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목설계와 건축설계

 

집을 짓기 전 필요한 작업 중의 하나는 바로 토목과 건축에 대한 설계다. 개인이 할 수 있는 분야가 아니라 설계사에 맡겨야만 한다. 지역에 따라 설계비용에 다소 차이가 있다. 또 어느 정도 수준까지 설계사가 작업을 하는지에 따라서도 비용 차이는 크게 발생한다.

토목의 경우는 400~600만원 사이로 가격이 형성되어 있는 듯하다. 건축의 경우는 표준화되어 있는 집의 설계도를 기본으로 일부 변경하는 수준, 즉 인·허가를 받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설계안일 경우 150~300만원 정도 든다. 물론 나만의 집을 짓기 위해 설계를 완전히 새롭게 맡긴다면 그 비용은 수 천만원까지도 들어간다.

 

개인적으론 일단 토목과 건축에 대한 원칙을 정했다.

토목은 1. 지형을 최대한 바꾸지 않고 그대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2. 대지와 진입로 이외는 손을 대지 않고 경사지를 활용해 과수원을 꾸린다.

건축은 1. 심플하게 짓는다. 2. 아이에겐 놀이터, 나에겐 쉼터가 된다.

 

 

토목의 경우 임야를 대지로 전환하기 위한 용도변경비용이 발생한다. 그리고 수목 조사 비용, 복구 비용 등도 있다. 이 비용 또한 만만치않다.

건축은 경량목구조로 경사 지붕에 층이 없는 사각형의 단순한 구조로 정했다, 경사로 인한 빈 공간에 다락방이 두 개 만들어지도록 했다. 다락방 하나는 계단으로, 하나는 사다리로 오른다. 그리고 다락방과 다락방을 잇는 통로가 있다. 그리고 전통 한옥의 토방과 마루 개념을 살려 거실이 안쪽으로 조금 밀려 들어가고 그 자리를 데크가 차지해 마루처럼 쓸 수 있도록 했다. 나머지는 사각 방 2개와, ~주 조그마한 옷방과 서재, 욕실, 보일러실 및 다용도실이 있다. 전체 평수는 22.



 
 

대략적인 토목과 건축설계안이 나왔다. 중간에 변경도 어느 정도 가능하다. 일단 인·허가 절차를 밟도록 했다. 빠르면 2, 늦어도 한 달 후에는 인·허가가 나온다고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지난 겨울 유기농 묘삼을 컵화분에 심었다. 묘삼은 인삼씨앗을 뿌려 1년간 키운 어린 삼을 말한다. 인삼이 싹을 틔우기 위해선 겨울잠을 자야한다. 즉 추운 곳에서  휴면기를 보내고 봄을 맞이하면서 새싹이 돋아나는 것이다.

이제나저제나 기다리던 새싹이 돋아난 것은 지난 3월말부터다. 4개의 화분 중 3개의 화분이 눈을 떴다. 맨 왼쪽의 화분이 가장 먼저 눈을 뜨고 쑥쑥 자라기 시작했다. 가운데 두 개 화분은 조금 늦었지만 잘 자라주고 있다. 마지막 화분은 글쎄... 원래 발아율이라는게 100%인 경우가 별로 없어서 실패했다고 생각했다. 그래도 혹시나 해서 물을 주고 기다리고 기다렸다. 빨리 자란 싹이 한 뼘 가까이 컸을 무렵, 드디어 흙을 비집고 싹이 나왔다. 늦었지만 기어코 눈을 뜬 것이다.

똑같은 환경에서 똑같은 묘삼을 가져다 심었지만 그 깨어남의 순간과 자라는 과정은 천차만별이다. 하지만 순서가 중요한가. 깨어났다는 것, 그리고 힘써 자란다는 것, 자신의 생명을 키워간다는 것, 그것이 중요한 게 아닐까.

