^^
판다님/날개님이 괜찮다고 하셨다면야 저는 좋지요. 오호호호.
라주미힌님/네, 말이란 흐르고 섞이고 바뀌면서 풍성해지는 것이지요. 그런데 한국어가 일본어의 식민지로 되었다가, 또 영어의 식민지 비슷하게 되면서 무슨 문제가 생겼느냐면, 언어가 풍성해지지 않고 도리어 단순화 축소화하는 경향을 띤다는 거예요. 이를테면 "뗑깡"만 해도 상황에 따라 떼, 억지, 투정, 행패 등등 다양하게 쓸 수 있는데, 그다지 뜻도 좋지 않은 "뗑깡"이란 말 때문에 우리 어휘의 폭이 좁아지잖아요. 전 외국어가 들어와서 선택의 폭이 넓어지는 건 자연스럽고 좋은 일이라고 생각해요. 그래서 감안하다, 납득하다란 말도 좋아하지요. 참작하다, 이해하다와는 좀 다른 미묘한 어감을 살릴 수 있으니까요. 그러나 감안하다, 납득하다가 참작하다, 이해하다를 완전히 대체하는 방향으로 나아간다면, 전 반대할 거예요. 그 낱말이 다른 낱말을 죽이는 셈이 되니까요.
아영엄마님/넹, 그렇습니다. ^^

숨은아이 2005-11-09 12: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참, 라주미힌님, 한 가지 덧붙이자면, 외국어를 들여올 때 저는 일단 우리말로 고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이를테면 다꽝이 일본에서 들여온 음식이니 그냥 다꽝이라고 해도 되겠지만 그걸 누군가 "단무지"로 바꿨잖아요? 우리말의 요소를 창의적으로 활용해서, 우리말 어휘를 넓힌 것이지요. 가라오케를 노래방으로 바꾼 것도 그렇구요. 요즘 외국에서 생긴 용어를 그냥 외국어 그대로 들여오는 경우가 많은데, 그 개념에 딱 맞는 우리말이 없어서라고 하지만 그건 우리말의 활용 가능성을 미리 포기하는 거예요. 사실 사회, 문화 같은 말도 전엔 없던 한자어인데, society, culture 같은 개념을 어떻게 표현할까 19세기 일본 지식인들이 머리를 싸맨 끝에 번역해낸 거잖아요. 만약 이들이 한자의 활용 가능성을 미리 포기했다면, 지금 우리는 지역 사회를 지역 소사이어티, 전통 문화를 전통 컬처라고 쓰게 되었을지도 모릅니다.

2005-11-09 12:54   URL
비밀 댓글입니다.

라주미힌 2005-11-09 13: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두번째는 동의합니다.. ^^

언어가 축소되고 단순화 된다는 요인을 저는 다른데서 찾고싶습니다.
'뗑깡'같은 다른 어떤 언어가 들어와서 그렇게 된 것이 아니라, 대중매체의 영향력, 정보 네트워크의 대중성 때문에 그런 것 같다고 생각되는데요.
가령 요즘 얘들이 인터넷에서 쓰는 용어들의 전파속도를 보면 지역성은 찾아 볼 수 없습니다. 표준어가 사투리를 잠식하는 것을 봐도 이것은 외국어 때문만의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문화 전반적으로 획일화, 통합화가 기술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고 생각해요.

그에 대한 반발작용으로 끼리문화, 집단간의 차별성을 내세우기도 하지만, 역시 유행이나 다른 것들을 모방하는 수준이라고 봐요. 저는 그래서 두번째 댓글, 창조적 수용에 동감합니당.. ㅎㅎ

숨은아이 2005-11-09 15: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라주미힌님/TV나 인터넷 같은 대중매체의 영향력이 크다는 데 동의합니다. 그리고 도시에서 많은 사람들이 일률적인 생활을 하게 된 탓도 있고요. 한정된 공간에서 한정된 매체를 주로 보니까, 쓰이는 언어가 한정되지요. 그런데 식민지 경험의 영향도 크다고 저는 생각하는 것입니다. 일본어와 일본어로 번역된 영어가 널리 쓰이면서 많은 말을 잃어버렸거든요. 참 아름다운 말들을.
행복나침반님/음, 제가 감안하다는 말을 좋아하긴 하지만, 일본식 한자어를 쓰면 그 뜻이 명확하지 않고 공연히 어려운 말이 되는 경우가 있어요. 이를테면 "대합실" 같은. 일본식 한자어인 대합실이란 말만 들으면 뭐 하는 곳인지 모르겠는데, "대기실"이라고 바꿔 쓰면 아, 기다리는 곳이구나 하고 한눈에 이해되잖아요.

숨은아이 2005-11-09 16: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참 속삭이신 님, 네, 알겠습니다. 하라 히데노리 만화들과 우리들이 돌아가야 할 곳 000은 로**비님께 보내면 되죠? ^^

글샘 2005-11-10 09: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렇게 우리 생활에 들어온 일본어가 아직 조금 남아있지만, 그래도 많이 사라졌죠. 너무 순화에만 힘을 쏟을 게 아니라, 우리말의 힘을 제대로 쓸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우리 것만 아름다운 건 아니고, 잡종도 아름답고 혼혈도 아름답고, 남도 나와 꼭같이 아름답단 생각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말에 대해서 너무 순결주의를 따지는 건 정신건강에 이롭지 않다고 생각해요.