늦었다고 조바심낼 필요가 없다. 깨어나고 자라는 것, 그것은 속도의 문제가 아니다. 꾸준히 애정을 가지고 지켜보고, 관심을 가져준다면 저의 능력치만큼 해낼 것이다. 꼭 묘삼만 그런 건 아닐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베란다 텃밭 재배 시 창문방향 고려하세요

 

 

 

 

‘난 식물 키우는덴 재주가 없나봐’라고 실망하신 적 있나요?

도시농업이 인기를 끌면서 주말 농장 분양 경쟁률도 치솟고 있습니다. 농장은 아니더라도 베란다에 텃밭을 가꾸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그런데 베란다에서 고추나 방울토마토를 잘 키워본 경험은 그리 많지 않을 것입니다. 고추나 방울토마토는 빛을 많이 필요로 하는데 베란다는 생각보다 많은 빛이 들어오진 않기 때문이죠.

베란다 텃밭을 잘 가꾸기 위해선 베란다의 특성을 잘 알아야 합니다. 그중에서도 특히 빛의 양을 잘 고려해야 합니다. 식물이 자라는데 있어 햇빛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베란다의 창문 방향에 따라 재배환경에 차이가 발생합니다. 동향 베란다는 오전에, 서향 베란다는 오후에, 남향 베란다의 경우 낮 시간 대부분 햇빛이 들죠. 남향 베란다가 동향·서향 베란다에 비해 실내로 들어오는 햇빛 양이 많은 편이지만, 실외에서 받는 햇빛 양의 50% 이하인 경우가 많습니다. 게다가 실내로 들어오는 햇빛의 양이나 빛이 비치는 시간대와 시간, 실내로 빛이 들어오는 깊이 등은 계절적인 영향을 받습니다.

식물이 하루 동안 받는 빛의 총량인 '일적산광량'의 경우, 봄철(3월~5월)에는 동향·남향·서향 베란다 모두 중간 광량이지만, 여름철(6월~8월)에는 모두 낮은 광량을 받습니다. 태양 고도가 높아져 낮 시간대에 햇빛 들어오는 양이 적기 때문이죠. 가을철(9월~11월)에는 동향·서향 베란다는 낮은 광량을 보이며, 남향 베란다는 중간 광량을 나타냅니다. 겨울철(12월~2월)에는 동향은 낮은 광량, 남향은 중간 광량, 서향은 매우 낮은 광량을 받습니다.

(광량 기준은 일적산광량(DLI, 식물이 하루 동안 받는 빛의 총량)에 따라 구분합니다. DLI 값 5 이하 : 매우 낮은 광량 / 5~10 : 낮은 광량/ 10~20 : 중간 광량 / 20~30 : 높은 광량)

산퐑쳉 .jpg

 

첀룤 ?퓠??.jpg
 

 


이에 따라 창문방향별 재배환경을 이해하고 그에 맞는 작물을 선정해야 합니다. 가정에서 주로 키우는 관엽식물은 빛의 양이 적은 실내에서도 잘 자라죠. 스파티필룸 등은 매우 낮은 광량에서도 재배 가능하고 드라세나, 베고니아, 칼랑코에 등은 낮은 광량에서 잘 자라는 편입니다.

반면 텃밭 채소들은 이보다 훨씬 많은 햇빛을 필요로 합니다. 상추가 잘 자라기 위해서는 중간 광량 이상의 일적산광량이 필요하죠. 봄철에는 동서남 베란다 모두 일적산광량이 중간 정도의 광량이기 때문에 상추를 키우기에 적당하지만, 여름철에는 광량이 낮아지고 온도가 높아 상추를 키우기 힘듭니다. 고추나 토마토와 같은 열매채소는 높은 광량 이상에서 잘 자라기 때문에, 햇빛이 아주 잘 드는 경우가 아니고는 베란다 텃밭에서 키우기가 쉽지 않습니다. 햇빛의 양과 햇빛을 받는 시간이 적으면 잎은 가늘어지고 연약해지면서 웃자라 볼품이 없어지고 병해충 피해를 입기도 쉽습니다.

햇빛이 많이 들지 않는 베란다라면 부추, 생강 등 음지에서도 잘 견디는 내음성이 강한 작물을 선택하거나 본잎이 나오기 전에 이용하는 싹 채소를 키우는 것이 좋습니다.

작물의 특성과 재배지 환경을 잘 파악하는 것. 텃밭가꾸기의 탄탄한 기본입니다.

참고자료 : 농촌진흥청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드디어 집을 지을 땅을 구했다. 거의 1년 가까이 주위 지역을 둘러보았다. 100% 만족할 땅을 구하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만족할 수준의 땅을 구하고 나머지는 만들어가겠다는 생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어느 정도의 수준을 만족시키는 것이 쉽지 않았다.

 

땅을 구하는 조건은 크게 세 가지였다. 첫째는 아이가 이제 초등학교에 입학하니 학교가 가까워야 한다는 것이었다. 둘째는 자급자족할 수 있을 정도의 농장을 꾸려갈 수준의 크기여야 했다. 세째는 마음이 편안한 곳이어야 했다. 성격상 사람들과 쉽게 어울리지 못하니 마을 중심으로 들어가는 것이 내키지 않았다. 그렇다고 너무 동떨어져 있으면 아이에게 좋지 않을성싶어 적당한 거리를 두는게 좋았다.

 

물론 땅값도 중요한 부분이다. 특히 만약에 농사를 생계수단으로 삼겠다고 결심한다면 평당 가격이 너무 높은 것은 절대 반대다. 노지의 경우 평당 1~2만원 수준의 매출, 시설하우스라면 4~5만원 수준이 평균이라 보면 될 터인데(순 이익이 아니라 매출이다) 평당 가격이 수십만원에 달한다면 배보다 배꼽이 더 크게된다.

 

이러다보니 조건에 맞는 땅을 찾는게 간단치 않은 일이 된 것이다. 주말마다 땅을 둘러보고 두어군데 쯤, 이정도에서 만족할까라는 생각도 들었지만 뼈를 묻을지도 모를 곳인데 서두를 필요는 없겠다 싶었다. 그러다 결국 발견한 곳이 가족묘를 쓰기 위해 야산을 정리한 터였다. 묘를 쓰기위한 터라는게 마음에 걸릴지도 모를 일이지만 크게 신경쓰이지는 않았다. 세가지 조건을 어느 정도 만족시켰기 때문이다.

집터에서 바라본 풍경이 마음에 든다.

 

그런데 땅을 구입하고 집을 짓기위해 계획을 세우면서 느끼는 건데 예상외로 지출되는 돈이 상당하다. 땅을 구입할 때도 중개수수료가 들어가고,

또 취득세도 매매비용의 4.6%나 붙는다. 여기에 등기를 하기 위한 수수료 등 지불할 곳이 한두군데가 아니다. 예산을 잡을 때 신경을 써야 할 부분이다.

 

또 구입한 땅이 임야인데 보전산지와 준보전산지이냐에 따라 주택을 지을 수 있는 허가여부가 상당히 차이가 난다. 땅을 구입하기 전 미리 군청 등에 주택을 지을 수 있는지 여부를 알아보고 계약하는 것이 좋다. 여기에 더불어 토목설계 전문가를 찾아 상담해 보는 것도 좋다. 이 땅도 준보전산지라 군청에 미리 주택가능 여부를 알아보고 토목설계사와 상담 후 구입했다.

 

이제 본격적으로 시골에 정착하기 위한 첫발을 내딛은 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흙 1cm 만들어지는데 걸리는 시간은 200년. 농부는 수 백년의 세월을 지켜내고 있는 것이다.

모래주머니를 쌓아 흙이 쓸러내려가는 것을 막아내기 위해 농부는 고단히 움직였을 것이다. 농부의 수고스러움이 고스란히 묻어있는 모래주머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