숨은아이 2005-11-10 12: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글샘님, 귀한 말씀 고맙습니다. 제가 순결주의를 고집하는 건 아니라는 거, 다 아시죠?

숨은아이 2005-11-10 13: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따우님 고마워용.

stella.K 2005-11-10 13: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하! 그렇군요.^^

숨은아이 2005-11-10 14: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 요즘 [뜻도 모르고 자주 쓰는 우리말 사전]의 일본어에서 온 말 부분을 읽고 있어서, 올리는 페이퍼 내용이 주로 이러네요.

stella.K 2005-11-10 16: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좋습니다. 많이 올려주셔요.^^

난티나무 2005-11-10 17: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요새 많이 쓰는 말이 바로 '뗑깡'이었는데...ㅠㅠ
떼 쓰지 마라~ 로 잔소리 바꿉니다.^^;;

숨은아이 2005-11-10 18: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스텔라님/고마워요. ^^ 아, 이 책을 올해가 가기 전에 다 읽어치워야 하는데...
난티나무님/^^;;
 

○○은 말 중의 보옥(寶玉)이요, 말 속의 꽃이요, 말 속의 별이다. - 일석 이희승

○○에 들어갈 말은 뭘까아요?
상품은... 없어요. 에헤헤헤헤.


댓글(7)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물만두 2005-11-08 19: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상품!!!

날개 2005-11-08 19: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속담..

숨은아이 2005-11-08 20: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속삭이신 님/음, 왜 속삭이신 거야요... 흠, 근데 그것도 검색이 되는군요. 놀라워라... 정답이에요!
만두 언니/움찔. 으, 으음...
날개님/정답이에요. 문제가 쉬웠나봐잉. ^^

조선인 2005-11-08 20: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앗, 이런 퀴즈를 놓치다니, 괜히 분하네요. 히잉...

숨은아이 2005-11-08 20: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따우님/원래 퀴즈는 검색해서 맞히는 거여요, 흠흠.
조선인님/헤헤, 다음에는 상품 있는 퀴즈로 모시죠.

릴케 현상 2005-11-08 23: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난 '칭찬'이라고 쓸려 했는데 정답이 있었군-_-

숨은아이 2005-11-09 00: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ㅎㅎㅎ
 

흔히 나와 너가 아닌 다른 남자를 가리킬 때는 “그”, 여자를 가리킬 때는 “그녀”라고 쓴다. 실생활에서 말로 할 때는 그이, 그 사람, 그 애, 그 여자, 그 남자 하는 식으로 쓰지만 글로 쓸 때는 그/그녀가 완전히 정착되었다.

예전에는 성별 구별 없이 , 그이(‘그’를 좀 높여서 하는 말)라고 했다 한다. ‘그 사람들’이란 뜻인 그네도 오래전부터 쓰였을 것이다. 연세 지긋하신 분들은 “그니”란 표현도 쓰는데, 그니는 그이의 경기도 사투리라 한다. 그런데 [뜻도 모르고 자주 쓰는 우리말 사전]에 따르면, 신문학 초창기에 이광수, 김동인 같은 소설가들이 그/그녀라는 말을 쓰기 시작했다. 영어의 he를 ‘그’로 옮기고, she는 일본어 彼女(かの-じょ)를 본떠 ‘그녀’라고 번역했다.

“그녀”라는 말은 이제 아주 친숙해져서 별 거부감 없이 받아들여지긴 하지만, 가만히 글자의 모양새를 뜯어보면 볼수록 기이하다. 우선 “그”라는 토박이말에 “녀(女)”라는 한자어가 붙은 것도 어색하고, 그 남자는 그냥 “그”라고 하는데 여자만 굳이 “그녀”라고 하는 것도 그렇다. 우리말에는 명사, 대명사에 성별 구분이 없다. 아, 욕에는 있구나. 그놈, 그년. -.-

하긴 토박이말과 한자어가 한데 어우러져 생긴 말도 많다. 한참 동안 할 때의 한참도 한+참(站)으로 된 말이고, 감감소식도 감감+소식(消息)으로 이루어졌다. 관자놀이도 관자(貫子)+놀이, 난장판도 난장(亂場)+판...

그러니 어차피 널리 정착된 “그녀”란 말을 굳이 쓰지 않을 이유는 없다. 그래도 영 마음에 안 들었는지 그녀 대신 “그미”라고 쓴 작가도 있다. 하지만 그미는 그리 널리 쓰이진 않는다.

나는 그녀란 말보다, “그”라는 성별 구분 없는 말이 남자를 가리키는 말로 굳어진 게 더 못마땅하다. 뒤집어 말하면 남자를 가리키는 말이 3인칭 대명사의 대표어가 된 셈이다. 영어에서 남자를 뜻하는 man이 ‘사람’을 대표하는 말인 것과 같다. 전에 보니까 고려대 여성주의 교지인 <석순>을 만든 후배들도 그게 못마땅했는지, 남자를 가리킬 때는 “그남”이라고 썼다. 하지만 이 말이 널리 받아들여질지는 모르겠다.

그래서 나는, 되도록이면 “그” “그이”를 성별 구분 없이 쓰고, 여자와 남자를 구별해서 표시해야 할 때는 “그 여자”나 “그녀”, “그 남자”라 쓰기로 했다.


댓글(5)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물만두 2005-11-08 11: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나도 그냥 그라고만 쓰는 경우가 많다네. 그런데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은 혼동하기 쉬울 것 같아 작가들 먼저 실천했으면 하는 바람이지만 그게 뭐 어때라고 하면 할 말이 없어서...

숨은아이 2005-11-08 12: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만두 언니, 이름표 그림이 바뀌었네요? 호오, 신비스러워라. ^^ 뭐, 이런 문제는 강요할 수도 없고, 그냥 나름대로 쓸 밖에요.
따우님, 공부 안 해요? (ㅎㅎ, 한자어로는 궐자, 궐녀라고 썼다네요, 옛날부터.)

숨은아이 2005-11-08 12: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하, 일하는 날은 컴 앞에서 놀기도 하는 날? ^^

urblue 2005-11-08 12: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그녀'라는 말이 싫어서 안 씁니다. 그 내지는 그네 정도가 좋아요.

숨은아이 2005-11-08 14: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따우님/오호홋~
블루님/그렇죠. 사실 그동안은 그냥 썼는데요, 이제부터는 가려서 쓰려고요.
 

요즘은 단무지를 “다꽝”이라고 하는 사람이 별로 없는 것 같다. 적어도 나는 몇 년 동안 주위에서 다꽝이라고 말하는 소리를 듣지 못했다. 내가 스무 살 무렵 되었을 때만 해도 반대로 “단무지”라고 하는 사람이 주위에 거의 없었던 걸 돌이켜보면 참 놀라운 일이다. 일본어에서 온 말을 꽤 많이 우리말로 다시 다듬었지만, 그중에서도 “단무지”와 “도시락”만큼 성공한 경우는 드물다고 본다.

가만 들여다보면 단무지는 참 잘 만든 말이다.
우선, 무를 썰어서 식초와 설탕으로 절였기 때문에 단맛이 난다.
그래서 맛이 나는 , 단무. (짠맛이 났으면 짠무라고 했겠지. ㅎㅎ)
그리고 ‘지’는 절인 채소 음식을 가리키는 말이다.
김치의 치, 장아찌의 찌도 다 ‘지’에서 왔다.
따라서 단무로 만든 , 단무지.
누가 만들었는지 참 잘 만들었다.

그런데 [뜻도 모르고 자주 쓰는 우리말 사전]을 보니,
다꽝, 제대로 쓰자면 다쿠앙(たくあん)이란 이름의 유래도 꽤 재미있다.
고구려의 택암(澤庵) 스님이 일본에 건너가
무를 소금과 식초와 설탕에 절인 반찬을 처음 만들었고,
일본 사람들은 스님의 이름을 따서 그 반찬에 이름을 붙였는데,
택암의 일본식 발음이 바로 “다쿠앙”이라는 것이다. 하하하!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瑚璉 2005-11-08 10: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미야모토 무사시와 관계가 있었던 澤庵(보통 다쿠안으로 발음하는 것 같더군요)선사의 창안이라는 설도 있습니다. 참고하세요.

물만두 2005-11-08 10: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흠...

바람돌이 2005-11-08 10: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흠....

숨은아이 2005-11-08 10: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호정무진님/다쿠안이란 스님이 미야모토 무사시 시대에도 있었던 모양이군요. [뜻도 모르고 자주 쓰는 우리말 사전]에서는 일본의 "고승대덕전"이란 책에 이렇게 나와 있다고 합니다.
만두 언니, 바람돌이님, 뭡니까? ^^

瑚璉 2005-11-08 11: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뜻도 모르고 자주 쓰는 우리말 사전"의 주장 중에는 조금 검증해보아야 할 것 같은 것들이 있더군요. 혹시 확인되는 것이 있으면 말씀드리겠습니다.

숨은아이 2005-11-08 12: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호정무진님/네, 그렇습니다. 혹시 다른 정보 알게 되시면 알려주세요~

릴케 현상 2005-11-08 23: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무사시 만화에서 봤는데^^

숨은아이 2005-11-09 00: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산책님/일본의 민간에서는 무사시 시대의 다쿠안설이 더 유력한가 보군요.

panda78 2005-11-09 19: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무사시 만화에서.. ^^;;;
숨은아이님, 방금 택배 아자씨가 박스 가져가셨어요. ^^
내일 들어갈 것 같아요. ^^

숨은아이 2005-11-10 12: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판다님, 오늘 오겠네요.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